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selection and advertis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외식업체 도시락 이용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조사 (A Survey of Consumer Importance-Satisfaction on Prepackaged Meals (Dosirak) Sold by Food Service Providers)

  • 차승윤;박영일;정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6-146
    • /
    • 2014
  • A study was performed on the consumption of prepackaged meals (Dosirak) sold by food service providers through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A)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onsumers seek in quality Dosirak. According to the analysis, food service providers need to concentrate on food freshness and temperature while maintaining food taste. As for food packaging, consumers were found to prefer microwaveable plastic containers the most (29.3%). Nonetheless, they found that packaging needed improvements in securing food content during transportation and in food labeling, especially for expiration dat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which factors, including menu selection and advertising, affected the sales of food service provider Dosirak the mos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determined to be price. Regarding menu selection, the quality of food seasoning and ingredients, daily specials and the variety of combination se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Availability of delivery (3.83/5.00), advance ordering (3.82/5.00) and discounts (3.75/5.00) were important factors in advertising.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point to a consumer base that recognizes the ease and benefits of Dosirak but desires high quality food items at low cost. To expand the consumer base, food service providers must continually develop new menu items that satisfy consumer tastes and trends, maintain sanitary conditions and improve food labelling.

외식업체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메뉴선택속성을 조절 변수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Food Industry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on Menu, Selection Criteris and Customer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enu Selection Criteria -)

  • 김성수;김찬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7-287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에 이르는 약 30일간 조사기간을 두어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서울 시내 외식업소 10여 군데에 대해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방문하는 고객에게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첫째, 외식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소비자들의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첫째, 광고는 B=0.107(p<.001), 편리는 B=0.093(p<.05), 사교는 B=0.294(p<.01), 홍보는 B=0.334(p<.001), 판매촉진은 B=0.542(p<001), 인적판매는 B=0.111(p<.01)로 하위 변수 모두 고객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외식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고객만족도간의 메뉴 선택속성에 관해 조절효과를 검증은 분석 결과, 인적판매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고, 홍보는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그리고 광고, 판매촉진은 아무런 조절효과가 없었다.

약선 음식점 고객 특성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of Medicinal Restaurants)

  • 정경애;이난희;김미림;오왕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5-35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strategy for medicines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oice attributes according to customers awareness of medicines and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dietary education among national network trainees and lecturers by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Livestock in Daegu, Gyeongsan, and Ulsan, Seoul from December 5, 2016, respectively. First,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ix factors were extracted with respect to the choice of the restaurant. Second, the difference in each factor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medicinal herbs was the health related factor as sex, females, age 50~59 years, companion others, and publicity and advertising'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publicity and advertisement when the gender was female, the customer's age was 40~49 years, the companion was other, and the time of use was during the weekend.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getting dressed', the more important gender was female, age 40~49 years, and the other partner, The factors related to 'time' were as follows: sex, age, age 20~29 years, no accompanying companions, no time of use, and time importance. The 'menu'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men, gender, women, age 40~49 years, companion for guitar, and usage time for weekend dinner. The 'service' factors were more important in 'service' as sex, male age, age 20~29, companion family, usage time, and weekend dinner.

커피전문점의 시장세분화와 소비자행동 차이 분석 : 카페베네 사례를 중심으로 (The Market Segmentation of Coffee Shops and the Difference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A Case based on Caffe Bene)

  • 우종필;윤남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5-13
    • /
    • 2011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중에서 최근 매장 수 기준으로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카페베네를 대상으로 선택속성에 따른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에 대한 프로파일(profile)에 바탕을 둔 세분시장 분석, 그리고 세분시장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커피전문점 특히, 카페베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가격', '분위기', '편안함', '맛', '입지' 등 5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요인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세분시장으로 분류되어, 각각 '분위기 추구집단', '편리함 추구집단', '맛 추구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군집변수에 대한 판별분석 결과, 군집분석에 이용된 변수의 시장세분화 기여도가 매우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지요인과 분위기 요인이 군집분석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세분시장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위기 추구집단'의 경우 20대 초반 연령대의 여성으로서 인지경로가 '길을 걷다가'와 '지인을 통해서'인 경우가 많은 주로 옥외광고 및 소개를 통해 매장을 찾는 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편리함 추구집단'은 여성고객이 많으며 20대 초반의 대학생 또는 전문직 종사자인 경우가 많고, 타 집단에 비해 카페베네의 추천의향이 높게 나타나 충성도가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맛 추구집단'은 타 집단과는 달리 20대 후반의 대학졸업 이상의 학력자가 많았으며, 추천의향이 비교적 낮아 충성도가 낮은 집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세분시장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메뉴 만족과 전반적 만족 각각에서 세분시장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메뉴 만족이나 전반적 만족을 크게 지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선택할 때 가격, 분위기, 편안함, 맛, 입지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세분시장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세분시장별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분위기 추구집단'의 경우 매장의 분위기나 편안함에 대해서는 높은 만족감을 표시하는 한편, 가격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이 집단이 10대 후반 및 20대 초반의 연령대가 많으며,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가격에 부담감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일률적인 가격정책 보다는 시즌별 가격차별화, CRM시스템 구축을 통한 개인별 다양한 가격할인 혜택 등의 정책으로 가격부담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편리함 추구집단'은 입지나 매장의 편리함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타 집단에 비해 20대 초반의 여성고객이 많고 학생과 전문직 종사자가 많으며 카페베네의 추천의도가 가장 높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충성고객 집단에 대해서는 봉사 활동 및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맛 추구집단'의 경우 맛이나 입지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은 반면, 추천의향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집단은 주로 20대 후반으로서 대학 졸업 이상 고학력의 전문직 종사자가 많은 편이다. 따라서 다양한 메뉴 제공이나 커피의 품질 관리를 통해 맛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상대적으로 만족수준이 낮은 가격에 대한 불만요인을 줄일 수 있도록 직장인이나 전문직 종사자에 대한 할인혜택 제도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카페베네 매장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 결과를 카페베네의 전체매장 혹은 전체 커피전문점에 그대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다양한 커피전문점, 서울 이외의 지역, 그리고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연구의 객관적 타당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인 메뉴 만족이나 전반적 만족 이외에 신뢰, 고객충성도, 전환비용 등 다양한 변수를 이용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