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ting planning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마감자재 양중횟수 산정 약산식 제안 -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 (A Simple Formula for the Number of Lifting Times of Finishing Materials in High-rise Complex Building Construction)

  • 문민식;최석현;현창택;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622-62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층 복합건물 공사에서 마감자재 양중횟수를 산정하는 약산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그것은 양중계획 시 효율적인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감자재 양중계획은 건물이 고층화 될 수록 더욱 더 중요해 진다. 양중횟수는 "패키기"라는 방식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더욱더 정확하게 산정할 수 일다. "패키지"는 마감자재별 특성을 고려하여 한번에 양중할 수 있는 마감자재별 양중형식을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출된 약산식은 기준층 바닥면적과 단위면적당 실갯수라는 두 요소를 변수로 하여 도출하였다.

  • PDF

초고층 건축공사의 작업원 양중시간 단축을 위한 리프트 카 운행제어 모델 (Operation Control Model of Lift Car to Reduce Worker Lifting Time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 남철우;권재범;김태훈;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0-161
    • /
    • 2016
  • In tall building construction, lift car for worker lifting is a critical factor for construction productivity. To reduce worker lifting time,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lift car planning. While, research on lift car operation is insufficient. For the efficient reduction of worker lifting time, lift car operation control is needed with lift car planning.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operation control model of lift car to reduce worker lifting tim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model test, the operation control model contributes to reasonable reduction of worker lifting time.

  • PDF

Lifting Load Recording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Lift for Construction Based Sensing Information

  • Taekyu Ko;Joonghwan Shin;Kyuhyup Lee;Soonwook Kwon;Chung-Suk Cho;Suwan Chung;Goeun ,Choi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25-135
    • /
    • 2022
  • While buildings in recent days become taller and larger, many problems occur during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Particularly, as the vertical movement of manpower and materials during construction has become longer while the lifting frequency and load increase, the need for a good lifting management practice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real-time lifting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that can store and manage lifting record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construction lift, the concept of lift planning and operation management was understood,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o monitor lifting operation and performance information. This system enabled quick measurement of the lifting performance during construction phase while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project schedule. To verify this system,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nsing-based lifting performance were derived.

DSM을 활용한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T/C Lifting Plan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

  • 김승호;김상용;전지훈;안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9
    • /
    • 2016
  • 건설프로젝트에서 요구되는 중요한 장비 중 하나는 타워크레인 이다. 특히, 대부분의 고층건물 공사에서는 자재들의 이동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타워크레인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공사기간과 비용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건설현장 대부분의 양중계획은 여전히 합리적인 작업의 분석없이 현장 관리자들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행해지고 있다.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는 CPM과 Pert 같은 기존의 툴과는 다르게 작업 활동 순서 계획과 정보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툴이다. 본 연구는 타워크레인의 양중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제 건설 현장의 Case study를 통해 타워크레인 양중관리의 새로운 틀을 DSM을 이용하여 제시 할 것이다. DSM을 이용한 T/C의 양중계획의 Case study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기준층 양중 계획에 있어서 T/C의 양중계획을 최적화 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결론을 보여주었다.

철골공사에서의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Tower Crane Construction Planning in Steel Structure)

  • 정덕기;박정로;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5-146
    • /
    • 2011
  • Lifting plan in conjunction with the overall construction plan will be established. It is being created by executive director of the Corporation and other such as an experienced site manager. But, written lifting plan based on the limited information and experience is causing some problems such as decreasing productivity, workability loss, delay. The reasons for the problems are lack of prediction of construction execution, inappropriate materials on the past performance, individual experience, limits of knowledge, lack of technical materials, shortage of advisor.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s, we have to overcome the situation in which we depends on lifting planner's experience and intuition, limited information by accumulating objective and reliable materials. Because unorganized lifting plan will lower efficiency of lifting equipment and make reducing construction period difficult. In this study, influence factors on lifting plans will be deriv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d lifting plan cases. Derived influence factors will be classified as components and classes, classified influence factors are assessed suitability. Also, Decision making items are derived from the factors. Finally, tower crane lifting plan process will be suggested from the result.

  • PDF

굴삭기 안전 관리를 위한 인양작업에 관한 기초연구 (The Fundamental Research on Lifting-Work for Excavator Safety Management)

  • 이용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D호
    • /
    • pp.811-818
    • /
    • 2011
  • 굴삭기는 삽날(shovel)을 이용해서 토공작업을 하는 장비로 분류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굴착을 한 후 물체를 인양하여 옮기는 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양력은 굴삭기의 주요성능으로 분류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성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현실은 아직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외국의 굴삭기 인양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 인양력에 대한 정보 없이 국내에서 사용중인 굴삭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인양력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3) 인양 가능한 구간을 인양안전구간과 인양주의구간으로 나누어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굴삭기의 인양력 정보와 인양구간에 관한 정보는 작업계획 및 안전관리업무에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기저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동주택공사의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양중계획 타당성 분석 (A Feasibility Study on Optimal Lifting Planning in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 이준복;한충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85-193
    • /
    • 2008
  • 점차 대형화, 고층화되고 있는 공동주택공사에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양중작업의 최적화를 위한 리프트 선정방식의 합리적 절차와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성 및 경제적 측면에서의 분석을 통하여 양중자재의 종류 및 규격, 건축물의 높이, 공사기간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의 합리적 선정 및 운영을 위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층화 복잡화되고 있는 공동주택건설 현장여건에 따른 효율적 양중계획 및 관리를 위하여 대표적인 양중장비인 저속형과 중속형 리프트의 작업효율성과 경제성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선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40층 기준으로 중속형 리프트가 저속형에 비해 약 43%의 작업효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사의 용도, 규모, 형태, 조건 등에 알맞은 건설용 리프트 선정 기준/지침/규정을 마련하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골리앗 크레인의 공주행 거리와 와이어 교체 최소를 고려한 최적 블록 리프팅 계획 (Optimal Block Lifting Scheduling Considering the Minimization of Travel Distance at an Idle State and Wire Replacement of a Goliath Crane)

  • 노명일;이규열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0
    • /
    • 2010
  • Recently, a shipyard is making every effort to efficiently manage equipments of resources such as a gantry crane, transporter, and so on. So far block lifting scheduling of a gantry crane has been manually performed by a manager of the shipyard, and thus it took much time to get scheduling results and moreover the quality of them was not optimal. To improve this, a block lifting scheduling system of the gantry crane using optimization technique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First, a block lifting scheduling problem was mathematically formulated a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 considering the minimization of travel distance at an idle state and wire replacement during block lifting. Then, to solve the problem, a meta-heuristic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an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it was applied to an actual block lifting scheduling problem of the shipyard. The result shows that blocks can be efficiently lifted by the gantry crane using the developed system, compared to manual scheduling by a manager.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 계획의 실패 유형별 핵심 리스크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ritical Risk Factors in Failure Cases of Lifting Equipment Plans in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

  • 김남균;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3-83
    • /
    • 2013
  • 최근 국내 외 대도시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 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중단되거나 연기되었던 초고층 프로젝트들이 재개되고 있으며, 이를 수주하기 위한 건설사들의 경쟁은 전보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건설사들이 초고층 건축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체 프로젝트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인 양중계획의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개인적 경험에 의존하여 작성 된, 양중계획의 오류로 인한, 현장 전체의 공기 지연 및 원가 관리 실패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계획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양중계획 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계획 요소에 따라 실패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각 실패 유형이 전체 프로젝트의 공정, 원가, 안전관리에 미치는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양중 장비별 세부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FMEA 기법을 적용하여 초고층 프로젝트 양중계획의 핵심 리스크 요인을 도출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리프트카 양중계획수립을 위한 자원기반의 양중부하 산정 모형 (A computation model for Resource-based Lifting loads of the lift-cars for super high-rise buildings)

  • 한충희;이준복;원서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35-143
    • /
    • 2012
  •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적 건축물에 비해, 구조, 환경적 분야 뿐 아니라 시공 분야에서도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시공방법, 재료, 공사관리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시공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관리기법 중 양중계획 및 관리는 핵심적인 분야이며, 건설공사에 필요한 인원 및 자재와 같은 자원을 리프트카와 같은 양중기계장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직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리프트카의 경우 초기 수립된 계획과 실제 운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트카를 대상으로 건축마감공사의 자원물량에 근거한 양중부하 산정 방법 및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리프트카 운행시간 및 사이클타임을 계산하여 총 양중장비 가동시간 및 양중가능 물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양중장비조합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