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9초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일반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효능감 비교 (Comparison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31-139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ifference was also examined in the area of several variabl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uch as gender, the university majors, the high school majors, and grades. The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 variables were found as the major factors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case of mal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cience/math at university, and the students who majored in science/math at high school,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Whereas,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nonscience majors at university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discussed.

  • PDF

고등학생이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유형탐색: REBUS-PLS를 적용하여 (Detecting types for the influence of math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math self-efficacy: Using REBUS-PLS)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613-629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9년 고등학교 2학년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지각한 수학 수업방식(교수자중심, 학습자중심)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이질적 잠재집단을 탐색하였다. 탐지된 잠재집단의 특징을 프로파일링하기 위해 교수·학습 관련 변인들의 분포를 확인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개의 잠재집단이 탐지되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교수자형 집단과 학습자형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탐지된 교수자형과 학습자형 집단에서 교수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과 학습자중심수업에 대한 지각, 그리고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은 분포가 유사하였지만,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흥미, 수학수업참여의 경우 교수자형 집단이 학습자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형 집단은 학습자형에 비해 수학교수능력에 대한 인식이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학습자형 집단은 교수자형에 비해 수학흥미가 수학자기효능감과 수학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로모형기반의 단위 분할 탐색 REBUS-PLS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수학 수업방식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새로운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 허양원;김선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337-352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량도형의 MTEBI 16개 문항을 수정하여 새롭게 구성된 15개 문항의 검사도구를 통하여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이 담임하고 있는 학급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수학교과에 대한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상위집단의 학급이 하위집단의 학급보다 학업성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유아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 on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s)

  • 정정희
    • 아동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5-241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that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has on teacher's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s. Data was obtained from 220 kindergarten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eveloped by Enochs). Among these 220 teachers, upper and lower 5 % of the teachers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were chosen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n mathematics activity style, teaching strateg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interest in math, previous participation in mathematics teaching method course mainly influenced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Teachers with high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 preferred providing mathematical learning activity than providing other learning areas. They employed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strategy such as high and medium cognitive distancing strategy and established positive teacher-child relationship.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were discussed.

  • PDF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에 관한 종단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math self-efficacy, and math class engagement : Using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5년(중1)부터 2017년(중3)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 적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와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 상·하위집단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수업참여를 매개하여 수학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교사는 이와 같은 특성을 교수·학습전략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수학자기효능감 향상 및 수학수업참여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유아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신념, 수학교수효능감 및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uctive Teaching Belie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eaching Intention for Mathema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서정민;이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5-20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Methods: A total of 266 early child teachers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a set of question naires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First, we observed several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our variables. Second, we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tructive teaching belief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had effects on their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The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mathematics among the subcategori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was observ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th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Conclusion: We need to take more interest in the pedagogical knowledge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mathematics in teache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teaching intention of mathematics. As a result, this will makea contribution to high quality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linked Integrated Math Program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 정단비;김지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1-175
    • /
    • 2015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을 구성 실행해 본 이후 유아의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은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인 '수와 연산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아보기', '기초적인 측정하기', '규칙성 이해하기', '기초적인 자료수집과 결과 나타내기'의 5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각 내용에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활동을 20회로 구성하여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수학적 성향 및 자기효능감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토리텔링 통합 수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 함양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과 통합 수 프로그램을 실시하려는 현장의 교사들에게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xploring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n Secondary Science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 toward Engineering Integrated Teaching

  • Wang, Hui-Hui;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4-499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a STEM integrati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eachers' perception of engineer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A total of sixty-eight teacher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five days. Data are collected from three main sources including (1) pre and post concept maps probing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engineering discipline, (2) a pre and post survey measuring teachers' self-efficacy of teaching science/mathematics within the engineering context, and (3)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or) mathematics lesson plans and teaching reflections. This study utiliz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the data we have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science and math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ing engineering into teaching provided valuable outcomes, i.e., promoting students' learning about engineering and improving their interest in science or math through real-world problem solving exercises. Participants also felt more comfortable about integrating engineering in their teaching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also imply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s of engineering become more concrete 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advantages of teaching engineering in K-12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rooms.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BL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 LIM, Kyu Yon;LEE, Hyeon Woo;NGUYEN, Hien;GRABOWSKI, Barbar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69-9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iddle school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their teaching practice. Factors related to teachers' use of technology and PBL are also investigated including: teachers'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feelings of preparedness to use the Internet, attitudes toward the use of web resources, pedagogical belief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use of general teaching strategies. Twenty-seven middle school science, math, and technolog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results describe the participants as slightly proficient in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positive toward use of web resources, and neutral on feelings of preparedness toward use of computer and the Internet. Participants also tended toward constructivist pedagogical beliefs and used various teaching strategies. They, however, reported low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s'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correlated with pedagogical beliefs and feelings of preparedness toward the use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The study also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PBL and teachers' computer and internet skills, pedagogical beliefs, and the use of general teaching strategies. Also discussed ar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programs designed to facilitate the use of web-enhanced PBL.

초등 예비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MTEBI 한글판 개발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Korean Version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량도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63-377
    • /
    • 2013
  •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교실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가르칠 것인지를 예측하는 매우 강력한 구인이다. MTEBI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교수 효능감을 재는 유효한 척도이다. 그러나 MTEBI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다른 문화에서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MTEBI가 한국에서 유효한 지에 대한 실증적 조사이다. 먼저, 영문의 MTEBI를 국문으로 번역하고, 번역한 것을 다수의 수학교사 교육자가 철저하게 검토하였다. 그다음, 506명의 예비 초등교사 표본에서 정규성, 신뢰도, 타당도 등의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글판 MTEBI의 하위척도인 PMTE와 MTOE의 알파계수가 각각 .836과 .705이었다. 이로써 한글판 MTEBI가 한국에서 효능감 연구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믿을 수 있고 문항 구성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영문판을 바탕으로 한국과 교육에 대한 전통과 문화가 비슷한 이웃 문화에서도 효능감 연구가 일어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