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starter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6초

Aspergillus 속 곰팡이를 이용한 액체종국 제조 및 밀누룩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Nuruk and Optimum Condition of Liquid Starters for Aspergillus sp.)

  • 최정실;정석태;김주연;최지호;최한석;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57-363
    • /
    • 2011
  • 고역가 액체종국 제조 및 배양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Aspergillus 속의 곰팡이(A. oryzae, A. niger)를 이용한 밀기울 첨가율 별(0, 5, 10, 15 및 20%) 배지를 이용한 액체종국을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액체종국의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glucoamylase, acidic protease)을 조사한 결과, 배지에 밀기울 첨가량이 많을수록 균사체량이 많아졌을 뿐만 아니라 산도, 아미노산도도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액체종국에 첨가하는 밀기울 농도가 달라짐에 따라 각 균주의 효소활성이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효소활성에 따른 최적 배양시간은 곰팡이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A. oryzae와 A. niger 곰팡이의 액체종국 배양은 10~15% 밀기울을 첨가하여 48~72시간 배양하는 최적조건을 규명하였다. 기존에 사용되었던 고체종국과 비교하여 밀입국제조에 종국으로써 적합한지를 구명하고자 A. oryzae와 A. niger를 사용한 고체종국을 접종한 밀누룩을 대조구로 하여 밀기울 10% 액체배지로 만든 액체종국의 접종량 별(1, 3, 5, 10%) 밀누룩의 배양시간 별(0, 15, 20, 36, 38, 40 hrs) 및 이화학적 특성과 효소활성(${\alpha}$-amylase, glucoamylase, acidic protease)변화를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시간과 인력등의 경제적 가치가 많이 투입되는 고체종국 보다는 누룩 제조시 액체종국을 사용하는 것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도 유리 하다고 여겨진다.

파이로시동기로 작동되는 터보펌프의 구동특성 예측 (Estimation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turbopump driven by a pyro-starter)

  • 김철웅;설우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7-170
    • /
    • 2006
  • 파이로시동기는 단시간동안 1회 작동하여 터보펌프의 로터를 적절한 회전수로 돌려주어야만 한다. 이때 펌프의 가압된 추진제 성분이 가스발생기로 공급되어 연소되며 이로써 터빈의 지속적인 회전을 보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스발생기의 동작 이전의 엔진시동초기 작동시퀀스에서 터보펌프의 요구성능에 합당한 파이로 시동기의 규격을 선정하였다.

  • PDF

터보펌프 시동기용 추진제 개발 (Development of Propellant for Turbopump Pyro Starter)

  • 송종권;최성한;홍문근;이수용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0
    • /
    • 2009
  • 우주발사체용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을 시동할 때 사용되는 터보펌프 시동기에 적용하고자 고체추진제 개발 및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터보펌프 시동기용 추진제의 배출가스는 기계적인 부식 또는 대기오염 등의 이유로 화염온도가 낮아야 하고 고체입자 잔사 및 독성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작동시간이 어느 정도 유지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연소속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CP계열의 바인더를 사용하고 oxygen balance나 점화성에서 유리한 DHG(Dihydroxy glyoxime)을 냉각제를 사용하는 추진제 조성을 개발하여 연소속도와 기계적 물성 등의 특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지상연소시험을 통하여 터보펌프 시동기의 성공적인 개발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lactose and total solids of the liquid diet on calf performance, health, and blood metabolites

  • Gercino Ferreira Virginio Junior;Cecile Anna Jeanne Duranton;Marilia Ribeiro de Paula;Carla Maris Machado Bittar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031-1040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feeding milk replacer (MR) with varying levels of lactose and the increased supply of total solids (from 750 to 960 g/d) on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health of Holstein male calves during the preweaning period. Methods: Forty newborn Holstein calves (10 per treatment) were blocked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date of birth and distributed in a randomized block design to different liquid diets: Whole milk powder (WMP) diluted to 125 g/L solids; MR with 48% lactose (48L), diluted to 125 g/L solids; MR with 53% lactose (53L), diluted to 125 g/L solids; 53L MR corrected to 160 g/L solids (16TS) by the inclusion of a solid corrector. Calve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wood hutches, fed 6 L/d of the liquid diet, and had free water and starter concentrate access. The study lasted 56 days. Results: Liquid diet intake was higher for calves fed 16TS than for other treatments. Calves fed 16TS presented higher protein and fat intake, followed by those fed WMP and the 48L or 53L MRs. Lactose intake was higher for 16TS-fed calves, followed by 53L, 48L, and WMP-fed calves. Starter and total dry matter intake did not differ among liquid diets. The average daily gain was higher for 16TS than 48L-fed calves, with the other treatments being intermediary. The lowest feed efficiency was observed for calves fed 48L. No effects on health were observed, as well as on selected blood metabolites, except for albumin concentration, which was higher for calves fed 16TS and WMP. Conclusion: Higher total solids content (160 g/L) in MR increases nutrient intake and conseque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dairy calves. Feeding MRs with levels of lactose up to 53% of the DM had no deleterious effect on the performance or health of the calves.

액체로켓엔진 시스템 정현파 진동 구조해석 (Structural Analysis of Sinusoidal Vibration Load for Liquid Rocket Engine System)

  • 정용현;이은석;박순영;양창환;정진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23
    • /
    • 2009
  • The structural analysis of liquid rocket engine was performed in the case of sinusoidal vibration load to verify structural safety. The finite element model is composed with main liquid rocket engine components, combustion chamber, turbopump, gas-generator, pyro-starter, main pipes, main valve, heat-exchanger, gimbal-mount and brackets. Natural vibration mode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for sinusoidal vibration load were performed. The natural mode frequency of liquid rocket engine is twice than that of launch vehicle. In the case of stress result of sinusoidal vibration load, the part of maximum stress has 1.4 margin, so the engine structure is safe for sinusoidal vibration load.

  • PDF

액상발효유 제조시 유산균 Starter의 단백질 분해능이 산생성 및 침전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roteolytic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on Acid Production and Precipitates Occurrence in Liquid Yogurt Preparation)

  • 소명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5-291
    • /
    • 1984
  • 액상발효유 제조시에 유산균 starter의 단백질 분해능이 산생성과 제품의 단백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 bulgarious CH 2, L. helviticus IAM 1042, L. jugurti 3048은 우유에 배양할 때에 비교적 높은 단백질 분해능을 나타내었으나 L. casei YIT 9018은 단백질 분해능이 아주 약했다. 또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들은 낮은 균들보다 우유에서의 증식과 산생성 속도가 빨랐다. 유단백질의 분해가 가장 심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는 균의 대수증식기이었고, 배양개시로부터 24∼48시간 이후에서는 유단백질의 분해가 거의 더 진행되지 않았다. L. bulgaricus CH 2, L. helviticus IAM 1042, L. jugurti 3048, L. acidophilus L 54, L. casei 3012로 제조된 발효유들은 모두 유단백질 분해가 비교적 심하게 일어났고, pH 3.5에서의 유단백질 용해도가 낮았고, 제품의 저장시에 유단백질 침전이 심하게 생성되었다. 그러나 artificial acidification이나 L. casei YIT 9018에 의하여 제조된 제품들은 유단백질의 분해가 거의 없었고, pH 3.5 에서의 단백질 용해도도 높았고, 저장시에 침전도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 PDF

ISG 구동용 인버터의 열유동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o-flow Analysis of ISG (Integrated Starter and Generator) Driving Inverter)

  • 김대건;김성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45-150
    • /
    • 2013
  • Recently, many vehicles have applied electric parts for saving fuel consumption and reducing level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G (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is one of main electric parts and can improve fuel efficiency by using idle stop & go function and regenerative braking system. However, if ISG driving inverter works under the continuously high load condition, it will make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the inverter decreased with rising temperature.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analysis on the fluid flow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rter. As a result, we found the MOSFET of the air cooled inverter was increased up to $116^{\circ}C$ over the limit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liquid cooled type inverter's MOSFET was decreased by about $17^{\circ}C$ compared to that of the air cooled inverter. Therefore, we verified the feasibility of the liquid cooled type using the present cooling structure.

파이로스타터 개발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pryostarters)

  • 홍문근;이수용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2호
    • /
    • pp.204-209
    • /
    • 2010
  • 초기 엔진 시동을 위해 터빈을 구동하기 위한 고압가스를 제공함으로써, 발사체 액체추진기관의 터보펌프 시동기 역할을 수행하는 파이로스타터의 개발 현황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우선 개발 이력을 간단히 정리하였으며, 파이로스타터 개발에 있어서 핵심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고체추진제, 내탄도, 럽쳐디스크, 점화기 부분에서의 현재 기술 현황을 정리하였다. 현재의 기술개발 수준을 고려해 볼 때, 향후 파이로스타터 개발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발사체용 고체 추진기관 개발현황 소개 (An introduction to present Research and Development condition about Solid Rocket Motor for Space Launch Vehicle)

  • 권태훈;심명식;송종권;이원복;최성한;서혁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23-626
    • /
    • 2009
  • (주)한화 대전사업장은 2003년부터 약 5년간의 개발기간을 통해 국내최초 우주발사체인 KSLV-I의 상단 킥모타를 개발 완료 하였으며 현재에는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1단 부스터인 액체 추진기관의 추진제를 공급하는 터보펌프의 초기 구동을 위한 파이로스타터를 개발중에 있다.

  • PDF

Rhizopus oryzae N174를 이용한 액체종국 저장조건에 따른 밀누룩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Nuruks by Storage Conditions of Liquid Starters Using Rhizopus oryzae N174)

  • 최정실;정석태;최지호;최한석;백성열;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9-324
    • /
    • 2012
  • 거미줄곰팡이인 R. oryzae N174를 이용한 액체종국 배양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밀기울 농도별(0, 5, 10, 15 및 20%)로 액체종국을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에 밀기울 첨가량이 많을수록 균사체량이 많아졌을 뿐 아니라 산도, 아미노산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밀기울을 5% 첨가한 군에서 ${\alpha}$-amylase와 glucoamylase의 활성도가 높았으며 acidic protease의 경우에는 15% 밀기울 첨가 배지에서 활성도가 높았다. 배양시간 별(0, 24, 48, 72 및 96 hrs) 효소 활성은 48~72시간에 효소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R. oryzae N174 액체종국 최적조건은 5~15% 밀기울 배지에서 48~72시간 배양이 최적조건이었다. 이를 토대로 밀기울 액체종국을 제조하여 저장온도와 저장 기간을 달리하여 저장한 후, 밀누룩 제조시 종국으로서 적합한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밀누룩의 효소 활성뿐만 아니라 pH, 산도 및 환원당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저장온도와 상관없이 하루 정도 저장한 액체종국을 사용하여 만든 밀누룩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저장조건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된 액체종국에서 균사체의 생육과 포자의 생성유무에 따라 밀누룩의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각 효소의 활성과 균사체의 생장, 포자의 생성과는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