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committee of the school librar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사서 배치 학교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 현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Library Committee of the School Library that Employs Librarians)

  • 하지윤;오의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46
    • /
    • 2018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기초연구이다.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일반 현황 및 필요성, 운영위원의 구성, 역할, 역할 수행 능력, 운영상의 어려움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9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주요 결과는 첫째, 응답자의 소속학교 중 94.9%가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 필수위원인 위원장, 부위원장, 교사위원, 학부모위원의 구성율은 80% 이상이었으며, 둘째, 교사위원은 역할 수행에서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도서관 사서는 교사위원에 대한 기대감과 협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셋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의 서비스와 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기구이지만, 교사진의 협력과 참여가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청 단위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운영방침이나 규정의 성문화 및 정교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역할과 사명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연수의 정례화, 외부위원 위촉이 원활할 수 있는 교육청 단위별 공공도서관-학교도서관 협력체계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A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Collection Management State in School Libraries)

  • 김성준;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1-42
    • /
    • 2017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15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의 장서현황, 이용현황, 장서관리 체제의 3개 영역에 걸친 총 12개의 조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현황에서 2015년 기준 학생 1명당 단행본 수는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기준과 비교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고등학교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입수자료의 주제별 비율은 문학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 주제로 사회과학과 역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현황에서 학교급별 대출현황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한 번도 대출된 적이 없는 자료는 전체 장서의 64.6%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관리 체제에서 전체 154개교 중 114개교(74%)가 자체의 장서관리 정책서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든 학교는 연간 1회 이상의 장서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자체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 중 2~3회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현안문제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장으로, 그리고 장서개발, 운영지원,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Censorship in Selec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박혜선;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9-262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를 발견하였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 강화, 이용자 항의 대응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 마련,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의 폐기 절차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AHP를 활용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n Priority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Utilizing the AHP)

  • 임정훈;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9-189
    • /
    • 2019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지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평가지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대표적인 전담인력인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Analytic Hierarchy Progress(AHP)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계층 평가영역의 우선순위는 인적자원, 도서관서비스, 정보자원, 도서관경영, 시설 환경 순으로 나타났고, 하위 계층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는 인력자원배치, 인력자원 전문성,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 교육활성화 노력, 장서 구성 적설성, 장서 최신성, 예산, 시설 접근성, 장서 현황, 시설 설비 적절성, 경영계획, 이용 접근성, 홍보 및 마케팅,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협력, 자료이용현황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현장성이 가미된 학교도서관 평가지표를 적용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ctivity of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Apartment House Residents' Representative Committee)

  • 김선미;김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1호
    • /
    • pp.73-96
    • /
    • 201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wo types of livable, family-friendly communities and their activities. The landscaping,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Dongbu Apartment Residents' Committee were examined in relationship to the everyday lives of the community's residents through observation and an in-depth interview.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wo representatives and four volunteers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activity as well as a visible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life. Further, it implies the necessity of a long-tenn perspective and commitment to developing a livable community base with strategies consistent with integrity and the values of everyday life. Above all, we researchers emphasiz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livable community is the third sector; a public space based on everyday life located between a structurally separate work space and family space.

  • PDF

학생의 자아 탄력성 신장을 위한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Librarians and Parents to Increase Students' Ego-Resilience)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86
    • /
    • 2012
  •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관계는 학교도서관의 학습 공동체적 성격과 경영의 확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영 요소이다. 이러한 협력 관계는 학생의 스트레스와 위험요소를 완화함으로써 학생의 자아 탄력성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현직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학부모와의 협력 관계를 통한 학생지도 사례를 분석하고, 관계 형성에 어떠한 공식 또는 비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학부모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의 생활지도, 진로지도, 독서상담 및 담임교사와 학부모 간의 갈등 조정 등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서교사와 학부모의 공식 커뮤니케이션은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와 같은 제도적인 협의체 보다는 함께 참여하는 독서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학부모 모임이나 연수를 통해서 학부모와 비공식적으로 만나고 있다. 학부모를 위해서 학교도서관이 제공하는 정기 프로그램은 독서관련 행사와 연수이며, 주요 홍보 수단은 가정통신문과 학교홈페이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와 학부모가 협력을 통해서 학생의 자아 탄력성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에 학부모를 참여시킴으로써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학부모의 도서관 운영 참여를 단순한 일손 돕기 보다는 책 읽어주기, 도서관 이용 안내, 사서교사의 도서관 활용수업 보조, 교수매체 제작 등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고등학교 필독도서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st of must books in middle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243-27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selec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in middle schools. A great book can change a person's life and future. Especially, reading in the juvenile period is important because of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Must Books can be considered in two perspectives : One is the cultivation of emotion and sense of value and the other i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ies. 2. The general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ust Books are whether a book is su n.0, pportive of learning activiti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f activities for school festivals. And whether a book is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of good characters of students or not should be considered, too. 3. Th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such matters as the organizational and distributional ratio among subjects of the Must Books, the degree of difficulties, the ratio of book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atio of foreign books to domestics, the possibilities of further reading and the bibliographical matters. 4. The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are the educational considerations, clearness of objectives, the elimination of commercialism and authoritarianism in the book selection. The Must Books List should be managed autonomous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be updated annually.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eacher should be a good reader himself. 5. It is better to include short stories than the long one in the Must Book List.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read explanatory text first and then to move to the original text. And they should be exposed to books in various subjects and not to be too dependent on the Must Books List.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reading of the Must Books. 6. Finally, the Must Books selection committee should be composed of both teacher librarian and subject teachers. It is desirable that books for the cultivation of emo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value, and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y should be selected by consulting the various reading lists compi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Board of Local Education and other authorities concerned.

  • PDF

미디어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른 미디어 종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Type according to Media Concep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 박주현;박성훈;강봉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1-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에서 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당위성을 주장하고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미디어의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라 미디어의 종류를 제시하는 데 있다. 미디어의 개념에 따른 미디어 종류를 제시하기 위하여 미디어의 사전적 개념과 목록규칙 RDA에 제시된 미디어 분류를 고찰하였고,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서와 한국언론학회의 초 중등학생용 교육 자료 및 문헌정보학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의 개념과 분류기준에 따른 미디어의 종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를 매체와 동일한 의미로 설정하고, 미디어가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정보를 담고 있거나 전달하거나 재현하는 물리적인 물체를 통해 그 속에 담긴 정보를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미디어속 정보', '자료', '재현 장치'를 미디어의 3가지의 논리적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Cardiac Rehabilitation in Korea

  • Kim, Chul;Sung, Jidong;Lee, Jong Hwa;Kim, Won-Seok;Lee, Goo Joo;Jee, Sungju;Jung, Il-Young;Rah, Ueon Woo;Kim, Byung Ok;Choi, Kyoung Hyo;Kwon, Bum Sun;Yoo, Seung Don;Bang, Heui Je;Shin, Hyung-Ik;Kim, Yong Wook;Jung, Heeyoune;Kim, Eung Ju;Lee, Jung Hwan;Jung, In Hyun;Jung, Jae-Seung;Lee, Jong-Young;Han, Jae-Young;Han, Eun Young;Won, Yu Hui;Han, Woosik;Baek, Sora;Joa, Kyung-Lim;Lee, Sook Joung;Kim, Ae Ryoung;Lee, So Young;Kim, Jihee;Choi, Hee Eun;Lee, Byeong-Ju;Kim, S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4호
    • /
    • pp.248-329
    • /
    • 2019
  • Background: Though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PGs) for cardiac rehabilitation (CR) are an effective and widely used treatment method worldwide, they are as yet not widely accepted in Korea. Given that cardiovascular disease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it is urgent that CR programs be developed. In 2008, the Government of Korea implemented CR programs at 11 university hospitals as part of its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Project, and 3 additional medical facilities will be added in 2019. In addition, owing to the promotion of CR nationwide and the introduction of CR insurance benefits, 40 medical institutions nationwide have begun CR programs even as a growing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s are preparing to offer C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CPGs to support CR implementation in Korea.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of CPGs elsewhere in the world,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a systematic analysis of multiple randomized control trials, and a CPG management, development, and assessment committee comprised of 33 authors-primarily rehabilitation specialists, cardiologists, and thoracic surgeons in 21 university hospitals and 2 general hospitals. Twelve consultants, primarily rehabilitation, sports medicine, and preventive medicine specialists, CPG experts, nurses, physical therapists, clinical nutritionist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se CPGs. After the draft guidelines were developed, 3 rounds of public hearings were held with staff members from relevant academic societies and stakeholders, after which the guidelines were further reviewed and modified. Results: CR involves a more cost-effective use of healthcare resources relative to that of general treatments, and the exercise component of CR lowers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readmission rates, regardless of the typ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type and setting of CR. Conclusion: Individualized CR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with various factors, including differences in heart function and lifestyle, and doing so will boost participation and adherence with the CR program, ultimately meeting the final goals of the program, namely reducing the recurr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mortality r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