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ssage recover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비동기적 검사점 기록을 고려한 저 비용 인과적 메시지 로깅 기반 회복 알고리즘 (Low-Cost Causal Message Logging based Recovery Algorithm Considering Asynchronous Checkpointing)

  • 안진호;방승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6호
    • /
    • pp.525-532
    • /
    • 2006
  • 인과적 메시지 로깅을 위한 기존 회복 알고리즘들에 비해, Elnozahy가 제안한 회복 알고리즘은 안전한 저장소 접근횟수를 매우 줄이고, 회복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살아있는 프로세스들이 자신의 계산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인과적 메시지 로깅 기법이 비동기적 검사점 기록 기법과 함께 사용된다면, 동시적 고장들이 발생하는 경우 이 알고리즘 수행 후 전체 시스템 상태가 일관적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관적이지 못한 경우들을 보여주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인과적 메시지 로깅을 위한 저 비용의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스템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 알고리즘은 회복 리더가 모든 살아있는 프로세스들뿐만 아니라 다른 회복 프로세스들로부터 회복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Elnozahy 회복 알고리즘에 비해 어떠한 부가적인 메시지도 요구하지 않으며, 메시지 피기백에 의해 발생되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부가적인 비용이 매우 낮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Elnozahy 알고리즘에 비해 회복정보 수집시간을 단지 1.0%$\sim$2.1% 정도로 증가시킴을 보여준다.

분산 시스템에서 인과적 메시지 로깅에 기반한 효율적 회복 알고리즘 (An Efficient Recovery Algorithm based on Causal Message Logging in Distributed Systems)

  • 안진호;정광식;김기범;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10호
    • /
    • pp.1194-1205
    • /
    • 1999
  • 인과적 메시지 로깅은 정상수행시 낙관적 메시지 로깅의 장점을 가지고, 회복시 비관적 메시지 로깅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복 프로세스들간의 비동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과적 메시지 로깅에 기반한 새로운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인과적 메시지 로깅 기반 회복 알고리즘들은 살아있는 프로세스들의 수행을 대기시키거나, 회복 프로세스들간의 높은 동기성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회복 알고리즘은 각 회복 프로세스가 자신의 회복만을 책임지게 함으로써,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이 동시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회복시 살아있는 프로세스들의 수행을 대기시키지 않고, 회복 프로세스들 중 하나의 회복 프로세스에게만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각 회복 프로세스의 회복 과정이 다른 회복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고장들에 의해 지연되지 않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회복 알고리즘의 정당성을 증명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제안하는 회복 알고리즘이 기존 회복 알고리즘에 비해 고장난 프로세스의 평균회복시간을 단축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Abstract Causal message logging has the advantages of optimistic message logging during failure-free execution and pessimistic message logging during recovery.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recovery algorithm based on causal message logging for improving asynchrony among recovering processes. Existing recovery algorithms based on causal message logging block the execution of live processes or require high synchronization among recovering processes. As each recovering process is responsible for only its recovery in our algorithm, the algorithm avoids blocking the execution of live processes during recovery even in concurrently multiple failures and overloading only one among recovering processes. Moreover, it allows the recovery of each recovering process not to be delayed by the continuous failures of other recovering processes. We prove the correctness of our recovery algorithm, and ou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reduces the average recovery time of a failed process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covery algorithms.

CRYPTANALYSIS AND IMPROVEMENT OF A PROXY SIGNATURE WITH MESSAGE RECOVERY USING SELF-CERTIFIED PUBLIC KEY

  • Chande, Manoj Kumar;Lee, Cheng-Chi
    • 대한수학회보
    • /
    • 제53권4호
    • /
    • pp.1051-1069
    • /
    • 2016
  • Combining the concept of self-certified public key and message recovery, Li-Zhang-Zhu (LZZ) gives the proxy signature scheme with message recovery using self-certified public key. The security of the proposed scheme is based on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 and one-way hash function (OWHF). Their scheme accomplishes the tasks of public key verification, proxy signature verification, and message recovery in a logically single step. In addition, their scheme satisfies all properties of strong proxy signature and does not use secure channel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riginal signer and the proxy signer.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in their signature scheme a malicious signer can cheat the system authority (SA), by obtaining a proxy signature key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original signer. At the same time malicious original signer can also cheat the SA, he can also obtain a proxy signature key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proxy signer. An improved signature scheme is being proposed, which involves the remedial measures to get rid of security flaws of the LZZ et al.'s. The security and performance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signature scheme is maintaining higher level of security, with little bit of computational complexity.

압축 센싱 신호 복구를 위한 AMP(Approximate Message Passing) 알고리즘 소개 및 성능 분석 (Introdu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pproximate Message Passing (AMP) for Compressed Sensing Signal Recovery)

  • 백형호;강재욱;김기선;이흥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1호
    • /
    • pp.1029-1043
    • /
    • 2013
  • CS(Compressed Sensing)는 오늘날 신호 처리 영역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이론 중의 하나이다. 이 CS 분야에서 효과적인 복구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것은 가장 큰 도전적 연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복구 알고리즘이 많은 문헌을 통해서 제안 되었으며 최근에 Maleki와 Donoho에 의해 제안된 AMP(Approximation Message Passing) 알고리즘은 기존에 제시된 알고리즘에 비해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좋은 성능을 보여줌으로써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BP) 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은 오직 희소(Sparse) 센싱 행렬에서만 좋은 성능을 보여 준 것에 반해, AMP 알고리즘은 밀집(Dense) 센싱 행렬에 기초를 둔 Belief Propagation 알고리즘임에도 불구하고 이와 비슷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다양한 영역에서 AMP 알고리즘이 적용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지침 및 기존의 고전적 Message Passing 알고리즘과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알고리즘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AMP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제시하였다.

ECTPN을 이용한 키복구 시스템의 명세 및 분석 (Specification and Analysis of Key Recovery System using ECTPN)

  • 고정호;강상승;전은아;이강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874-1885
    • /
    • 2000
  • When a receiver of ciphertext message can not decrypt a message because he has lost his private-key, the private-key of receiver and session-key of the message should be recovere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Encapsulation based Key Recovery System (EKRS). EKRS is a new key encapsulation based key recovery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secretly choice of KRA, randomized target keys. n-way recovery type, and useful for commercial key recovery. EKRS is formally specified by a pictorial model, an Extended Cryptographic Timed Petri Net (ECTPN). Secure information flow and reachability of a session-key are verified by using reachability graph of ECTPN. EKRS, executing over a Public Key Infrastructure, can be used as a security solution in Web based applications such as CALS, EC an EDI.

  • PDF

메시지 복구형 양자 서명 기법 (Quantum signature scheme with message recovery)

  • 이화연;양형진;이동훈;이상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9-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Greenberger-Home-Zeilinger(GHZ) 상태를 사용하는 메시지 복구형 양자 서명 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기존의 양자 서명과 마찬가지로 중재자가 서명을 확인해주는 형식을 띄고 있으나, 기존에 제시된 양자 서명 기법에 비하여 메시지를 암호화시켜 외부에서 메시지에 대한 기밀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전송상 효율을 높였으며, Bell측정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 측정만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켰다.

메시지 복구 공격에 안전한 형태보존암호 (Secure Format-Preserving Encryption for Message Recovery Attack)

  • 정수용;홍도원;서창호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8호
    • /
    • pp.860-869
    • /
    • 2017
  • 최근 국내에서 개인정보 안전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으로써 개인정보 암호화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암호화 기법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데이터의 형태를 보존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를 변경해야하며 이는 많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그대로 유지하고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존할 수 있는 형태보존암호가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NIST는 FF1과 FF3를 형태보존암호의 표준으로 공표했지만, 최근 메시지 복구 공격에 대한 FF1과 FF3의 안전성에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보존암호의 표준인 FF1과 FF3, 그리고 메시지 복구 공격에 대해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메시지 복구 공격에 안전할 수 있는 형태보존암호를 연구하고, 표준화된 FF1과 FF3을 직접 구현하여 제안 방식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인과적 메시지 로깅에서 확장성 지원 방법 (How To Support Scalability in Causal Message Logging)

  • 김기범;황종선;유헌창;손진곤;정순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4호
    • /
    • pp.362-372
    • /
    • 2000
  • 인과적 메시지 로깅기법은 프로세스의 파손 결함을 포용하는 분산 시스템을 작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법이다. 기존의 인과적 메시지 로깅기법은 결함 포용 시스템 내에 고정된 수의 프로세스가 존재한다는 기본가정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새로운 프로세스의 추가 혹은 현존하는 프로세스의 소멸 시 모든 프로세스들이 자신의 자료구조를 변경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목록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목록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결함 포용시스템을 여러 다른 스케일에서도 동작하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여, 우리는 현존하는 인과적 메시지 로깅 기법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회복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1) 회복리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 분산화된 기법이고, 2) 회복이 진행되는 동안 정상프로세스의 실행을 막지 않는 비방해기법이고, 3) 여러 프로세스의 동시 결함도 포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기존의 인과적 메시지 로깅기법에서는 위의 성질 중 하나 이상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 PDF

New Signature Schemes Giving Message Recovery Based on EC-KCDSA

  • Yum, Dae-Hyun;Sim, Sang-Gyoo;Lee, Pil-Joong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2년도 종합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95-597
    • /
    • 2002
  • New signature schemes giving message recovery based on EC-KCDSA are introduced. These signature schemes can be efficiently used with established EC-KCDSA systems.

  • PDF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서 NAK 메시지의 기능 분리를 통한 지역적 오류 복구 (Local Recovery in Reliable Multicast Protocols by Separating NAK-suppression from Error Recovery Request)

  • 정충일;이윤희;박창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28권4호
    • /
    • pp.559-569
    • /
    • 2001
  •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과 함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사항은 신뢰성과 확장성이다. 그 중 확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지역적 오류 복구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역적 오류 복구 기법에서 발생하는 제한점을 설명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 번째는 NAK 메시지를 기능에 따라 오류 복구 요청과 NAK-suppression으로 분리하여 각각 전송함으로써, 각 기능에 대해 최적화를 시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점진적, 분산적으로 선정된 지역 대표가 오류 복구를 보다 결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제어 메시지의 TTL값을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오류 복구 영역을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시뮬레이션 상에서 다른 프로토콜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성능평가를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프로토콜은 오류 복구 시간과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감소시킴으로써 확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