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gical

검색결과 2,655건 처리시간 0.039초

'생각하는 과학' 활동을 경험한 초등 학생들의 논리 사고력 측면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by the Logical Thinking Skill about the Elementary School's Pupil through the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 양혜영;강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85-4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at the 'Thinking Science' activities affects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by the logical thinking skill about pupil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19 activities of 'Thinking Science' as the teaching materials was implemented to 40 pupils in elementary school over 13 week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in logical thinking skills(p<.05). Those teaching materials contributed to improve 3 logical sub-elements significantly(p<.05) as the proportional logical element, the probabilistic logical element, and combinational logical ele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servational logical element, control of variable element, and correlational element(p<.05).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과학적 개념의 이해 분석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 강철웅;김형범;정진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5-173
    • /
    • 2013
  •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science based on the 6th graders' levels of log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logical thinking test was given to 108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2 students were interview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61.1% of students were in concrete operational period in their logical thinking, 27.8% were in their transitional period, and 11.1% were in their formal operational period. By using Flow-Map, 32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understanding of concept. Students' flexibility of cognitive struct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gical thinking and the levels of understanding concepts as well. However, misconception didn'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the characters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 by their levels of logical thinking was that as you get higher levels of logical thinking, their cognitive structure to understand concept was more systemized, in order and more logical.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in science experiment class. First,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various levels of logical thinking and that affected to their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Therefore, lesson planning and class should be done by reflecting their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Second, since they had different levels of logic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utiliz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more systematically.

『논리-철학 논고』의 '논리적 공간'에 관하여 (On 'Logical Space' of the Tractatus)

  • 박정일
    • 논리연구
    • /
    • 제19권1호
    • /
    • pp.1-49
    • /
    • 2016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중요한 여러 의문들을 불러일으킨다. 논리적 공간, 논리적 좌표들, 그리고 논리적 장소란 무엇인가? 그러한 비유의 요점은 무엇이며, 또 그것들이 정확하게 "논고"에서 가리키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또한 논리적 공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사실들, 명제, 명제 기호, 상황, 모순인가 아니면 이와 관련된 "논고"의 언급들은 그저 화해할 수 없을 뿐인가? 논리적 공간을 둘러싼 논고의 수수께끼 같은 언급들은 정확하게 해명 가능한가? 게다가 "논고"에서 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공간이라는 개념을 필요로 했는가? 이를 통하여 그는 어떤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는가? 나는 이 글에서 이 물음들에 대해 대답하고자 한다. "논고"에서 논리적 공간은 뜻 있는 명제들의 체계이다. 또한 그것은 헤르츠의 배위 공간을 모델로 삼아 비트겐슈타인이 끌어들인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의 근본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 어떤 점에서는 유사하다. 반면에 논리적 좌표들은 기하학적 좌표들과는 완전히 다르다. 그리하여 논리적 공간을 일종의 기하학적 공간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모두 옳지 않다.

  • PDF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논리적 사고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Logical Thinking Ability Measuring Tool in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 이좌택;이상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25
    • /
    • 2004
  • 그 동안의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래밍 학습 후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측면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를 이용하여 왔다. 지능은 영역이 서로 독립적이며, 분야별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특정분야에서 요구하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국 내외 표준화된 검사지 분석을 통하여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관련성이 있고, 인지발달 수준에 적합한 논리적 사고와 이의 하위요인을 추출하고 개발절차 모형에 따라 동형의 논리적 사고 검사 I, II를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논리적 사고 검사지에 대한 검증결과 동형의 논리적 사고 검사지임이 밝혀졌다. 개발된 검사지는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와 이의 하위논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 PDF

무선 ATM 망에서 이동성 지원을 위한 위치 등록기의 논리적 계층 구조 (A Logical Hierarchy Architecture of Location Registers for Supporting Mobility in Wireless ATM Networks)

  • 김도현;조유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6A호
    • /
    • pp.361-37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PNNI(Private Network to Network Interface) 기반의 무선 ATM 망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의 위치 등록기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기존의 위치 등록기 구조는 위치 등록기를 물리적 계층으로 배치함으로 인해 다수의 데이터베이스가 요구되고,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회수와 신호 트래픽 및 호 설정 지연 등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논리적 계층 형태로 이루어진 위치 등록기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논리적 계층 구조에서는 위치 등록기를 논리적인 그룹으로 묶고, 이 그룹들을 다시 그룹으로 묶어서 위치 등록기의 논리적인 트리 형태로 만들어 상위 레벨의 위치 등록기의 역할을 하위 레벨의 위치 등록기 중 하나가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위치 등록기 구조와 성능을 비교한 결과에서 제안된 논리적 계층 구조는 데이터베이스 수와 위치 관리비용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웹 문서로부터 논리적 구조 추출 (Extracting Logical Structure from Web Documents)

  • 이민형;이경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354-1369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를 XML 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논리적 구조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주얼 그룹화, 요소 식별, 그리고 논리적 그룹화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특히 정교한 수준의 논리적 구조분석을 지원하기 위하여 특정 주제에 속하는 문서 유형의 논리적 계층 구조를 효과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문서 모델을 정의한다. 제안된 방법은 비주얼 그룹화를 통해서 추출된 시각적 계층구조와 문서 유형에 대한 논리적 구조 정보를 기술한 문서 모델에 기반하기 때문에 보다 정교한 수준의 구조 분석을 지원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웹으로부터 추출한 다수의 HTML 문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논리적 구조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논리적 구조분석의 최종 결과로서 XML문서를 생성하기 때문에 문서의 재 사용성을 높인다.

  • PDF

모형론적 논리적 귀결과 논리상항 (Model-theoretic Conceptions of Logical Consequences and Logical Constants)

  • 박준용
    • 논리연구
    • /
    • 제17권1호
    • /
    • pp.71-109
    • /
    • 2014
  • 셔어는 타르스키의 논리적 귀결 정의가 개념적으로나 외연적으로 적합한 설명이라고 믿는다. 셔어는 모스토프스키의 동형 구조 내의 불변적인 것으로서 일반화된 양화사 개념, 그리고 자신의 모형 이론에 근거해서 그 믿음을 정당화하려 하였다. 이 글에서 나는 타르스키의 정의를 정당화하려는 셔어의 시도는 반만 성공한 것임을 보이려 한다. 나는 논리적인 것이 동형 구조 내의 불변적인 것이라는 셔어의 생각은 논리적 귀결의 형식적 특징을 보이기에 충분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반면 나는 용어의 의미에 대한 셔어의 생각은 외연이 빈 술어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기에는 아주 부적합해서, 결국 셔어는 논리적으로 필연적인 진리들과 그 밖의 진리들을 구별하는 데 실패하였다고 생각한다.

  • PDF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onents of Logical Thinking in Problem-solving Process on Informatics Subject)

  • 윤일규;김종혜;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14
    • /
    • 2010
  • 지금까지의 정보 교과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 검사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래밍 학습 결과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의 향상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 및 타 교과에서 논리적 사고력의 특성과 달리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의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정보 교과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개방형식의 전문가 설문과 연구자 숙의 과정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중등 정보 교과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내용요소와 연관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서열화 논리, 명제 논리, 상관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 비례 논리이며, 조작적 정의와 정보교과 내용요소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평가문항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 교과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과 평가 방안의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rpus-Based Study on Korean EFL Learners' Use of English Logical Connectors

  • Ha, Myung-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4호
    • /
    • pp.48-5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30 logical connectors in the essay writing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comparison with the use in similar types of native English writing. The main questions addressed were as follows: Do Korean EFL students tend to over- or underuse logical connectors? What types of connectors differentiate Korean learners from native use? To answer these questions, EFL learner data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native speakers using computerized corpora and linguistic software tools to speed up the initial stage of the linguistic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EFL learners tend to overuse logical connectors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entence, and that they tend to overuse additive connectors such as 'moreover', 'besides', and 'furthermore', whereas they underuse contrastive connectors such as 'yet' and 'instea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made concerning the need for teaching of the semantic, stylistic, and syntactic behavior of logical connectors.

온라인 GIS 예방진단시스템의 IEC61850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IEC61850 to "GIS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 박동호;민병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250-251
    • /
    • 2006
  • 현대 전력산업은 IEC61850의 표준화작업이 한창 진행중이다. IEC61850-7-4는 전력설비 요소마다 Logical Node를 선언해 놓았다. 현재의 Logical Node는 보호, 제어, 인터페이스, 기록, 자동, 측정, 센서 & 모니터링, 변전기기 등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GIS 예방진단 시스템에 관한 Logical Node와 공통 데이터 클레스(CDC: Common Data Class)가 명확히 선언되지 않았다. 1993년 IEC61850의 객체모델이 제안될 때부터 변전소의 다양한 설비를 완벽하게 객체화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었으며 현재에서 이런 의문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TC57위원회에서는 지속적인 모델 수정 및 정비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제로 현재에도 전력품질에 대한 logical node가 'Q'그룹으로 새롭게 제시되고 있고 풍력발전이나 분산전원에 대한 logical node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IEC61850-7-4의 내용이 수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변전설비 자동화에 필요하지만 IEC TC57에서 표준화되지 않은 온라인 GIS 예방진단용 설비에 대한 표준모델을 제시하였고 모델에 대한 logical node나 CDC를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