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syndrome

검색결과 1,208건 처리시간 0.031초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장기적인 임상 경과에 대한 단일 기관 경험 (Long-term Clinical Consequences in Patients with Urea Cycle Disorders in Korea: A Single-center Experience)

  • 이준;김민지;유석동;윤주영;김유미;전종근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21
  • 목적: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선천성 대사이상질환으로, 요소 회로 각 단계의 특정 효소의 결핍에 따라 다양한 질환과 임상적 증상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다양한 종류에 따른 장기적 임상 경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등록된 22명의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임상적 양상과 생화학적, 유전학적 검사 결과들을 포함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진단된 요소회로대사 질환은, OTCD 10명(45.5%), ASSD 6명(27.3%), CPS1D 3명, HHHS 2명 ARG1D 1명으로 확인되었다. 진단 시 평균연령은 32.7±66.2개월(범위 0.1-228.0개월) 이었다.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 8명(36.4%)에서 성장 장애가 동반되었다. 또한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11명(50%)에서는 신경학적 후유증이 관찰되었다. 분자유전학적 분석 결과 새로운 돌연변이 14개를 포함해 37개의 서로 다른 돌연변이 유형(과오돌연변이 14개, 넌센스 6개, 결실변이 6개, 스플라이싱변이 6개, 결실삽입변이 3개, 삽입변이 1개, 중복변이 1개)이 확인됐다. 진행성 성장 장애와 나쁜 신경학적 결과는 혈장 이소루이신과 루이신 농도와 각각 관련이 있었다. 결론: 단백의 제한과 같은 조치나 과다한 질소를 제거하는 약제의 복용에도 불구하고, 요소회로대사 질환의 예후는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하다. 가지사슬아미노산의 보충이 요소회로대사 질환 환자들의 성장부전과, 대사성 위기 또는 신경학적 예후에 효과를 보일지에 관해서는 전향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서울 거주 성인 여성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Intake of Soy Isoflavone among Adult Women in Seoul)

  • 이민준;손춘영;박옥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8-230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9.97세이며, 폐경 전 대상자는 45.14세, 폐경 후 대상자는 55.99세였다. 폐경 전 대상자에 비해 폐경 후 대상자는 평균 체질량지수(p<0.0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p<0.001), 체지방율(p<0.001), 수축기 혈압(p<0.001), 혈당 및 혈중 지질 수준(p<0.05)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았고, 골반 및 척추의 골밀도는 유의적언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대상자의 경우 폐경 전 대상자와 비교할 때 빈혈 위험 집단으로 분류된 비율은 낮았으나,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 위험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 전 후 조사 대상자의 각 대두식품/음식의 섭취 빈도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폐경 전 대상자는 47.1%, 폐경 후 대상자는 42.7%가 매일 조림 볶음 콩밥 등의 형태로 콩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와 된장의 경우 1주일에 1회, 2회, 3~4회 섭취 빈도가 모두 20% 이상으로 나타나 콩, 두부, 된장이 이소플라본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3. 조사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28.48 mg이었으며, 폐경 전 대상자는 25.48 mg, 폐경 후 대상자는 32.25 mg으로 폐경 후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분포는 폐경 전 대상자는 3.29~78.36 mg(중간값 24.19 mg), 폐경 후 대상자는 3.18~116.59 mg(중간값 25.94 mg)으로 개인 간의 섭취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경 전 대상자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low, middle, high 집단이 각각 8.2 mg, 24.8 mg, 47.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와 수축기 혈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헤마토크리트는 이소플라본이 가장 낮은 섭취군과 가장 높은 섭취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경 후 대상자는 low, middle, high 집단 각각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이 8.6 mg, 24.6 mg, 63.6 mg 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초경 연령은 낮고, 폐경 연령은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질량지수와 허리-엉덩이 비율은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중간 섭취 집단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체지방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중간 이상 섭취하는 집단에서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 모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관찰 연구이므로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을 나타내는 건강지표들과 태두 이소플라본의 섭취 간에 인과관계를 밝힐 수는 없었으나,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 후 여성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 건강문제와의 관련 가능성을 미약하게나마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만으로 대두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기준을 제시할 수 없으나 조사대상자의 이소플라본 섭취 분포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군에 속하는 하루 15 mg 이하를 섭취하는 경우 그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여러 질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한 이소플라본 하루 평균 섭취 수준은 20~35 mg 수준으로 나타난 바 있으므로, 다양한 대두식품을 통해 하루 15~35 mg 이상의 이소플라본 섭취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종단적 영양 역학 연구와 설험 연구를 통해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만성질환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위해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수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마 추출물이 난소를 절제한 흰 쥐의 혈 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a Tangle Extract on Serum Lipid Level in Ovariectomized Rats)

  • 이영애;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49-254
    • /
    • 2008
  • 폐경 후 여성의 비만은 독특한 생리적 현상으로 음식물 섭취가 촉진되고, 몸무게와 지방조직이 증가되고, 정상 여성보다 혈류 관련 질환 발병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갱년기를 유도한 흰쥐에 다시마 추출물을 투여하여 체내 지질 함량 변화에 대해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난소를 절제한 OVX-control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보다 체중이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시마 추출물이 체중감소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GOT 활성에서는 난소를 절제한 OVX-control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에 비해 GOT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한 후 다시마 추출물 투여에 의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보다 GOT활성이 더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GPT 활성에서는 난소를 절제 한 후 다시마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OVX-control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OVX-ST200군에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난소 절제 후 다시마 추출물 투여는 난소 절제로 인해 야기되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 및 혈청 지질 농도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HDL-콜레스테롤은 난소절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다시마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혈중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다시마 추출물이 갱년기 장애 시 발생할 수 있는 혈 중 지질 함량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류 관련 질환에 대한 개선 식품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성인에 있어 혈청 철 표지자, 심장 표지자, 생화학적 표지자의 차이 (Difference in Serum Iron, Cardiac, and Biochemical Indices between Alcoholic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 김철유;문성민;현경예;김대식;최석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5-191
    • /
    • 2009
  • 비록 음주가 간손상을 일으키는 지방간의 원인이 되긴 하나 다른 인자들 역시 지방간의 원인이 된다. 우리는 알코올성 지방간(알코올군)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남성(비알코올군)에 있어 철 표지자, 심장표지자, 그리고 생화학적 표지자의 변화와 차이를 연구하였다.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신체지수,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좌우 안압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혈색소 농도, 적혈구 용적률,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 평균 적혈구혈색소 농도, 단구 수 역시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생화학적 지수인 alanine aminotransferase, ${\gamma}$-glutamyltranspeptidase,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콜레스테롤, 혈당, 크레아티닌, 요산 등도 알코올군이 비알코올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철 지수인 철, 총철결합능, 페리틴 농도 역시 알코올군이 의미있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인 알코올 기인성 지방간이 비음주 지방간에 비해 혈청 철농도, 심혈관 표지자, 그리고 생화학적 표지자들을 더 상승시키며, 이는 심혈관 질환 및 대사성 증후군과 같은 성인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보다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원주 지역 주민들의 사상체질과 심박수변이도와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Won-ju Rural Population)

  • 김수연;선승호;유준상;고상백;박종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0-524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HRV). Method : There were 665 subjects (280 men and 385 women), between 39 and 72 years old. in a rural community. Sasang Constitution was diagnosed by a Sasang constitutional specialist using PSSC (Phonetic System for Sasang Constitution), face and tongue photo and checkup-list.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RV was recorded using SA-2000 (medi-core). HRV was assessed by time domain and by frequency domain analysis.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on the basis of clustering of risk factors, when three or more of the follow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included :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abdominal obesity (waist). Because of the skewness of the data, logarithmic transformation was performed on the absolute units of the spectral components of HRV, and the resulting logarithmic values and normalized uni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y a logistic regression. The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the odds ratio was used and calculated from the data laid out for a cross sectional study. Results : 1. Odds ratios of Taeeumin and Soeumin in female adults below 60 years ol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oyangin in LF norm and LF/HF ratio. Odds ratios of Taeeumin and Soeumin in female adults below 60 years ol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yangin in HF norm. 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RV and Sasang Constitution in female adults from 60 years old and over.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RV and Sasang Constitution in male adults. Conclusion :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HRV and Sasang Constitution. There is a tendency of increase in the sympathetic activity in Soyangin. There i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parasympathetic activity in Taeeumin and Soeumin.

  • PDF

$\omega-6$ 다중불포화지방을 섭취한 백서에서 비타민 E보충이 인슐린저항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Insulin Resistance and Oxidative Stress in Sprague Dawley Rats Fed High $\omega-6$ Polyunsaturated Fat Diet)

  • 박선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6호
    • /
    • pp.644-653
    • /
    • 1999
  • Background : Excessive intakes of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an increase oxidative stress, which may increase insulin resistance and could be the cause of metabolic syndrome X such as diabetes mellitus. One of the ways to reduce oxidative stress is the consumption of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E. It is controversial that vitamin E intakes may alleviate insulin resistan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whether high vitamin E intake may influence whole body glucose disposal rate(GDR), glycogen deposites, triglyceride content, lipid peroxide level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Sprague Dawley rats fed high $\omega$6 PUFA diest. Methods :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umed chow diet. High and low vitamin E groups consumed 40% PUFA of total energy intakes. One kilogram of diet mixture contained 300IU of $\alpha$-tocopherol in high vitamin E group, while it had 30 IU in low vitamin E group. Diets were given for 8 weeks. After 7 were of diet consumption, indwelling catheters were inserted in carotid artery and jugular vein of all rats so that GDR could be measured in awake and unstressed state. Results : Daily PUFA intakes were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an others. Daily vitamin E intake of high vitamin E group was about ten times higher than those of low vitamin E group and the control group(p<0.0001). $\alpha$-tocopherol content in lier was highest in the high vitamin E group. GDR of the control group was 24% higher than others, and vitamin E intakes did not affect GDR. Glycogen deposit of liver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and it was not altered by vitamin E supplementation. Muscle glycogne content showed a similar tendency as liver glycogen in different diet groups. Triglyceride deposit in muscle was not different among groups. Lipid peroxide content of liver in the high vitamin E group was lower than the low of glutathione peroxidase were lowered in low vitamin E group than others, however, those of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s : High vitamin E intakes can decrease oxidative stress in rats fed high (())-6 PUFA diet, but they cannot alleviate insulin resistance. Thus, increased oxidative stress through high (())-6 PUFA diet may be minimal for influencing insulin resistance.

  • PDF

Instant noodl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 Huh, In Sil;Kim, Hyesook;Jo, Hee Kyung;Lim, Chun Soo;Kim, Jong Seung;Kim, Soo Jin;Kwon, Oran;Oh, Bumjo;Chang, Nam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32-239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Increased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and cardio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which has the highest per capita instant noodle consumption worldwid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instant noodle consumption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SUBJECTS/METHODS: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3,397 college students (1,782 male; 1,615 female) aged 18-29 year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checkup. Information on instant noodle consumption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answers to a question about their average frequency of instant noodle intake over the 1 year period prior to the survey.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that adjusted for age, body mass index, gender, family income, health-related behaviors, and other dietary factors important for cardiometabolic risk,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instant noodle consumption and plasma triglyceride levels,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in all subjects. Compared to the group with the lowest frequency of instant noodle intake (${\leq}1/month$), the odds ratio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group with an intake of ${\geq}3/week$ was 2.639 [95% confidence interval (CI), 1.393-5.000] for all subjects, while it was 2.149 (95% CI, 1.045-4.419) and 5.992 (95% CI, 1.859-21.824)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In female students,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also higher among more frequent consumers of instant noodles.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frequent consumption of instant noodles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apparently healthy college students aged 18-29 years.

3T3L-1 지방전구세포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모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와 억제 기전 (Anti-obese Effects and Signaling Mechanisms of Chaenomeles sinensis extracts in 3T3-L1 Preadipocytes and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 김다혜;권보라;김상준;김홍준;정승일;유강열;김선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7-469
    • /
    • 2017
  • Obesity is one of the most serious health problem because it induced numerous metabolic syndrome and increases the incidence of various disease, including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cancer. In 3T3-L1 adipocytes, increases in reactive oxygens species (ROS) occur with lipid accumulation. NADPH oxidase, producing superoxide an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besity-associated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 of Chaenomeles sinensis koehne extract (CSE) against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the inhibition mechanisms in 3T3-L1 preadiocytes. CSE decreased triglyceride content and inhibit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SREBP-1). In addition, CSE highly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SE remarkably reduced intracellular ROS increase and NAD(P)H oxidase activity, NOX1, NOX4, Rac1 protein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p47phox and p67phox We also studied the effect of CSE on weight gain induced by high-fat diet. The oral treatment of CSE (500 mg/kg, body weight) in diet-induced obese (DIO) mice showed decrease in triglyceride and adipocyte size.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CSE on anti-obese effec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ducing triglyceride contents as well as adipocyte size in obese mice, may be associated with inhibition of NAD(P)H oxidase-induced ROS production and adipose transcription factors. These results showed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obesity by CSE treatment through controlling the activation of NAD(P)H oxidase in vitro and in vivo obese model.

고자장 자기공명영상에서 효율적인 지방 정량화를 위한 필드 맵 측정 기술 (Field Map Estimation for Effective Fat Quantification at High Field MRI)

  • 은성종;황보택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8-574
    • /
    • 2014
  • 최근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증후군에 속하는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여 지방간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검진이 요구되는데 관심 영역과 관심 영역이 아닌 영역의 intensity 값이 상당히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문적인 물, 지방 분리 방법을 통해서 분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법은 필드의 불균일성이 큰 고자장으로 갈수록 부정확한 결과가 도출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분리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고자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필드 맵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기존 IDEAL 시퀀스로 얻어진 에코 영상을 통해 필드 맵을 생성하고, 클러스터링 작업, 그리고 영역성장법 스키마 기반의 least square fit을 통한 필드 맵의 보정, 마지막으로 필드 맵의 homogeneity를 위한 경계선의 보정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물과 지방을 분리한다. 실험결과 IDEAL방법이 평균 61.5%, Yu의 방법이 평균 62.6%, 제안 방법이 평균 86.4%의 지방 검출율로 제안방법이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물 검출율 역시 제안 방법이 평균 98.4%의 물 검출율로 Fat saturation의 평균 88.6% 보다 높은 정확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고혈압 청소년에서의 혈청 adiponectin치와 adiponectin I164T 유전자다형성 (Serum level of the adiponectin and adiponectin I164T polymorphism in hypertensive adolescents)

  • 이정아;길주현;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87-193
    • /
    • 2009
  • 목 적 : Adiponectin은 대사 증후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며, 비만, 2형 당뇨, 관동맥 질환 등에서 그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과 혈청 adiponectin치의 관계는 여러 저자에 의하여 발표되었으나 아직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는 상태이다. 우리는 낮은 adiponectin치가 청소년 고혈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또 영향을 끼치는 기전이 유전적인지 혹은 생물학적인 것인지 알고자 유전자 다형성 분석을 하였다. 방 법 : 16에서 17세 사이의 40명의 고혈압 청소년과 20명의 대조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각 군의 혈청 adiponectin, insulin, renin, aldosterone, ACE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cIMT와 PWV도 측정하였다. PCR법으로 adiponectin I164T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고혈압 청소년군에서 cIMT와 PWV가 의미있게 높았다. 혈청 insulin, renin, aldosterone치도 고혈압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두 군간에 adiponectin치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에서는 TC genotype은 발견되지 않았고 모두 TT genotype을 보였다. 결 론 : 결론적으로 adiponectin치는 고혈압 청소년 군에서나 정상군에서나 차이가 없었다. 두 군에서 유전적인 다형성도 보이지 않았다. 더 큰 규모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