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 temples properti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우리나라 중요목조문화재의 효과적 화재진압을 고려한 기본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basic quality analysis for an effective fire suppression of the main temple properties in Korea)

  • 정은지;신호준;이지향;김정호;백민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71-478
    • /
    • 2008
  • This study grasps the type and site area of properties, the size of properties, the distance between the wooden properties and fire station, the direction of a fire engine in the wooden properties, the member of self-protec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fire fighting. And the 121 main temples properties in Korea is researched for an effective fire suppression.

  • PDF

전통사찰의 현장실태분석을 통한 소방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Fire Safety Plans by a Field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of Traditional Templ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Eunpyeonggu Seoul -)

  • 송윤석;현성호;김완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7-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통목조건축물 중에서 전통사찰을 대상으로 소방안전 관련규정과 주요 화재원인 및 사례 등을 검토하여 화재취약성을 분석하였고,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문화재를 보유한 전통사찰의 3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지리적 여건, 소방대의 출동경로 현장 도착 소요시간, 소방시설, 방화관리 및 보안시스템, 화재취약요인 등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여 전통사찰의 소방안전대책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중요사찰목조문화재의 소방대책을 고려한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for Fire Counterplan of Main Temple Wooden Cultural Properties)

  • 백민호;신호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21-13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재청에서 지정한 국가지정 중요목조문화재 124곳 중 중요사찰목조문화재 80곳에 대하여 2008년 6월부터 12월까지 각 사찰에 대해 현지조사와 사찰을 관장하는 각 관할소방서에 대한 화재진압 매뉴얼의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문화재지정구분, 소재지구분, 사찰부지면적, 사찰 내 건축면적, 지정문화재의 건축면적, 화재발생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차의 진입방향, 소방관서와의 거리, 방화관리자의 지정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사찰의 문화재보유특성에는 사찰경내의 목조건물이 중요목조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는 경우와 석탑, 불상, 탱화, 종, 석등, 부도, 현판, 주련 등이 보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각 문화재를 유형별로 이동 운반이 가능한 소산문화재와 이동 운반이 불가능한 불소산문화재로 분류 조사하였으며, 각 문화재의 재질을 조사하여 화재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과 문화재 피해 최소화를 위한 기초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난 꽃담의 형태와 상징성 연구 - 전라북도 문화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Shape and Symbolism of Flowered-Wall in Tradition Private Houses and Temples - Focusing on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Jeollabuk-do Province -)

  • 고유라;신상섭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27
    • /
    • 2016
  • 건물의 벽이나 담에 여러 가지 문양을 넣은 담장을 '꽃담' 또는 '화초장(花草墻), 화문장(花紋牆)'이라고 한다. 꽃담을 통해서 외적으로는 소유자의 권위, 가치관 등을 짐작할 수 있고, 내적으로는 집안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추적할 수 있기도 하다. 그동안 꽃담 관련 연구의 경우 궁궐은 건축, 원예, 미술 디자인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진행된 반면 지역성과 관련한 전통민가와 사찰 관련 연구는 조경분야에서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관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국가 및 도지정 문화재인 전라북도 소재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 사례를 조경적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전수 조사한 결과 꽃담이 도입된 전통민가 9개소와 사찰 7개소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즉, 전라북도에 산재하는 문화재 16개소를 중심으로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나는 꽃담의 형태와 기능, 재료,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추적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꽃담은 위치와 형태에 따라 공간기능과 성격이 차별화 되며, 문양의 경우 담장은 물론 합각, 고막이, 굴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난다. 민가에서는 식물은 물론 문자문양까지 다양한 반면 사찰에서는 불교의 교리와 신앙 등의 의미를 지닌 신앙관련 문양이 주로 나타난다. 상징적으로 민가의 경우 가문과 자손 번영, 벽사, 장수, 길수(吉數) 등이 나타나며, 사찰에서는 불성(佛性)과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고 연꽃의 속성을 강조하는 등 의미적 차별성이 표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향토 조경문화의 올바른 조명, 현대 공간에 꽃담을 모티브로 한 한국적 정취의 표출 가능성, 그리고 꽃담에 대한 인식 제고와 계승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등과 같은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여주 고달사지의 가람배치 변천과 주요 건물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 $1{\sim}5$차 발굴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Layout Transition and main buildings of Godal temple site in Yeoju)

  • 이승연;장경호;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2호
    • /
    • pp.59-78
    • /
    • 2007
  • Studies and reports on buddhist temples in Goryeo dynasty are rarely In the present situation. At this point of time new excavational reports and historic records offer many materials to understand a architecture in Goryeo period. Especially, temple site have various transitions, it is of great value to study. This article attempted a restorative study of a location, function, spacial arrangement, structure, building age is based on a measure and transition of temple layout that is based on the excavational result and related historic documents about Godal temple site in Yeoju. Gadal temple site was a representative Zen buddhist temple in Goryeo Dynasty. It was difficult of access by watercourse because it was located in an inland in the upper Han River. Archaeological research and historical records has reveals that the temple was constructed with a minium of four levels[six terms]. We could recognized the central site of temple and buildings were constantly established, enovated or collapsed. It has went through many transition according as it encountered new sects and doctrines. Also it should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overcome given conditions. Ultimately it let see greater diversity in the spacial composition, and layout. That is to say it were planed several separate areas, each was consisted of main buildings, once again was integrated into one temple.

  • PDF

중저압 노즐을 이용한 사찰 및 목조 문화재용 미분무 패키지 소화설비 개발 (Development for the Water Mist Package Having a Low Pressure Nozzles on Wooden Cultural Properties and Temples)

  • 김태환;명상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62-68
    • /
    • 2010
  • 우리나라의 목조문화재는 구조적 특성상 화재에 매우 취약하고, 최근 들어 산불 및 방화 등의 이유로 많은 문화재들이 화재로 손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개발은 소량의 소화용수 사용이 가능한 중저압용 미분무 노즐과 그 패키지 소화 시스템을 개발하여 물로 인한 최소한의 피해와 최대의 소화효과와 더불어 최고의 화재안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의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적용 가능한 두 가지 형태의 중저압 미분무 노즐을 개발하였다. 외부용 노즐은 13~14bar의 압력에 서 30~35l/min의 유량을 갖고 있으며, 내부용 노즐은 14~15bar의 압력에서 25~30l/min 유량을 갖는 노즐을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된 노즐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궁궐 모양의 대표적인 목조문화재 실무크기인 가로 4.9m, 세로 4m, 높이 6.6m의 모형을 목재로 제작하였고 화재 시나리오를 만들어 실증화재 소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증화재 실험결과 $200{\mu}m$의 물방울 입자 크기를 갖는 중저압 노즐이 한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전소화에는 실패하더라도 소방대가 출동할 때까지 연소확대가 되지 않도록 화재를 억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합각지붕 사찰 주불전의 규모에 따른 기둥 및 처마부 관계분석 연구 (Properties of Components for the Dapogye of Hipped and Gable Roof Wooden Buildings)

  • 고정주;이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192-3202
    • /
    • 2014
  • 본 연구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중 합각지붕 형식을 가지고 있는 사찰의 주불전 32동을 대상으로 규모에 따라 규모별 구성요소의 구체적 특성을 분석하고, 주요 부재 상호간 미치는 영향이나 비례관계 등을 분석하여 향후 문화재 복원 및 보수를 위한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면비례는 3칸 건축물에서 도리통(전면)과 양통(측면)의 평균비례는 1.31:1 정도이며, 5칸 건축물 평균비례는 1.70:1로 이루어져 있다. 둘째, 주칸비례 및 위치별 기둥 굵기를 분석한 결과, 3칸 및 5칸 건축물 모두 어칸이 퇴칸이나 협칸에 비해 주칸을 넓게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칸 건축물 평균 기둥 굵기는 귀기둥 491mm, 평주 433mm 정도이며, 5칸 건축물에서는 귀기둥 595mm, 평주 511mm 정도의 굵기로 분석되었다. 귀기둥 굵기가 평주보다 평균 60mm~80mm정도 굵게 이루어진 것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착시현상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물규모(면적)에 따른 기둥 굵기, 처마 내밀기, 차마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3칸 건축물에서는 건물규모(면적)가 큰 건물일수록 크게 나타나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칸 건축물에서는 건물규모(면적)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기둥과 처마와의 관계 분석 결과, 3칸 건축물과 5칸 건축물에서 모두 기둥 길이가 긴 건물일수록 처마높이와 처마 내밀기를 크게 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처마높이는 기둥 길이와 아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3칸 건축물과 5칸 건축물에서 모두 처마 내밀기가 큰 건물일수록 처마높이도 높게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