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chantable volum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주요 수종별 재적의 상업적 이용율 추정 (Estimation of Merchantable Volume Ratio by Major Species)

  • 손영모;강진택;원현규;전주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30-335
    • /
    • 2016
  • 본 연구는 중부지방소나무 등 주요 5개 수종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재적율인 조재율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이용한 자료는 최소 1,300여본 이상의 전국적인 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적용한 추정식은 임목재적 중 목질부 재적을 나타내는 목질부 재적율 추정식과 목질부 재적에 대한 이용재적을 나타내는 원목이용율 추정식이었으며, 이 두가지 추정식의 곱으로 조재율을 도출하였다. 흉고직경에 의한 목질부 재적율(W)은 $W=\frac{a_1}{1+a_2/D}+\frac{b_1}{1+b_2/D}$의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 식의 적합도는 수종별로 99% 이상이었고 기타 검정통계량도 식의 적합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었다. 목질부 재적에 대한 원목이용율(M)은 $M=e^{a_1\(\frac{d}{D}\)^{a_2}}-(b_0+b_1D+b_2D^2+b_3D^3)$ 모형을 적용시켜 적합도는 수종별로 96% 이상이었다. 이 두가지 추정식을 이용하여 5개 수종별로 상업적 재적이용율인 조재율을 산정하고 조재율표를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조재율은 침엽수와 활엽수 임상별로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침엽수, 활엽수 조재율과의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mputing the Bucking Rate of Japanese Larch Logs for Timber Harvesting

  • Daesung Lee;Yonghee Lee;Ilsub Lee;Jungkee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35-42
    • /
    • 2024
  • The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is a major timber species in Korea. However, studies on bucking rates and merchantable logs of this species are insufficient in South Korea. To bridge these gaps, in this study, the bucking rate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was computed and the number of long logs and merchantable log volumes were analyzed. Sample trees were bucked according to the log grade for trading, and collected from a forest field in Gangwon Province. The bucking rate of all Japanese larch logs was >89%. The highly profitable 2-4 logs of 3.6 m length from trees with ≤30 cm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5-6 logs with ≥34 cm DBH were produced. The bucking rate of long logs was >84%; thus, Japanese larch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supply of high-grade timber. Additionally, to follow reasonable wood supply plans, merchantable volume tables were offered based on 3.6 m-long number of logs and small-end diameter classes. Understanding the proportion of merchantable log volumes, bucking rates, and the number of long and short logs has large-scale applications in practical forestry.

수간부위 형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임목 이용재적 및 목재수율 추정 (Estimation of Merchantable Volume and Yield Using A Stem Shape Simulation)

  • 권순덕;김형호;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62-368
    • /
    • 2007
  • 본 연구는 잣나무와 낙엽송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에 따른 임목의 용도별 이용재적 및 목재수율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기존에 개발된 수간곡선, 수고 추정식을 이용하여 입목의 형상에 따른 수간 재적량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일반용재와 펄프재의 이용재적 및 조재수율, 일반용재를 판재 및 각재로 가공했을 때 제재목의 이용재적 및 조재수율을 직경급별로 산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간재적에 있어서 낙엽송의 재적이 잣나무보다 동일한 흉고직경급에 있어서 23~38% 높게 나타났다. 일반용재 생산은 2개 수종 모두 흉고 직경급 18 cm부터 가능하였다. 또한 일반용재와 펄프재용 원목의 조재수율 합계는 흉고직경이 커지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잣나무의 경우 흉고직경 26 cm에서 90%, 낙엽송의 경우 흉고직경 38 cm에서 88%로 최대로 나타났다. 한편 판재의 조재수율은 23~56%, 각재는 그 생산크기가 커질수록 조재수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산림의 이용재적 산출 및 임목평가 그리고 제재목의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주요 경제수종의 이용재적모델 개발 (Developing Merchantable Stem Volume Models for Major Commercial Species in South Korea)

  • 이대성;이정호;서영완;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480-486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을 대상으로 입목의 총재적 중 상부직경 혹은 상부수고까지의 재적을 예측하는 이용재적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모델개발을 위하여 사용된 자료는 강원 및 경북지역의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에서 수집한 총 131본의 수간석해목이었으며, 이용재적비율, 단순비율형태, 지수비율형태의 6개 이용재적식을 검토하여 최종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부직경까지의 이용재적예측은 지수비율형태인 $V_d=V_t\{{\exp}[{\alpha}_1(d^{{\alpha}_2}/D^{{\alpha}_3})]\}$ 이 상부수고까지의 이용재적예측은 단순비율형태인 $V_h=V_t\{1+{\beta}_1(P^{{\beta}_2}/H^{{\beta}_3})\}$이 최종모델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2개의 최적모델식을 정리하여 내재간곡선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해 상부직경에 따른 상부수고와 상부수고에 따른 상부직경 예측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개발된 모델은 높은 정확도뿐만 아니라 임업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잣나무의 낙엽송림(落葉松林)에 있어서 수형(樹型)과 재적간(材積間)의 관계(關係)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Form and Volume in Stands of Pinus koraiensis and Larix leptolepis)

  • 김지홍;이종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4권1호
    • /
    • pp.82-87
    • /
    • 1986
  • 대다수의 잣나무가 잣을 수확(收穫)하는 과정에서 수간(樹幹) 정단부(頂端部)의 인위적인 손상으로 말미암아 전형적인 잣나무 수형(樹型)을 잃게되는 점에 착안하여, 정상적으로 생육한 낙엽송과 비교하여 임본(林木) 제형질(諸形質)들의 관계를 조사 연구하였다. 동령급(同齡 級)의 두 수종(樹種)을 비교한 결과, 잣나무는 원단부(原端部)의 절단(切斷)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수고생장(樹高生長)을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심하게 분간(分幹)되거나 굴곡된 수간(樹幹)은 이용재적(利用材積) 값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여 본재생산(木材生産)의 측면에서는 바람직한 수형(樹型)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잣을 수확(收穫)할 수 있고 용재(用材)를 생산할 수 있는 잣나무의 특성을 감안하여, 조림투자(造林投資)에 대한 회수율(回收率)을 최대화하기 위한 잣나무 식재림(植栽材)에 대한 경영적(經營的) 대안(代案)을 제시하였다.

  • PDF

Log Production of Major Commercial Species for Sawtimber in Hongcheon Region of South Korea

  • Lee, Ilsub;Lee, Daesung;Seo, Yeongwan;Choi, Jungke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33-238
    • /
    • 201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number of logs for sawtimber by DBH and height class and to compare merchantable volume ratio by categorizing into sawtimber, lagging board and pulpwood, and others for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Logs for sawtimber were hardly produced in small DBH class of three species, but produced evidently from medium DBH class. In large DBH class, the number of logs for sawtimber were noticeably different among species: 4.3 logs for L. kaempferi, 2.6 logs for P. densiflora, and 1.0 logs for P. koraiensis on average. Similarly, merchantable volume ratio for sawtimber were largely different among species in large DBH class with higher than 15 m: 82% logs for L. kaempferi, 60% logs for P. densiflora, and 44% logs for P. koraiensis. When compared to the upper diameter and upper height by species with regard to the last log of a tree produced for sawtimber, upper diameter was smallest with 14.1 cm and upper height was highest with 12.2 m in L. kaempferi. Overall, L. kaempferi was considered as the more commercial species for sawtimber production than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Windows용 수간석해(樹幹析解) 프로그램(Stemwin1.0)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Stem Analysis Program(Stemwin1.0) for Windows)

  • 이준학;이우균;서정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31-33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C기반의 Windows운영체제에서 운용될 수 있는 수간석해 프로그램(Stemwin1.0)을 개발하였다. Stemwin1.0에서는 연륜측정기에서 1/100mm 단위로 측정된 l년 단위의 연륜폭 자료를 입력받아 흉고직경 및 단면적, 수고, 재적 등 각종 생장량을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수령별 평균 흉고직경 및 단면적은 산술 및 단면적 평균법을 적용해 계산할 수 있으며, 수고생장은 평행선법, 직선연장법, 수고곡선법 등에 의해 다양하게 추정할 수 있다. 재적은 Huber식, Smalian식, Spline식 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추정할 수 있다. 선택된 계산방법에 따라 상가 각 생장인자의 총, 평균 및 연년 생장량 뿐만 아니라 이용재적 및 수고, 형수, 생장률 이용률 등의 생장 관련 정보가 1년 단위로 자동 계산된다. 또한, 1년 단위의 정밀한 간곡선도를 다양한 축척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간곡선식 유도를 위한 통계분석용 자료(단판 높이별 직경)도 제시된다. Stemwin1.0에서는 계산결과를 MS-Excel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낙엽송 제재에 따른 이용재적 산출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Wood Recovery Estimation Model for the Tree Conversion Processes of Larix kaempferi)

  • 권기범;한희;설아라;정혜진;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484-490
    • /
    • 2013
  • 본 연구는 낙엽송 개체목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제재목 및 제재 부산물의 양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수간곡선 추정식을 이용하여 개체목의 전간재적을 산출하고 절동된 원목에 대한 목재 가공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재 및 각재, 원주목의 규격에 따른 최대 생산가능량을 예측하였다. 또한 제재목 가공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톱밥 및 죽데기의 잔존재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흉고직경 12 cm 이상부터 제재목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제재목의 생산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큰 규격의 판재와 각재를 생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판재와 각재 혹은 원주목을 생산하는 것에 비해 더 많은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이 모델은 낙엽송의 이용재적 산출을 통한 산림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물론, 최근 목질계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톱밥과 같은 제재 부산물의 양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부지역 일본잎갈나무의 수간중량 추정식 개발 (Development of Tree Stem Weight Equations for Larix kaempferi in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고치웅;손영모;강진택;김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84-192
    • /
    • 2018
  • 본 연구는 중부지역 일본잎갈나무의 수간중량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역별 개체목의 지위와 직경을 고려하여 표준지를 선정한 뒤, 총 55본의 표본목을 선정하였다. 표본목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수피외생중량, 수피외건중량, 수피내 건중량 및 이용중량 등 네종류의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11개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중량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을 변수로 이용하는 경우,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경우, 재적을 이용하는 경우의 3개 변수에 따라 모형을 구분하였다. 최적의 모형은 적합지수와 추정의 표준오차 및 잔차의 분포를 이용하여 모형의 이행능력을 비교하여 선정하였다. 그 결과, 1변수인 흉고직경을 이용하는 식은 $W=a+bD+c^D^2$이며 설명력은 90~92%를 나타냈고,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2변수식은 $W=aD^bH^C$으로 97~98%의 설명력으로 2변수 모형이 1변수 모형 보다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전체수간에 대한 재적과 이용재적에 대한 식인 W = aV로 중량추정설명력이 98~99%으로 높게 나타났고 SEE도 7.7~17.5, CV(%)도 8.0~10.0으로 우세한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개체목의 중량정보 제공 및 임분단위의 중량 바이오매스추정식의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Harvesting Productivity and Cost of Clearcut and Partial Cut in Interior British Columbia, Canada

  • Renzie, Chad;Han, Han-Sup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08
  • Clearcutting has been the dominant harvesting method in British Columbia (representing 95% of the total area harvested annually). However forest managers are increasingly recommending the use of alternative silvicultural systems and harvest methods, including various types of partial cutting, to meet ecological and social objectives. In this study we compared harvesting productivity and harvesting costs between treatments through detailed and shift level time studies in 300-350 year-old Interior Cedar-Hemlock stands in British Columbia, Canada.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operational planning/layout and the implementation of clearcut and partial cutting silvicultural systems were made. Harvesting costs varied in the ground-based clearcut treatments from $10.95/$m^3$ - $15.96/$m^3$ and $16.09/$m^3$ - $16.93/$m^3$ in the group selection treatments. The ground-based group retention treatment had a cost of $13.39/$m^3$, while the cable clearcut had a cost of $15.70/$m^3$. An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wood products that could be derived from the harvested timber was imperative to increasing the amount of merchantable volume and reducing the corresponding harvesting costs. Stand damage was greatest in the group selection treatments; however, mechanized felling showed an increase in stand damage over manual felling while grapple skidding showed a decrease in skidding damage compared to line skidd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