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ricri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Skin Lipid Barrier Formation on Hataedock Treatment with Douchi

  • Kim, Hee-Yeon;Ahn, Sang-hyun;Yang, Injun;Kim, Kib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1-52
    • /
    • 2017
  • Objectives: Hataedock is indigenous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that administers herbal extracts orally to newborn infants for remove the fetal hea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kin lipid barrier formation effect of Hataedock treatment with Douchi. Methods: We measured the Western blot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protein such as involucrin and loricrin. Moreover, w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changes in NC/Nga mice. The 3-week-ol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3-week-old control group (3w-Ctrl), 5-week-old control group (5w-Ctrl), and the Hataedock-treated group (5w-FGT). Only the 5w-FGT group was treated with Douchi at the 3rd week. We identified the changes of the lipid skin barrier and protein differentiation through immunohistochemical changes of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 and acid sphingomyelinase (ASM) in the stratum corneum. Results: The expression of involucrin and loricrin was increased in the Western blot that was treated with concentration of Douchi extracts. In 5w-FGT group, loricrin-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by 54.0%, involucrin-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by 84.0%, filaggrin-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by 108.0% and ASM-positive reaction was increased by 91.0% in the stratum corneum.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taedock treatment with Douchi promoted skin lipid barrier formation by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황련감초 하태독법의 피부 지방장벽형성 증진효과 (Effect of Skin Fat Lipid Barrier Formation on Hataedock with Coptis Japonica & Glycyrrhiza Uralensis)

  • 안상현;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23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skin fat barrier formation of Hataedock using the Coptis japonica &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Methods The 3-week-ol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 (Ctrl), Hataedock-treated group that uses the Coptis japonica & Glycyrrhiza uralensis (CGT) extract, and Hataedock-treated group that uses Bifidobacterium (BBT). After 2 weeks, changes in immunohistochemicals, and skin-lipid-barrier regulators were observed for the effects of Hataedock. Results In CGT group, loricrin-positive reaction has been increased by 231%, along with involucrin-positive reaction by 90%, filaggrin-positive reaction by 143%, and ASM-positive reaction by 341% in the stratum corneum. Conclusions Hataedock, using the extract of Coptis japonica & Glycyrrhiza uralensis,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promoting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This leads into conclusion that Hataedock may increase the keratinocyte formation and function which promotes skin barrier formation.

Synthesis of Tetrapeptide Derived from Skin Structural Protein Sequence and Identification of Skin Anti-aging Effect

  • Kang, Sang Moon;Joun, Yong-Seung;Lee, Kee-Young;Kang, Hyun;Lee, Sung-Gyu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1-238
    • /
    • 2021
  • Several structural proteins present in keratinocytes of the skin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epidermal tissue and barrier function, and the absence of structural proteins in keratinocytes causes various skin diseases. In this study, 42 types of tetrapeptides derived from the sequence of Loricrin, a kind of terminally differentiating structural protein, were synthesized, and skin anti-aging properties were measured by measuring the elastase inhibition, proliferation of skin cells. The anti-aging efficacy was verified and, based on this, it succeeded in selecting one of the most excellent peptides. It is expected that the selected tetrapeptide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various cosmetics and quasi-drugs based on anti-aging and skin cell proliferation effects.

황련해독탕의 피부지방장벽개선을 통한 Th2 분화조절이 아토피피부염 완화에 미치는 효과 (Hwangnyeonhaedok-tang Extracts Ameliorates Atopic Dermatitis via Epidermal Lipid Barrier Regeneration in NC/Nga Mouse)

  • 손성한;안상현;박선영;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90-99
    • /
    • 2018
  • Objectives Hwangnyeonhaedok-tang is a Korean herbal medical treatment that removes toxic heat, fever and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wangnyeonhaedok-tang treatment on the relief of atopic dermatitis (AD) through regeneration of skin lipid barrier. Methods Male NC/Nga mice (20 g, 6 week age) were used. Each 10 mice were allocated to the control group (Ctrl), the AD-induced with no treatment group (AE), and the group which induced AD after administering Hwangnyeonhaedok-tang extract (HT). To induce AD-like skin lesions, sodium dodecyl sulfate (SDS) (Sigma-Aldrich, USA) was rubbed on the back of each mouse to remove the lipid lamella of the stratum corneum, and Dermatophagoides (D.) farinae crude extract was applied. HT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Hwangnyeonhaedok-tang after induction of AD. IL-4 IL-13, $p-I{\kappa}B$, iNOS, Sudan Black B (SB), loricrin, and filaggrin were observed to confirm the effect. Results In HT group, AD skin score was decreased by 46%. The cytokine IL-4 and IL-13, which can identify Th2 differentiation, was reduced by 73% and 58% each.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observed in $p-I{\kappa}B$ and iNOS by 69% and 54%, respectively. Finally, SB showed that the regeneration of the lipid layer and the increase of the regeneration power of loricrin and filaggrin were increased by 437% and 464%, respectively.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 we observed that Hwangnyeonhaedok-tang treatment alleviates AD by decreasing skin score, reducing Th2 differentiation, inducing anti-inflammatory, and increasing skin lipid barrier regeneration. Thus, Hwangnyeonhaedok-tang treatment would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AD relieving treatment.

표피항상성과 건조피부의 관리 (Epidermal Homeostasis and Dry Skin Management)

  • 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08
  • 피부장벽을 포함한 표피층은 인체의 조직 가운데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기관이다. 다시 말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표피세포의 형성, 분화 및 탈각과정이 반복되면서 표피항상성(epidermal homeostasis)을 유지한다. 표피항상성은 피부기능 가운데 가장 주요한 기능인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의 확립으로 연결된다.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는 각질층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표피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심 조절인자로서 nuclear hormone receptor(NHR)가 중심에 있음이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들은 각질세포 특이적인 단백질, 즉, involucrin, loricrin 및 trans-glutaminase 1(TG 1) 등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할 뿐 아니라 표피 지질성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등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brick 및 mortar의 생성과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HR 가운데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or receptor(PPAR)와 liver X receptor(LXR)의 activator/ligands가 리놀레인산 등 지방산, leukotriene, prostanoid 및 oxygenated sterol 등이 지질대사과정에서 형성된 지질 종류인 까닭에 liposensor로도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liposensor들을 비롯한 PPAR과 LXR activator/ligands들은 피부장벽기능이 저해된 아토피성 피부를 포함하여 건조피부를 관리하는 epidermotherapy의 수단으로서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ree-Dimensional Skin Tissue Printing with Human Skin Cell Lines and Mouse Skin-Derived Epidermal and Dermal Cells

  • Jin, Soojung;Oh, You Na;Son, Yu Ri;Kwon, Boguen;Park, Jung-ha;Gang, Min jeong;Kim, Byung Woo;Kwon, Hyun 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238-247
    • /
    • 2022
  • Since the skin covers most surfaces of the body, it is susceptible to damage, which can be fatal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jury to the skin because it defends against external attack and protects internal structures. Various types of artificial skin are being studied for transplantation to repair damaged skin, and recently, the production of replaceable skin using three-dimensional (3D) bioprinting technology has also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skin tissue was produced using a 3D bioprinter with human skin cell lines and cells extracted from mouse skin, and the printing conditions were optimized. Gelatin was used as a bioink, and fibrinogen and alginate were used for tissue hardening after printing. Printed skin tissue maintained a survival rate of 90% or more when cultured for 14 days. Culture conditions were established using 8 mM calcium chloride treatment and the skin tissue was exposed to air to optimize epidermal cell differentiation. The skin tissue was cultured for 14 days after differentiation induction by this optimized culture method, and immunofluorescent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epidermal cell differentiation marker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pidermal cells had differentiated. After differentiation, loricrin, which is normally found in terminally differentiated epidermal cells, was observed in the cells at the tip of the epidermal layer, and cytokeratin 14 was expressed in the lower cells of the epidermis layer. Collectively, this study may provide optimized conditions for bioprinting and keratinization for three-dimensional skin production.

HaCaT 세포에서 회향 열매의 피부장벽기능과 hyaluronic acid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Fruits of Foeniculum vulgare on Skin Barrier Function and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HaCaT Keratinocytes)

  • 유학인;양인준;빅터루베리오린차;박인식;이동웅;신흥묵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80-888
    • /
    • 2015
  • 회향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인 Foeniculum vulgare Mill.의 성숙한 과실로서 항염, 진통, 피부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회향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 치료제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소재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에 회향 열매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hexane, methyl chloride, ethyl acetate, butanol)을 처리한 후, involucrin, loricrin, filaggrin의 발현과 hyaluronic acid의 생성 및 β-defensin -1, -2, -3, LL-37의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butanol 분획물 50 μg/ml을 24시간 동안 처리시 involucrin과 filaggrin단백질 발현을 각각122.8%, 105%로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Elisa assay를 통해 분석한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은 대조군에 비해 hyaluronic acid의 생성을 각각17%, 11% 증가시켰으며, 이는 hyaluronic acid synthesis-1의 mRNA 발현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회향 열매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에서 β-defensin -1, -2, -3, LL-37의 mRNA 발현은 증가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회향 열매 butanol 분획물이 각질형성세포에서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고 보습인자 조절을 통해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모자반 추출물의 자외선비(ultraviolet B)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ojaban (Sargassum fulvellum) extract on ultraviolet 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ouse skin)

  • 임동빈;김창희;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67-475
    • /
    • 2020
  •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은 피부 주름 형성과 피부 건조를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의 주요 원인이다.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항염증, 항산화, 항아토피 활성을 갖고 있다. 특히, 모자반은 인간 각질세포(keratinocyte)와 실험동물의 피부에서 UVB에 의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자반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노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UVB를 SKH-1 무모 마우스의 등 부분에 8주간 처리하였으며, 동시에 모자반 추출물을 300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현상학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주름 형성, 홍반 및 피부 두께를 감소시켰으며, 피부 탄력을 증가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유전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을 증가시켰다. 추가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무모 마우스의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감소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하는 involucrin, loricrin, transglutaminase의 발현과 자연보습인자 관련 생체지표인 filaggrin 및 caspase-1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종합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의 콜라겐 손실과 건조를 완화함으로써 광노화 억제 활성을 제공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 광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포스파티딜세린의 각질세포 분화 유도를 통한 피부장벽 기능 강화 (Phosphatidylserine Enhances Skin Barrier Function Through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 정소영;남상준;최왕근;서미영;김진욱;이승헌;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22
    • /
    • 2006
  •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PS)은 생체막에서 구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인지질로서, 생체 내 다양한 세포작용에 필수적인 신호전달 효소의 보조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PS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피부에서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모생쥐의 피부에 tape-stripping으로 경표피수분손실(TEWL)의 증가를 유도한 후, PS를 도포함으로써 그 손실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PS 도포군의 피부에서 세라마이드 함량이 증가된 사실을 확인한 바 있다. PS 도포군에서 non-hydroxyl 세라마이드와 glucosyl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각각 1.4배와 1.6배로 증가하였다. PS는 또한 피부각질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다. 피부각질세포에 PS를 처리함으로써 세포 형태가 분화상을 띄고 있음을 현미경 상에서 확인하였고, 표피분화의 특이적 표지 단백질인 Involucrin (INV)과 Transglutaminase 1 (TG'ase 1)의 발현이 각각 3.5배와 3배로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웨스턴 블랏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무모생쥐 피부에 PS를 도포한 결과 INV와 loricrin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PS가 피부에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는 최초의 증거를 제시하며, 구체적으로는 각질세포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부 세라마이드 함량을 증가시키고 경표피 수분손실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of Cymbopogon citratus and Perilla frutescens Extracts)

  • 소양강;황지영;김현우;조하늘;이태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5-235
    • /
    • 2019
  •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alpha}$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alpha}$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