• 제목/요약/키워드: leisure programs participation motiv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무료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여가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여가생활만족도 - 서울특별시를 중심 으로 - (Leisure Program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Institutional Elderly in Seoul)

  • 이유리;박미석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6호
    • /
    • pp.99-109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tivation of the institutional elderly to participate in the leisure program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65 elderly in an institution for the elderl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programs on the part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tended to be more external than internal. Second,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internal factors that affected participation were health condition, interaction with roommate, gender. education level, and interaction with institution's staff. The major external factors that affected the participation were health condition, interaction with colleagues, gender, and education level. Finally,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in internal factors that affected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were, intrinsic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isure programs, interaction with their roommate, gender, and education level.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ed exercise of elderly sports)

  • 김화룡;성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07-819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서울 소재의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모집단으로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17부를 제외한 총 183부(91.5%)의 자료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하여 IBM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개념신뢰도,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재미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 스포츠 참여동기는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스포츠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노인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노인스포츠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노인스포츠 운동만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의 스킨스쿠버 참여 동기와 재미요인 및 대학생활만족의 인과관계 규명 (Investigation Causal Relationship among Skin SCUBA Participation Motivation, Enjoy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이민구;김동주;장재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25-538
    • /
    • 2016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musement factor and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o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with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kin-scuba class and to provide the practical research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ine sports, for the proper operation of skin-scuba class, and for the leisure life which the university students may lack. For these purposes, technical statistics between questions were disposed in order to grasp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n each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the casuality of amusement factor,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nd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s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the amusement factor and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ct as the important variables in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skin-scuba class and the amusement factor had interrelation with parameter. Therefore, a variety of programs reflecting the amusement factors should motivate the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apte in the skin-scuba clas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 and to encourage the re-participation of students.

발달장애 부모의 심리운동센터 선택 시 동기, 만족도, 재이용 의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when selecting a psychomotor center fo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유진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73-79
    • /
    • 2022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의 심리운동센터 이용 부모의 선택 동기, 만족도, 재이용 의사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사설 심리운동센터에서 심리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188부이며, 서술통계,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발달장애 아동의 심리운동 참여에 대한 부모님의 선택동기와 만족도 관계에서 하위요인인 이용만족은 즐거움과 사교요인, 성과만족에서는 사교, 건강과 체력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선택 동기와 재이용 의사의 관계에서 즐거움, 기술발달 및 성취감, 사교요인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의 관계에서 이용만족과 성과만족 요인에서 재이용 의사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향후 심리운동센터 재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의 측정변인 외에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식정보화사회 조성을 위한 주부의 인적자원개발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가정과 사회의 정보격차 해소와 사회적 통합을 위하여 (An Education Program for Housewive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oward the Knowledge Informatization Society. For the Social Integration and a Solution of Digital Divide Between Family and Society)

  • 이기영;이승미;송혜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9-14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tents and effective methods of educational progra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the full-time housewives. For this purpose the case interviewed with 24 professionals and management leaders of women education field are performed and 445 questionares from full time housewives who participate in at least one education program a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ed. 1. The most preferred programs are sports/health program(28.8%), leisure program(26.5%), household income management program(15.9%), culture/arts program(15.2%) in percentage order. And the first preferred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is the self development(38.4%). 2. The positive effect of program is founded more with participants in family oriented program and society oriented program than in individual oriented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degree of participants in family oriented program is higher than in individual/society oriented program. 3. The degree of demands for Program management and program characteristics is higher than the demands for program installations and program supplying methods. 4. In the area of effectiveness methods the demands for program systematization according to program level are most referred.

여성 노인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 탐색 (Motivation and Meaning of the Elderly Women's Line Dance Experience)

  • 김영미;오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71-479
    • /
    • 2021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C시 J군에 소재한 보건소에서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노인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 관찰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는 전사, 주제별 약호화, 의미 범주화 및 개념화의 단계를 거쳐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 동기는 주변의 권유나 건강의 회복과 유지,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인댄스 체험은 춤이 즐거움을 주며, 누구나 출 수 있다는 춤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 셋째, 라인댄스는 신체와 외모에 대한 관심과 자신감을 향상시켰다. 넷째, 라인댄스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어울릴 수 있는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다섯째, 라인댄스 체험은 무용을 통한 성취감과 몰입감을 향상시켰다. 여섯째, 가족들의 지지와 칭찬은 자존감을 높이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을 증진시켰다.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에 미치는 효과 -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을 중심으로 - (Effects of Urban Forest Healing Program Education and Activities on Emotional Rest - Focusing on Healing Recovery Environment Awareness, Attention Recovery and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

  • 윤선희;신창섭;홍종숙;정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86-399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 숲 산림치유프로그램 교육 및 활동이 정서적 쉼(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산림치유프로그램교육 및 실습), 대조군(프로그램 미참여)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경우는 프로그램 사후에 정서적 쉼 요소인 치유회복환경지각, 주의회복, 여가활동만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대조군의 경우는 사후에 정서적 쉼에 대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참여자 그룹 간 정서적 쉼 차이에 대해서는 사전과 사후에 모두 그룹 간 차이가 있었는데, 사전 차이에 비해 사후 정서적 쉼 차이가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고 실제 산림치유활동을 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정서적 쉼을 더 높게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산림활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임의로 산책 활동하는 것보다 적절한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동기부여 및 정기적인 실천이 치유회복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의회복을 증진시키며, 여가생활에 긍정적 효과를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조직문화 교육 콘텐츠 개발 :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ntent for Gender-Sensitive Work-Life Balance Organizational Culture Education : Focusing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Jeonnam Area)

  • 이유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49-62
    • /
    • 2023
  • 본 연구는 여성의 경력단절예방 및 경제활동촉진을 위한 조직문화를 조성하고자 전남지역의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남녀근로자 대상의 직장문화개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콘텐츠의 현장활용성, 교안내용의 타당성 및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무담당자 및 전문가의 자문회의를 통해 전남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콘텐츠 설계의 방향 및 핵심 내용 구성을 구체화하였다. 교육 콘텐츠는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조직문화의 이해, 성인지적 일·생활균형의 효과, 성인지적 일·생활균형을 위한 실천의 3개 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콘텐츠의 방향은 전직원이 기본적으로 개인, 가족, 기업, 사회의 관점에서 일·생활균형의 의미와 조직문화 개선의 취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전남지역 기업의 일·생활균형의 현황을 제시하면서 직장문화개선과 직접 연관된 일과 생활영역의 세부항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일·생활균형의 선순환적 효과와 실천적인 측면에서 각자의 일·생활균형에 대한 권리 이상으로 책임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개인적으로 직장뿐 아니라 가정 및 여가생활에서 성평등한 일·생활균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다양성을 포괄하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여성, 남성, 미(비)혼, 기혼, 청년, 노년,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제도 및 프로그램을 사례로 설명하고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우리가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인지적 일·생활균형 교육 프로그램이 여성의 경력단절예방 및 경제활동촉진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더불어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기업의 자발적 참여동기를 높이고 일·생활균형 교육 강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