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ani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마우스 흑색종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기전연구 (Loganin Inhibits α-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정희진;방은진;김병무;정성호;이길한;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0-1207
    • /
    • 2019
  • Loganin은 Corni fructus의 주요 iridoid glycoside이며 항염증, 항당뇨 그리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melanogenesis억제효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Loganin의 미백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세포에서 $1{\mu}m$에서 $20{\mu}m$사이의 농도를 처리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mu}m$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oganin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따르면 loganin은 ${\alpha}-MSH$와 IBMX 처리된 B16F10세포에서 증가된 CREB인산화(Ser133)와 MITF 발현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고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melanin 생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멜라닌 합성을 CREB인산화와 MITF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ERK의 활성화를 통해 멜라닌 합성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oganin은 과색소 침착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보호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Loganin Prevents Hepatic Steatosis by Blocking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 Joo Hyeon Jang;Gabsik Yang;Jin Kyung Seok;Han Chang Kang;Yong-Yeon Cho;Hye Suk Lee;Joo Young L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1호
    • /
    • pp.40-47
    • /
    • 2023
  • Activation of the NLRP3 inflammasome is a necessary process to induce fibr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is a kind of NAFLD that encompasses the spectrum of liver disease. It i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and ballooning of hepatocytes during steatosis. We tested whether inhibiting the NLRP3 inflammasome could prevent the development and pathology of NASH. We identified loganin as an inhibitor of the NLRP3 inflammasome and investigated whether in vivo administration of loganin prevented NASH symptoms using a methionine-choline deficient (MCD) diet model in mice. We found that loganin inhibited the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triggered by ATP or nigericin, as shown by suppression of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 (IL)-1β and caspase-1 (p10) in mouse primary macrophages. The speck formation of apoptosis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 recruitment domain (ASC) was blocked by loganin, showing that the assembly of the NLRP3 inflammasome complex was impaired by loganin. Administration of loganin reduced the clinical signs of NASH in mice fed the MCD diet, including hepatic inflammation, fat accumulation, and fibrosis. In addition, loganin reduced the expression of NLRP3 inflammasome components in the liver. Our findings indicate that loganin alleviates the inflammatory symptoms associated with NASH, presumably by inhibiting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summary, these findings imply that loganin may be a novel nutritional and therapeutic treatment for NASH-related inflammation.

산수유의 지표성분 함량과 입지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rker compounds contents and cultivation environment of Cornus officinalis)

  • 어현지;강연경;김다솜;박영기;김현준;박광훈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175-1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재배 환경에 따른 산수유나무의 지표성분인 loganin 및 morroniside을 함량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구명하고자 하였다. Loganin 및 morroniside 함량은 UPLC에 의해 동시 분석되었다. 토양 데이터의 Mg2+ 함량과 pH가 loganin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g2+, Na+ 함량, pH, 염도, silt 비율, 점토 비율이 morroniside 함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Mg2+ 함량, pH, 점토비율은 산수유 지표성분인 morroniside 및 loganin 함량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수유나무의 최적의 재배환경요건에 대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산수유 음료의 Morroniside, Loganin 및 Cornin 함량과 이화학적 특성 (Morroniside, Loganin, and Cor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ansuyu (Corni fructus) Retort Drink)

  • 박수진;정지숙;정재훈;박노진;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1018-1025
    • /
    • 2017
  • 본 연구는 산수유 음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중에 유통 중인 산수유 파우치 형태 액상제품 18종의 제품을 수거하여 기능성 성분 함량 및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효물질은 morroniside였으며, 다음으로 loganin, cornin 순이었다. 구례 지역 생산 산수유 제품의 1 2차 평균 유효물질 morroniside, loganin 및 cornin의 함량이 각각 89.55, 66.04, 12.91 mg/100 g으로 전체 평균 77.22, 45.51, 8.16 mg/100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Morroniside가 전체 평균보다 높은 제품은 각각 7개 및 7개였으며, loganin은 6개 및 4개, cornin은 8개 및 1개였다. 또한, cornin이 전혀 검출되지 않은 제품도 1차 및 2차에서 각각 1개 및 4개 있었다. 지역별 유효성분 차이는 구례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morroniside 함량 2차 분석을 제외하고 모든 유효성분 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대부분 제품의 유효물질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품질이 우수한 산수유 음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료의 표준화와 추출조건과 같은 추출공정의 표준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Lonicera etrusca Growing in Saudi Arabia

  • Alqasoumi, Saleh I.;Al-Rehaily, Adnan J.;Abdel-Kader, Maged 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121-124
    • /
    • 2009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aerial parts of Lonicera etrusca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three iridoids including two aglycones, loganin aglycone (log-1) (1) and lonicerin (log-2) (2), and the known common glycoside loganin (4). The study also afforded a coumarin derivative, 7-hydroxycoumarin (3), and a flavonoid glycoside, luteolin-7-O-$\beta$-D-glucoside (5).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utilizing physical, chemical and spectral methods.

Seasonal Variation of Loganin from Lonicera japonica Thunb.

  • Chung , Sung-Hyun;Yim , Dong-Sool;Lee, Soo-Kye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8.3-209
    • /
    • 2003
  • Lonicerae Folium et Caulis, the folium and stem of Lonicera japonica Thunb., has been used as diuretic, stomachic,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gent in Korea. We isolated a main iridoid, loganin which has some important biological effects from the folium and stem of this plant. Generally, it is known that iridoid compounds have variable contents by the collecting time and a part of plant. The content of main compound is important to evaluate its quality.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Lonicerae Folium et Caulis, the method of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oganin as a reference standard compound has been developed. (omitted)

  • PDF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기능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of Cornus officianalis Extracts Obtained by Four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 박은비;김혜선;신소연;지인해;김지현;김성구;유병홍;김병우;곽인석;김문무;정경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07-1514
    • /
    • 2012
  • 산수유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또한 최근에 관심의 증가로 산수유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 방법 개발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유효성분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는 것은 산업적 상품의 진위와 품질을 판정하는데 중요한 수단이 된다. 본 연구는 loganin을 지표 물질로 하여 산수유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여러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방법에 따라 추출한 시료의 기능성의 차이를 항산화 작용으로 분석하였다. 산수유로부터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네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추출된 유효성분 지표물질로 loganin의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열수를 사용한 추출 방법이 알코올 추출 또는 효소 처리 방법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각 추출 시료의 항산화 기능은 DPPH radical 소거능,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reducing power 측정으로 분석하였다. 추출 방법에 따라 항산화 기능이 차이가 있었으며, 열수 추출 시료가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효과가 우수하였고, 효소 처리 추출 시료는 reducing power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추출 방법에 따라 시료에 함유된 성분의 차이가 항산화 기능이 차이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산수유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에 준하는 항산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성분은 열수 추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추출되었으며, 열수 추출 방법은 산업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인동덩굴 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on MMP-1 Produc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 정연수;이진영;고재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7-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을 파괴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노화 천연물을 얻고자 하였다. 50 여종의 생약추출물을 스크리닝 한 후 그 중 인동덩굴 추출물을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동 줄기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차례로 용매 분획을 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 50 ㎍/mL와 부탄올층 200 ㎍/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MMP-1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능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는 분획을 얻기 위해 HP20 레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80% 에탄올 분획을 얻었다(LJ F80). LJ F80과 지표성분 loganin은 농도의존적으로 MMP-1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같은 농도에서 LJ F80이 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 분획에 대한 안정도를 각각 4 ℃, 상온, 40 ℃에 보관하면서 HPLC로 분석하여 16 주간 평가하였다. Loganin을 기준으로 하여 초기값 대비 ± 10%내외의 안정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인동의 LJ F80은 피부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천속단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Loganin 성분 변이 (Variation of Yield and Loganin Content According to Harvesting Stage of Dipsacus asperoides Wall)

  • 안찬훈;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4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loganin content in Dipsacus asperoides Wall. Methods and Results: Dipsacus asperoides seedlings were planted within a nursery environment in early May 2015 and harvested in early, middle and late October 2015, and early November 2015. Harvest time did no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length, leaf width and aboveground dry weigh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oo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lateral roots was greater in the harvests from the late October and period thereafter. The highest values of root dry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in early November. Specifically, the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5 kg/10 a (index: 100) in early October to 358 kg/10 a (index: 175) in early November, in terms of root part weight. Loganin contents of D. asperoid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rvest times raging from 0.0766% in early October to 0.1704% in late November, thereb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in later harvest 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D. asperoides is early November, when the yield is the highest. Harves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loganin contents, which constantly increased from early October until early Novembe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Major Constituents of Lonicera japonica

  • Lee, Song-Jin;Shin, Eun-Joo;Son, Kun-Ho;Chang, Hyeun-Wook;Kang, Sam-Sik;Kim, Hyun-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33-135
    • /
    • 1995
  • Previously, we reported that the n-butanol fraction of Lonicera japonica showed anti-flammatory activity in mice and rats. Several constituents such a loniceroside A and B, flavonoids and iridoids were isolated from this fraction. In this investigati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major constituents of L. japonica was studied. Loniceroside A, lonicerin and loganin showe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mparable to aspir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