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y pool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Gen-Z memory pool system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 Kwon, Won-ok;Sok, Song-Woo;Park, Chan-ho;Oh, Myeong-Hoon;Hong, Seokbin
    • ETRI Journal
    • /
    • 제44권3호
    • /
    • pp.450-461
    • /
    • 2022
  • The Gen-Z protocol is a memory semantic protocol between the memory and CPU used in computer architectures with large memory pools. This study presents the implementation of the Gen-Z hardware system configured using Gen-Z specification 1.0 and reports its performance. A hardware prototype of a DDR4 Gen-Z memory pool with an optimized character, a block device driver, and a file system for the Gen-Z hardware was designed. The Gen-Z IP was targeted to the FPGA, and a 512 GB Gen-Z memory pool was configured on an ×86 server. In the experiments, the latency and throughput of the Gen-Z memory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local memory, SATA SSD, and NVMe using character or block device interfaces. The Gen-Z hardware exhibited superior throughput and latency performance compared with SATA SSD and NVMe at block sizes under 4 kB. The MySQL and File IO benchmark of Gen-Z showed good write performance in all block sizes and threads. Besides, it showed low latency in RocksDB's fillseq dbbench using the ext4 direct access filesystem.

모바일 게임 서버를 위한 고정크기 메모리 풀 관리 방법 (Fixed Size Memory Pool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Game Servers)

  • 박세영;최종선;최재영;김은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327-336
    • /
    • 2015
  • 모바일 환경에서의 게임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버퍼를 생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동적 메모리 할당을 빈번하게 수행한다. 이는 시스템에 부하를 가중시키고 메모리 단편화를 발생시키게 되어 게임 서버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크기 메모리 풀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의 메모리 풀은 원형 연결 리스트 형태의 순차적 메모리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게임 서버에서의 메모리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고, 메모리 할당과 해제를 위해 필요한 메모리 블록의 탐색 시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방법과 잘 알려진 오픈소스 메모리 풀 라이브러리(boost) 기반의 메모리 풀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동적 할당을 수행할 때의 성능평가를 통해 해당 기법의 효율성을 보이도록 한다.

CXL 메모리 및 활용 소프트웨어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s in CXL Memory and Utilization Software )

  • 안후영;김선영;박유미;한우종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9권1호
    • /
    • pp.62-73
    • /
    • 2024
  • Artificial intelligence relies on data-driven analysis, and the data processing performance strongly depends on factors such as memory capacity, bandwidth, and latency. Fast and large-capacity memory can be achieved by composing numerous high-performance memory units connected via high-performance interconnects, such as Compute Express Link (CXL). CXL is designed to enabl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central processing units, memory, accelerators, storage, and other computing resources. By adopting CXL, a composable computing architecture can be implemented, enabling flexible server resource configuration using a pool of computing resources. Thus, manufacturers are actively developing hardware and software solutions to support CXL. We present a survey of the latest software for CXL memory utilization and the most recent CXL memory emulation software. The former supports efficient use of CXL memory, and the latter offers a development environment that allows developers to optimize their software for the hardware architecture before commercial release of CXL memory devices. Furthermore, we review key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oth the CXL memory pool and CXL-based composable computing architecture along with various use cases.

동일한 환경에서 구성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메모리 풀 자카드 유사도 분석 (Analysis of Memory Pool Jacquard Similarity between Bitcoin and Ethereum in the Same Environment)

  • 맹수훈;신혜영;김대용;주홍택
    • KNOM Review
    • /
    • 제22권3호
    • /
    • pp.20-24
    • /
    • 2019
  • 블록체인은 분산 원장 기반 기술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P2P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이 생성되면,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노드들에 의해 전파되고 유효성을 검증 받는다. 검증된 트랜잭션은 P2P 네트워크를 통해 각 노드와 연결되어있는 Peer들에게 전송되고, Peer들은 트랜잭션을 메모리 풀에 보관한다. P2P 네트워크 특성상 블록체인 노드가 전달하는 트랜잭션의 수와 종류는 각 노드마다 달라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메모리 풀을갖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메모리 풀에 저장되어있는 트랜잭션들은 거래 수수료 조작, 이중 지불 문제, DDos 공격탐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거래 수수료 조작, 이중 지불 문제, DDos공격 탐지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앞서 메모리 풀의 트랜잭션들을 분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블록체인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암호화폐 시스템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각 노드 메모리 풀에 저장되어있는 트랜잭션들을 수집하고 얼마만큼의 공통된 트랜잭션들을 가지고 있는지 자카드 유사도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마모 제어 영역을 활용한 플래시 메모리 마모평준화 (Flash Memory Wear-Leveling using Regulation Pools)

  • 박정수;민상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2호
    • /
    • pp.1204-12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마모 제어 영역(Regulation Pool)을 활용한 플래시 메모리 마모평준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FTL의 메타데이터 저장영역을 Regulation Pool로 활용하여 소거횟수가 낮은 블록에 쓰기 및 소거연산을 집중시키는 방식을 통해 간단하고 효율적인 마모평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기법을 RS-FTL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플래시 메모리 전체 블록간 소거횟수의 편차가 약 40%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mory-Centric Computing System for Big Data Analysis

  • Jung, Byung-K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7
    • /
    • 2022
  • 최근 대용량 데이터를 프로그램 자체에서 생성시키면서 구동되는 빅데이터 프로그램, 머신 러닝 프로그램 같은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기존의 메인 메모리만으로는 메모리가 부족하여 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발생으로 염기서열 전체의 유전 변이 여부를 분석해야 하는 상황에는 더욱 빠르게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용량 데이터를 병렬실행으로 빠른 결과를 필요로 하는 전장유전체(WGS; Whole Genome Sequencing) 분석 방법에 기존 SSD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아닌 자체 개발한 메모리풀 MOCA host adapter가 장착된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하여 성능을 측정한 결과 기존 SSD 시스템에 비해 16%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그리고, 그 외의 다양한 벤치마크 시험에서도 워크플로우의 task별 SortSampleBam, ApplyBQSR, GatherBamFiles등 메모리풀 MOCA host adapter가 장착된 컴퓨팅 시스템에서도 SSD를 사용한 경우보다 IO 성능이 각각 92.8%, 80.6%, 32.8% 실행시간 단축을 보였다. 전장유전체파이프라인 분석같이 대용량 데이터 분석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메모리풀 MOCA host adapter가 장착된 컴퓨팅 시스템에서 분석할 경우 런타임(run time)시 발생하는 측정 지연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장형 장비용 자바 가상 기계에서의 실시간 쓰레기 수집기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Real-time Garbage Collection Algorithm for Efficient Memory Utilization in Embedded Device)

  • 최원영;박재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B
    • /
    • pp.672-674
    • /
    • 1998
  • Java virtual machine has the garbage collector that automate memory management. Mark-compact algorithm is one of the garbage collection algorithm that operating in 2 phases, marking and sweeping. One is Marking is marking live objects reachable from root object set. Sweeping is sweeping unmarked object from memory(return to free memory pool). This algorithm is easy to implement but cause a memory fragmentation. So compacting memory, before memory defragmentation become serious. When compacting memory, all other processes are suspended. It is critical for embedded system that must guarantee real-time processing. This paper introduce enhanced mark-compact garbage collection algorithm. Grouping the objects by their size that minimize memory fragmentation. Then apply smart algorithm to the grouped objects when allocating objects and compacting memory.

  • PDF

실시간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에서 메모리 풀의 메모리 누수 방지 기법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ion for Prevent ing A memory leakage of Memory Pool on Memory Management of Real-Time Operating Systems)

  • 조문행;정명조;유용선;이달한;이철훈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628-630
    • /
    • 2004
  • 실시간 운영체제가 탑재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공간제약 특성상 한정된 자원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CPU 와 함께 한정된 크기의 메모리는 운영체제의 중요한 자원으로,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동적 메모리 관리기법 중 메모리 풀에서의 메모리 누수 방지 기법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실험적으로 항원에 의하여 일차 자극된 $CD4^+$ T 세포의 이차 면역 반응의 분석 (The Kinetics of Secondary Response of Antigen-Specific $CD4^+$ T Cells Primed in vitro with Antigen)

  • 박성옥;한영우;;;윤현아;어성국
    • IMMUNE NETWORK
    • /
    • 제6권2호
    • /
    • pp.93-101
    • /
    • 2006
  • Background: Memory T lymphocytes of the immune system provide long-term protection in response to bacterial or viral infections/immunization. Ag concentration has also been postulated to be important in determining whether T cell differentiation favors effector versus memory cell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hypothesized that naive Ag-specific $CD4^+$ T cells briefly stimulated with different Ag doses at the primary exposure could affect establishment of memory cell pool after secondary immunization. Methods: To assess this hypothesis, the response kinetics of DO11.10 TCR $CD4^+$ T cells primed with different Ag doses in vitro was measured after adoptive transfer to naive BALB/c mice. Results: Maximum expansion was shown in cells primarily stimulated with high doses of ovalbumin peptide $(OVA_{323-339})$, whereas cells in vitro stimulated with low dose were expanded slightly after in vivo secondary exposure. However, the cells primed with low $OVA_{323-339}$ peptide dose showed least contraction and established higher number of memory cells than other treated groups. When the cell division was analyzed after adoptive transfer, the high dose Ag-stimulated donor cells have undergone seven rounds of cell division at 3 days post-adoptive transfer. However, there was very few division in naive and low dose of peptide-treate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imary stimulation with a low dose of Ag leads to better memory $CD4^+$ T cell generation after secondary immunization. Therefore, these facts imply that optimally primed $CD4^+$ T cells is necessary to support effective memory pool following administration of booster dose in prime-boost vacc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