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xury a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명품구매동기와 사용혜택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 모형 분석 (On the purchase of luxury motivation factors and use benefits Causal Structure Model Analysis)

  • 염동섭;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81-28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행동과 관련된 요인들로 밝혀진 구매동기요인 및 사용혜택요인들을 중심으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분석을 토대로 한국인의 명품구매동기와 사용혜택요인들에 대한 요인구조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명품 구매의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비자들이 명품을 구매하는 동기와 명품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혜택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물질적 동기는 경제적 혜택과 실용적 혜택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동기는 개인적 혜택과 사회적 혜택 및 경제적 혜택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들의 명품 구매동기 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물질적 동기는 유의미한 영향이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심리적 동기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명품 사용 혜택요인들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개인적, 경제적, 실용적 혜택요인들은 유의미한 영향이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회적 혜택요인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요인들 간의 매개효과 측면을 확인한 결과, 심리적 동기만이 사회적 혜택요인을 통한 구매의도와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명품구매행동을 설명하는데 구매동기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단순한 직선관계뿐만 아니라 명품을 사용함으로서 얻게 되는 혜택요인에 대한 지각이 매개되어 나타나는 간접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관련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소비자들의 이러한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the Korean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onsumer Attitude of Luxury Good)

  • 염동섭;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11-11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분석을 토대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은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는 요인분석결과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존감의식성 요인과 거만의식성 요인이 쾌락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인정성 요인은 품질신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의 명품관련 연구들에서 주로 다루어 왔던 과시적 체면 이라는 심리적 변인에서 탈피하여, 우쭐 이라는 한국인의 또 다른 심리적 특성 변인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타겟 집단의 우쫄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명품광고 제작시사점을 중심으로 (The Impact on the Korea Characteristic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Luxury Product : focus on Strategic Implication in Luxury Ad)

  • 유승엽;염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21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소비행동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론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이 명품 제품태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인의 우쭐성향은 요인분석 결과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체면성향은 요인분석결과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 중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우쭐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쭐성향 중 자기중심, 열등감, 자존감, 과시성향 요인이 명품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우쭐성향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우쭐 심리적 특성의 하위속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명품브랜드 선호도 유형에 따른 위조브랜드 품질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ged Bran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based on Types of Preference of Luxury Brands)

  • 손종원;장석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7-353
    • /
    • 2013
  • Purpose: As there are more cases of forged brands, change of awareness is urgently required at the governmental, corporate and consumer leve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ositivel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orged bran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perceived by consumers based on types of preference of luxury brand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derived a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orged brand quality, preference of typified luxury brands, and purchase intentions. SPSS 20.0 was applie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a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basic data and measurement tools were verified through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nly utilitarian quality positively (+) affected non-intrinsic preference while its impact on intrinsic preference was negative (-). On the other hand, hedonic quality was significantly positive (+) but the impact was not significant. Both utilitarian and hedonic qualiti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forged brands with the impact of hedonic quality relatively higher. Conclusion: These results clarified that the overall consumption of Korean consumers had not entered its maturity, yet. Also, Korean consumers regard forged brands as alternatives to luxury brands mostly because of hedonic quality. As hedonic quality is added, Korea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became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easures to be taken for the country to develop into an advanced country in the luxury market which is becoming more global and overcome the barrier of its old trend in imitation at the four levels of manufacturers, distributors, government, and consumers.

인터넷 광고(廣告)를 통(通)한 랄프 로렌의 브랜드 전략(戰略) 및 디자인 특성(特性) (Ralph Lauren's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Strategies of Ad Pictures on Internet Website)

  • 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4호
    • /
    • pp.125-14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strategies of Ralph Lauren's products through the advertising pictures on internet website. Methods of this study are the analysis of his brand growth process, concept strategy and designs by web promotion sites. Also this study defined his brand character and fashion mi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Ralph Lauren's concept strategies are 1. Convert british type into American style 2. Presentation an American life style 3. Marketing strategy using life style and IT business. 2) Ralph Lauren's designs characters are 1. Rich and simple style by preppy look 2. Traditional wear of noble taste 3. Western style of American reclamation period 4. Using of comfortable material 5. Unique colors which are simbolic. Today, his classic and preppy designs all draw upon an image of old word wealth and luxury and he pioneered the concept of clothes as part of a lifestyle environment.

패션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던적 특징 (Postmodern Characteristics in Fashion Advertising)

  • 최선형
    • 복식
    • /
    • 제58권10호
    • /
    • pp.123-13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in global fashion advertising. This analysis of postmodern print campaign strategies will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global fashion consumer and assist in establishing global advertising strategies for domestic fashion brands. 2006 A/W and 2007 S/S magazine campaigns for 190 fashion luxury brands were are collected, which were uploaded on the WGSN website. All advertising campaigns were analyzed in terms of postmodern features by four fashion professionals. As a resul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vertising model stereotype was deconstructed. Besides young celebrities, ad models such as real people and old or childish celebrities were cast. Second, expression technique was deconstructed. Chromatic harmony was broadened to include black and white advertising, additive and subtractive color mixing. Innovative layout techniques such as collage were used. And also narrative structure was deconstructed. Third, diverse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message, globalization, fantasy, feminism, everyday life were expressed as advertisement appeals.

광고 캠페인의 소셜 네트워크 확산 구조에 대한 연구 (How do advertisements spread on social networks?)

  • 김유나;한상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61-16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 캠페인이 소셜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확산되고 있으며, 광고의 핵심 요인인 광고모델이 확산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패턴과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맥주 브랜드인 '클라우드(Kloud)'를 수집 키워드로 하여 텍스트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광고의 영향이 어떻게 SNS에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설현'이 광고모델로 처음 등장한 'Good Body' 광고 집행 이후 2달 간 네이버 블로그와 카페의 소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고 이후 클라우드에 대해 '?고 트렌디한 스타일', '맥주 브랜드', '맥주와 어울리는 음식', '럭셔리한 맥주 음용 장소', '여가 트렌드', 'SNS 활동' 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클라우드 광고 모델 '설현' 역시 모델 이미지를 브랜드에 전이시키는 동시에 광고의 USP 및 브랜드명을 잘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 모델이 소셜 미디어 상에서 광고와 브랜드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광고 캠페인의 SNS 상의 확산 구조와 패턴을 밝혀냄으로써 광고 캠페인의 효율적인 운영 관리에 실무적인 기여를 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브랜드 가치 유형과 카피 유형에 따른 광고제작 전략: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Ad Production Strategies According to Brand Value and Copy Type: Focusing on Cosmetic Brands)

  • 유승엽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33-42
    • /
    • 2023
  •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광고 카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브랜드가치)×3(카피유형) 요인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독백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리미엄 브랜드의 경우, 권유형 카피가 가장 광고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구매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매스 브랜드의 경우 대화형 카피가 가장 광고효과(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의 가치 유형에 따라 카피를 유형을 차별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으며, 화장품 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카피 전략에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