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llocene low density polyethylen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메타로센 촉매를 이용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Low-Density Polyethylene by use of Metallocene Catalyst)

  • 조돈찬;;;홍진웅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3-127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we used two kind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prepared using metallocene catalyst (mL),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repared using Ziegler catalyst (LL)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by high pressure process (LD). mL has the narrowest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s. We measured the dc and impulse breakdown strengths and current densities at 3$0^{\circ}C$, 6$0^{\circ}C$ and 9$0^{\circ}C$. mL had a higher breakdown strength and a lower high-field current than LD and LL.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the point of manufacturing processes.

  • PDF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locene Low Density Polyethylene/Low Density Polyethylene Blends)

  • 김경룡;한정우;강호종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40-847
    • /
    • 2001
  •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LLDPE)과 Ziegler-Natta 촉매에 의하여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블렌드의 결정화 거동을 고찰하여 보았다. 특히 블렌딩이 이들의 결정화 induction time 및 구정성장 속도 그리고 최대 구정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LLDPE/LDPE 블렌드와는 달리 LLDPE에 m-LLDPE를 블렌딩할 경우, 각각의 결정 형성 대신 하나의 결정이 형성됨을 확인하였으며 induction time이 현저히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감소는 블렌드의 조성비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블렌딩에 의하여 LLDPE의 구정성장 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정의 최대 크기는 induction time과 구정성장 속도가 LLDPE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티에틸렌의 결정화 거동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of Metallocene Low Density Polyethylene)

  • 김경룡;한정우;조봉규;강호종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33-839
    • /
    • 2001
  • 광산란 장치를 이용하여 메탈로센 촉매 하에 제조된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결정화거동을 Ziegler-Natta 촉매에 의하여 제조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보았다. 특히 branching수와 길이 그리고 공단량체의 함량이 결정화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같은 수의 branching 수를 가지고 있는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기존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결정화를 시작하기 위한 induction time이 길어짐을 알 수 있으나 구정의 성장속도는 두 경우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branching 수를 감소시킬 경우 induction time과 구정성장속도가 모두 빨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최대 구정의 크기는 branching 수에 관계없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기존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비하여 커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밀도 폴리에틸렌/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의 열적 거동 및 물성 (Thermal Behavior and Physical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Metalloc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Blends)

  • 김장엽;현욱;이동호;노석균;이상원;허완수
    • 폴리머
    • /
    • 제27권5호
    • /
    • pp.502-507
    • /
    • 2003
  •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m-LLDPE)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을 용응 블렌딩 방법으로 블렌드를 제조하여 열적 거동 및 물성을 관찰하였다. LDPE/m-LLDPE1 블렌드는 LDPE조성이 50% 이상이면 두 개의 용융 피크가 관찰된 반면 다른 블렌드들은 단일한 용융 피크를 나타내었다. m-LLDPE에서 공단량체 함량이 감소할수록 용융 온도와 상대 결정화도가 증가하였다. 공단량체 함량이 2 wt%인 m-LLDPE1이 초기 탄성률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공단량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블렌드에서 조성에 따른 초기 탄성률의 변화는 상대 결정화도의 거동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블렌드의 파괴 신율은 LDPE/m-LLDPE1과 LDPE/m-LLDPE2 블렌드에서 평균값보다 낮은 파괴 신율을 나타내었었다. m-LLDPE2의 용융 지수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고 공단량체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Metallocene-catalyzed Polyethylene on the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henylene sulfide)/Polyethylene Blends

  • Lee, Bo-Sun;Chun, Byoung-Chul;Chung, Yong-Chan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2호
    • /
    • pp.145-150
    • /
    • 2004
  • Blends of poly(phenylene sulfide) (PPS) and polyethylene, either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or metallocene-catalyzed polyethylene (MPE), that were prepared by melt blending, were investigated. From the rheological properties as determined by capillary rheometry, the melt viscosity of both PPS/LLDPE and PPS/MPE blends was low when PE was in dispersed phase, but high melt viscosity was observed for both blends with PPS in dispersed phas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were found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ercent elongation at break and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In addition, dispersed phase morphology of the blends was analyz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gether with brief discuss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폴리프로필렌/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 및 웰드라인 물성에 미치는 폴리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oly(propylene-co-octene) as a Compatibilizer on Mechanical Properties and Weldline Characteristics of Polypropylene/Poly(ethylene-co-octene) Blends)

  • 구효선;손영곤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3호
    • /
    • pp.251-25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메탈로센 (metallocene) 촉매로 중합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한 복합 폴리프로필렌 (PP)에 상용화제로 프로필렌-옥텐 공중합체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사용된 프로필렌-옥텐 공중 합체는 실험실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하였다. 상용화제가 첨가되지 않은 복합 PP의 경우 웰드라인에서 기계적 물성이 매우 낮았는데 상용화제의 첨가에 따라 웰드라인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용화제 가 첨가된 복합 PP라도 웰드라인이 없는 시편에서는 물성개선이 크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는 제조된 상용화 제의 분자량이 매우 낮기 때문이었다. 적절한 조건에서 분자량이 높은 프로필렌 옥텐 공중합체를 제조한다면 상용화제로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연신비와 첨가제 CaCO3가 PE 모노필라멘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aw Ratio and Additive CaCO3 Content on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PE Monofilament)

  • 박은정;김일진;이동진;김정수;이영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0-296
    • /
    • 2021
  • The effect of draw ratio (8, 10, 12, 14 times) and additive CaCO3 content (0, 0.5, 1.0, 1.5, 2.0, and 3.0 wt%) on the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PE monofilamen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the draw ratio increased (8-14 times), the melting enthalpy (ΔHf), crystallinity, specific gravity, and tensile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draw ratio had little effect on the melting temperature (Tm) a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The seawater fastness (stain and fade) of the hydrophobic PE monofilament prepared in this study showed an excellent grade of 4-5 in all draw ratio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ve CaCO3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PE monofilament, the draw ratio was fixed at 14 times.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PE monofilament sample containing 0.5 wt% of CaCO3 was much greater compared to the sample without CaCO3, but the elongation of the sample containing 0.5 wt% of CaCO3 was much less than the sample with 0 wt% CaCO3. However, in the case of the sample containing more than 0.5 wt% CaCO3, the tensile strength slightly decreased and the elongation slightly increased as the CaCO3 content increased. The seawater fastness (stain and fade) of the hydrophobic PE monofilament showed excellent grades of 4-5, regardless of the amount of additive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draw ratio of 14 times with an additive of 0.5 wt% CaCO3 are the optimal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high-performance marine fusion materials with various fineness (denier) with high strength and low elon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