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opor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18초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組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 (III) - 혼효임(混淆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 (I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Mixed Stands -)

  • 박재현;정용호;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683-691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組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5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4종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하층식생 피복도, 표층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F층 두께 등 4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 10cm 깊이의 토양견밀도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증대에 영향하는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B층 토양에서의 조공극률, 유기물함량비 등 2개 인자이었다.

  • PDF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율(粗孔隙率)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I) - 활엽수림(闊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Deciduous Stands -)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50-457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인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율(粗孔隙率)(pF2.7) 에 영향하는 입지환경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4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활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15인자에 대하여 spss/pc+를 이용하여 상관 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고, 하층식생 피복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3개 인자가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표층토양의 견밀도가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2개 인자이었다. 활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하층식생 피복도가 30%에서 80%를 유지하도록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림(山林)의 입지환경인자(立地環境因子)가 표층토양(表層土壤)의 조공극률(粗孔極律)에 미치는 영향인자(影響因子) 분석(分析)(I) - 침엽수림(針葉樹林)을 중심(中心)으로 -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sopore Ratio on the Soil Surface to Investigate the Site Factors in a Forest Stand(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Coniferous Stands -)

  • 정용호;박재현;김경하;윤호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3호
    • /
    • pp.314-323
    • /
    • 2001
  • 산림의 수원함양기능 지표로서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粗孔隙率)(pF2.7)에 영향하는 인자를 밝히기 위해 1993년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의 침엽수림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입지, 토양, 임분환경인자 등 총 23개 조사항목에 대하여 상관분석하였다.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표층토양에서의 조대공극률(粗大孔隙率)(pF1.6), 경사도, 상층식생 울폐도, F층의 두께,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임목축적 등 6개 인자가 정(定)의 상관관계를, 점토함량비, 표층토양의 견밀도, A층, B층 토양견밀도 등 4개 인자가 각각 5%, 1% 수준에서 유의한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stepwise를 이용한 다중회귀분석결과 표층토양에서의 조공극률에 영향하는 인자는 표층토양의 견밀도, 상층임분 지하고, 임목축적, B층 토양의 견밀도, 토양의 유기물함량비 등 5개 인자이었다. 침엽수림의 수원함양기능 증진을 위한 시업은 표층토양의 조공극 발달이 촉진되도록 상충식생 울폐도가 80%를 넘게 되었을 때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ighly Ordered Porous Silica Adsorbent with Dual Pore Size Regime for Bulky VOC Gas Sensing

  • Yun, Ji Sun;Jeong, Young Hun;Nam, Joong-Hee;Cho, Jeong-Ho;Paik, Jong-Hoo
    • 센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1-184
    • /
    • 2013
  • Highly ordered porous materials having mesopores in the walls of macropores showed improved adsorption dynamics results for VOC molecules, especially bulky molecules. These meso/macroporous mataerials were synthesized by the dual templating method, and mesopore and macropore size wer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templates for each pore size regime. In the case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mall VOC molecules (toluene), although meso/macroporous MCM-41 with smaller mesopore size showed improved results, meso/macroporous SBA-15 with larger mesopore size was not improve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macropores, since there was no limitation of movement through the larger mesopore. However, the adsorption dynamics of bulky VOC molecules (p-xylene) over meso/macroporous SBA-15 were drastically improved by increasing the macropore size.

EDLC의 전기화학적 성능에 대한 메조기공 구조의 효과 (Effect of pore structure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EDLC)

  • 이명숙;신윤성;이종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0-317
    • /
    • 2010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DLC) was studied by controlling pore size distribution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ACF). The mesoporous ACF, which was prepared by the iron exchange method,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average pore size and decreasing total surface area. The mesoporous ACF (surface area = 2225 $m^2$/g, pore size=1.93 nm) showed increased mesopore(pore size=1~3nm) volume from 0.055 cc/g to 0.408 cc/g compared to its raw ACF. The charging capacity of the EDLC which uses the prepared mesoporous ACF also increased from 0.39 F/$cm^2$ to 0.55 F/$cm^2$.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known that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EDLC are mainly dependent on the specific surface area, but above the surface area 2200 $m^2$/g, it is the mesopore volume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capacitor considerably. Because the increased mesopore volume results in a decreased ion mobility resistance, the charge capacitance is enhanced.

산림시업이 잣나무림의 생장, 토양조공극 및 토양함수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Practices on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s in Pinus koraiensis Stands)

  • 전재홍;정용호;최형태;유재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2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inning and pruning on characteristics of forest st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at the Pinus koraiensis stands in Gwangneung, Gyeonggido. The Pinus koraiensis had been planted in 1976 and thinning and pruning were carried out in 1996. A sample area survey was conducted at experimental plots (thinned and unthinned) in 1998 and 2005, and mesopore ratio and soil water content have been monitored from 2000 to present. Average tree height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0.9m to 13.2m and from 10.3m to 12.8m for the unthinned plot. Average D.B.H of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15.9cm to 21.1cm and from 14.5cm to 16.7cm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Crown density at the thinned plot increased from 81.5% to 95.0% and from 89.5% to 95.0% for the unthinned plot during the period 1998-2005. Mesopore ratio (pF2.7) of A layer soil at the thinned plot was 40.1% while that of the unthinned plot was 37.3%. Changes of mesopore ratio at unthinned plot were not associated with stand age, but those at thinned plot had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showing declining of the practice effect. Average soil water content at the thinned plot were 23.7% and 22.4% for the unthinned plot. Soil watercontents at both plots have been increased with increase in stand age. But the difference of soil watercontent at each plot has been decreased, especially at the depth of 10cm.

Improved Mesoporous Structure of High Surface Area Carbon Nanofiber for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s

  • Lee, Young-Geun.;An, Geon-Hyoung;Ahn, Hyo-Ji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2-198
    • /
    • 2017
  • Carbon nanofiber (CNF) is used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s (EDLCs), and is being consistently researched to improve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However, CNF still faces important challenges due to the low mesopore volume, leading to a poor high-rate performance. In the present study, we prepared the unique architecture of the activated mesoporous CNF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 mesopore volume, which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using PMMA as a pore-forming agent and the KOH activation. The activated mesoporous CNF was found to exhibit the high specific surface area of $703m^2g^{-1}$, total pore volume of $0.51cm^3g^{-1}$, average pore diameter of 2.9 nm, and high mesopore volume of 35.2 %. The activated mesoporous CNF also indicated the high specific capacitance of $143F\;g^{-1}$, high-rate performance, high energy density of $17.9-13.0W\;h\;kg^{-1}$, and excellent cycling stability. Therefore, this unique architecture with a high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 mesopore volume provides profitable synergistic effects in terms of the increased electrical double-layer area and favorable ion diffusion at a high current density. Consequently, the activated mesoporous CNF is a promising candidate as an electrode material for high-performance EDLCs.

금속함유 탄소섬유의 탄화 및 활성화 거동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Behaviors of Metal Containing Carbon Fibers)

  • Young Ok CHOI;Kap Seung YANG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8-100
    • /
    • 2003
  • The efficiency of the adsorption of adsorbents depends on both pore size and shape. In other to adsorb hydrated ion in application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mesopore is necessary[1,2]. Tamai et al.[3] reported that an increased portion of mesopore was introduced through addition of metal or organometallic compound in the precursor and following activation of the carbon fibers with steam. (omitted)

  • PDF

축전식 탈염 공정을 위한 메조포러스 탄소 전극 (Mesoporous Carbon Electrode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 이동주;박진수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4
    • /
    • 2014
  • 다공성의 활성탄소와 상대적으로 입자크기가 더 작은 carbon black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다양한 적층배열 구조를 갖는 축전식 탈염용 전극을 제조하였고 활성탄소만 존재하는 전극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arbon black의 양이 증가할수록 탄소체의 배열 구조가 조밀해지는 것을 관찰하였고, mesopore가 약 1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환전압전류법을 이용하여 축전용량을 살펴보았을 때 carbon black만으로는 이온흡착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지만 활성탄소체와 혼합하여 carbon black의 양이 증가할수록 비축전용량 역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최종적으로 셀에 전극을 채용하여 탈염실험을 수행한 결과, carbon black의 양이 가장 많이 함유된 전극의 탈염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pH의 변화의 폭이 가장 좁았다. 또한, 축전된 전하의 분석을 통해 비페러데이 전류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페러데이 반응에 대한 영향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carbon black의 첨가로 전극의 적층배열 구조가 변형함으로써 mesopore의 비율이 증가해 페러데이 반응에 의한 영향이 감소하였고, 탈염 성능 역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에어로졸공정에 의한 다공성 TiO2분말의 제조 및 공극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TiO2 Powder by Aerosol Process)

  • 장한권;장희동;박진호;조국;길대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79-485
    • /
    • 2008
  • Aerosol templating 법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출발물질 용액($TiO_2$ 나노분말/PS 콜로이드 혼합용액 및 TTIP/PS 혼합용액)으로부터 mesopore 및 macropore를 동시에 가지는 다공성 $TiO_2$ 나노구조체 분말을 제조하였다. $TiO_2$에 대한 PS 분말의 혼합비 및 반응기 온도가 다공성 나노구조체 분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iO_2$ 나노분말을 출발 물질로 사용한 경우, $PS/TiO_2$ 무게 혼합비를 0.79에서 1.31로 증가시킴에 따라 macropore의 증가가 SEM을 통하여 관찰되었으며 비표면적과 mesopore volume은 각각 $31.6m^2/g$에서 $39.1m^2/g$으로, $0.068cm^3/g$에서 $0.89cm^3/g$으로 증가하였다. TTIP 전구체를 사용한 경우, 동일조건에서 제조한 분말의 비표면적 및 mesopore volume이 각각 67% 및 75%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