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brary performance

검색결과 958건 처리시간 0.024초

균형성과표(BSC)를 활용한 국립중앙도서관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using Balanced Scorecard(BSC))

  • 김수정;차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51-283
    • /
    • 2021
  •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대표도서관으로 국가지식문화유산의 수집·제공·보존관리 등의 국가도서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합리적 경영개선 도구로서 성과지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성과지표는 도서관 환경변화에 대응한 조직의 전략과 성과측정 연계에 유용한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BSC)를 기반으로 하였다. ① 자원, 접근, 인프라 관점, ② 이용 관점, ③ 효율성 관점, ④ 잠재력과 성장 관점, 19개 핵심성공요인, 71개 지표로 국립중앙도서관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 직급과 직무에 따른 성과지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이용패턴과 서비스품질이 정보화성과지각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e Patterns and Service Quality on Performance and Use Satisfaction on Library Information System)

  • 정형식;염승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217-244
    • /
    • 2008
  • 전자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도서관 서비스제공은 정보화시스템에 대한 의존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변화에 따라 본 연구는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화에 대한 성과지각과 정보화를 통한 이용 만족은 전반적 만족에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것으로 추론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는 대체로 도서관의 서비스제공측면에서 이용자의 인식이나 만족을 조사하였으나 본 연구는 시각을 달리하여 이용자측면에서 단순 열람목적의 일반적 이용과, 전문정보구득 목적의 전문적 이용패턴이 정보화 성과지각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서비스품질차원이 정보화성과지각과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차원이 정보화성과지각과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도서관 이용자의 열람 등 일반적 목적 이용이 정보화성과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둘째, 도서관 이용자의 특정 정보구득 등 전문적 목적의 이용이 정보화성과지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반적 서비스품질인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 물리적환경품질 차원은 정보화성과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정보화이용만족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정보화성과지각과 정보화이용만족이 전반적인 만족을 선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도서관의 정보화시스템을 어떻게 이용자중심으로 체계화하여 발전시킬 것인지에 대해 심층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성과평가 체계에 대한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Libraries)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72
    • /
    • 2020
  • 급변하는 환경 하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 사회적 가치를 입증하고 그리고 투입자원에 대한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해 그들의 활동을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성과 측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과평가는 특정 영역 혹은 특정 분석방법에 치중하여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 성과관리 도구 개발을 위해, 도서관 선진 국가들의 공공도서관 성과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았다.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방향성, 평가체계, 주요 성과평가영역 등을 검토·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주요결과는 공공도서관 성과평가의 관점이 투입-산출위주에서 결과(outcome)혹은 영향(impact)으로 옮겨가고 있었고, 성과평가영역이 공공도서관 발전전략 혹은 도서관의 역할과 연계되어 있었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의 성과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구축, 도구개발, 수월성 확보 등을 위해 국가와 기관이 함께 노력하고 있었다.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들의 주관적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ibrary Manager's Communication Ability on Job Performance and Role-Conflict of the Library Staff)

  • 조찬식;최항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99-414
    • /
    • 2014
  •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조직의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리자가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보이느냐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들을 독려하거나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경영조직으로서의 도서관과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개념적 배경을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직무성과 그리고 역할갈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8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 12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내용은 SPS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통계분석으로 처리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 관리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직원의 직무성과와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토론을 전개하였다.

중요도-수행분석을 이용한 전문도서관 서비스 평가 (Evaluating Special Library Service Qualit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57-1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요도-수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질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더 나은 도서관 서비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근무연수 요인을 중요도-수행분석에 적용하였다. 총 127명의 국내 정책 연구소와 리서치 연구기관 직원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중요도-수행분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서비스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어 서비스 성과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들이 정보서비스는 비교적 잘 제공되지만, 사서 서비스나 도서관 공간 이용에 대한 서비스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도서관서비스를 인구통계학적인 요소로 분석하였을 때, 근무연한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8년 이상 근무한 직원들은 도서관 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도서관 서비스 중에 더 이상 제공이 필요치 않은 서비스가 없다고 하였다. 하지만 3년 이하 근무한 직원들은 사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불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귀분석으로도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더 나은 전문도서관 서비스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도서관 운영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대출성과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perating Performance of Academic Libraries in Seoul - Focused on Circulation Performance -)

  • 양병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2호
    • /
    • pp.163-1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의 운영성과를 결정짓는 주요 변수들을 파악하고, 각 변수들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경쟁력 실태와 장기적인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서비스 활동에 대한 성과측정치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는 도서관 대출성과와 특성요인들(면적, 직원수, 장서수, 예산)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2004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도서관협회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도서관연감에 포함된 통계 자료에 기초하여 이러한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학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장서수와 도서관의 예산 규모 및 도서관 고유의 공간 면적 등과 같은 요소가 대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가설 1, 3 및 4 입증). 이와 같은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도서관의 환경적 요소를 구성하는 도서관 면적이나 장서의 구입 및 개발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대학당국을 만족시키고, 그러한 활동에 대한 투자(예산 지원)를 통하여 지속적인 도서관 활동(도서대출) 성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병렬처리를 위한 고성능 라이브러리의 구현과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 for Parallel Processing)

  • 김영태;이용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7호
    • /
    • pp.379-38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병렬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병렬처리 프로그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식성을 갖는 고성능 병렬 라이브러리인 HPCL(High Performance Computing Library)을 구현하였다. HPCL은 C 언어와 Fortran 언어로 구현되었으며, Fortran 프로그램에서 메시지 전송 인터페이스인 MPI(Message Passing Interface)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능 분석은 PC 클러스터와 상업용 슈퍼컴퓨터인 IBM SP4를 이용하여 병렬프로그램의 성능 향상 및 통신 오버헤드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PUBLIC LIBRARY SYSTEM AND SERVICES IN TAMIL NADU : PERFORMANCE APPRAISAL

  • Babu B. Ramesh;Kumar S. K. Asok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44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최대주인 Tamil Nadu의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조직구조에 대해 개관하고 공공도서관의 성장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1975년부터 2006년에 걸친 기간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자원에 대한 통계데이터와 연차보고서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시스템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 PDF

BSC 기반 공공도서관 성과지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BSC-based Public Library Performance Indicator Model)

  • 김정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7-71
    • /
    • 2009
  • 공공도서관의 사명은 정보이용, 문화활동, 평생교육 등과 관련된 지역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보다 편리하고 평등한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사명을 달성하고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성과지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학습 및 성장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자원 관점, 이용자 관점의 4가지 관점 아래 12개의 주요성공요인, 36개의 핵심성과지표로 구성된 BSC 기반 공공도서관 성과지표 모형을 도출하고,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도출된 성과지표 모형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여 공공도서관의 사명달성과 성과제고에 어떠한 성과지표가 중요한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 PD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Among Library Personnel In Academic Libraries In Edo State, Nigeria

  • Igbinovia, Magnus O.;Popoola, S.O.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34-52
    • /
    • 201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among library personnel in Edo state, Nigeria. The survey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for the study with a population size of 181 library personnel in the 15 academic libraries under study, and due to the manageable population size, total enumeration was adopted as the sampling technique.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elicit data from the respondents. Of the 18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administered, 163 copies were retrieved and found valid for analysis constituting a 90% response rate. Four research questions and four null hypotheses (tested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were formulated to guide the study. The tool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 was descriptive statistic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ferential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for testing the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high level of job performance, good organizational culture, and high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the personnel.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intly and significantly predict job performance of personnel.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performance. The linear combin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predict job performance of library personnel in the academic libraries under study. The research concludes that there is a need for high job performance in libraries which is predicted b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library and the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library perso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