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zo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초

활성슬러지 구성 미생물에 의한 폴리오바이러스의 감소 효과 (Poliovirus Decrease Effect by Activated Sludge Microbes)

  • 김태동;최동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6-341
    • /
    • 2006
  • The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s known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quantify of enteric virus in water environments. To clarify the roles of activated sludge microbes in decreasing the virus infectivity, the behavior of the virus in bacteria, protozoa, and metazoa was examined by pure or mixed culture system using poliovirus type 1(Lsc, 2ab strain). In the bacterial culture systems, the virus infectivity in the liquid phase decreased by a reversible adsorption of the virus to the bacteria or bacterial floc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tozoa and the metazoa culture systems using T. pyriformis and P. erythrophthalma, respectively, with a variety of bacterial strains as prey, the main virus decrease mechanism of reversible adsorption in early stage was changed to irreversible predation, which was not eluted in this study. The virus decrease was more effective in the P. erythrophthalma culture system, which had high predation and floc forming abilities. However, in the mixed culture system of Z. ramigera and P. erythrophthalma, the more rapid reversible adsorption of virus to Z. ramigera flocs preceded the irreversible predation of P. erythrophthalma.

다공성 Media가 조여된 반응조를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의 호기성 생물학적 처리시 미소생물상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fauna in Biological Treatment of Landfil Leachate with Reactor Including Porous Media)

  • 홍성철;박연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69
    • /
    • 1996
  • The combined wastewater of municipal landfill leachate and municipal sewage was treated using several sets of bench-scale aerated circulating system including porous media. Investigated items in this experiment were the dominant protozoa and metazoa in this system, the variation of microfauna relationship between operating condition and dominant genera. Also considered the factors determining dominant genera and their role.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Aspidisca, Vorticella, Truhellophyllum, Lecane, Philodina, Cyclops were mainly appeared prior to combinding leachate, while Trachelocerca, Bodo, Glaucoma were the dominant genera after combinding leachate. 2. As to metazoa, Nematode and Philodina were not influenced by 5oA leachate mixing ratio, meanwhile Crustacea has high sensitivity for increased leachate mixing ratio and it was not appeared in 5% leachate mixing ratio. 3. The appropriate treatability could'nt be expected at the above 10% leachate mixing ratio. Especially, in the condition of 20% leachate mixing ratio, all of the microfauna were affected damage seriously on their existence. Meanwhile hydraulic retention time, substrate loading rate and slut자e production rate didn't give notable influence on increasing the number of microfauna. 4. As to protozoa, saprozoic and holozoic species were appeared commonly and polysaprobic species were dominent. 5. Filamentous organsms were nearly not affected by leachate mixing. It seems that they could live without any trouble at the 10% leachate mixing ratio, if the substrate is sufficient. 6. Diversity of microfauna had a reducing trernd as the sewage was mixed with leachate.

  • PDF

활성오니에서 발견된 사상세균,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유형과 우점도 분석 (Types and Abundance of Filamentous Bacteria, Protozoa and Metazoa in Activated Sludge)

  • 정재춘;김남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5-371
    • /
    • 1995
  • 슬러지 팽화의 원인이 되며 활성오니 공정운영상의 지표생물이 되는 사상세균과 원생동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도시하수 활성오니 처리장 6개소와 산업폐수활성오니 처리장 5개소의 폭기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경검법과 일부 생리학적 방법을 써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하였던 사상세균은 Microthrix parvicella이었으며 다음이 type 0041, type 1701, Nocardia의 순이었다. 비록 시료수는 적었지만 이러한 출현빈도는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조사된 것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사상세균의 형태는 이전의 문헌에서 보고된 것과 대체로 일치하였는데 type 1701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형태에 비해 사상체(filament)의 직경이 약간 가늘었다. 이러한 사상세균들은 낮은 유기물부하 또는 낮은 DO와 관계가 있는 것들이었으므로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면 지표생물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원생동물에 있어서는 Voricella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Aspidisca, Opercularia, Diffugia의 순이었다. 후생동물에 있어서는 Philodina가 유일하게 출현한 속이었다. 이러한 속들은 활성오니성 미생물로서 처리상황이 좋을때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미생물이라고 알려져 있으므로 처리수의 수질과 관련하여 유추해 볼때 상당한 타당성이 인정되었다.

  • PDF

Parasites found in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from Korean waters

  • Ngo, Thao T.T.;Choi, Kwang-Sik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4년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 /
    • pp.505-505
    • /
    • 2004
  • Pathological conditions of Pacific oysters were surveyed in some coastal areas of Korea. Samples of 30 to 45 oysters were collected in Kamakman, Masan and in Gosung Bay. Protozoan includes gregarine-like organism, Marteilioides chungmuensis, Haplosporidium; ciliates Ancitrocoma and Metazoa (termatode, nematode, copepod) were observed in samples from most of the sampling areas. Marteilioides chungmuensis was found in all sampling sites. Protozoan, Halosporidium sp. and Ancistrocoma sp. occurred in oysters from Gosung Bay (year 2000) with very low prevalence. Trematode Gymnophalloides was frequently found in oysters from all studied areas. Inflammation was frequently observed in oysters infected with M. chungmuensis and Pseudomyicola. The damaged structures were found in digestive tubes of oysters infected by Halosporidium sp. and Pseudomyicola sp. Some of the parasites and pathological status could associate with the conditions of oysters and the environment.

  • PDF

Comparison of Exon-boundary Old and Young Domains during Metazoan Evolution

  • Lee, Byung-Woo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2호
    • /
    • pp.131-135
    • /
    • 2009
  • Domains are the building blocks of proteins. Exon shuffling is an important mechanism accounting for combination of a limited repertoire of protein domains in the evolution of multicellular species. A relative excess of domains encoded by symmetric exons in metazoan phyla has been presented as evidence of exon shuffling, and symmetric domains can be divided into old and new domains by determining the ages of the domains. In this report, we compare the spread, versatility,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of old and new domains by analyzing eight metazoan genomes and their respective annotated proteomes. We found that new domains have been expanding as multicellular organisms evolved, and this expansion was principally because of increases in class 1-1 domains amongst several classes of domain families. We also found that younger domains have been expanding in membranes and secreted proteins along with multi-cellular organism evolution. In contrast, old domains are located mainly in nuclear and cytoplasmic proteins. We conclude that the increasing mobility and versatility of new domains, in contrast to old domain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metazoan evolution, facilitating the creation of secreted and transmembrane multidomain proteins unique to metazoa.

낙동강 하류 물금과 을숙도 수환경의 진핵 플랑크톤 종조성에 대한 분자모니터링 (Molecular Monitoring of Eukaryotic Plankton Diversity at Mulgeum and Eulsukdo in the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이지은;이상래;윤석현;정상옥;이진애;정익교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60-180
    • /
    • 2012
  • 본 연구는 메타게놈 분석법을 기초로 낙동강 하류 담수 환경의 물금과 기수 환경의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채수된 환경 시료내의 진핵 플랑크톤 종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환경 시료에서 추출된 DNA에 대한 environmental Polymerase Chain Reaction(PCR)을 수행하여 18S rDNA 클론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colony PCR,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염기서열 결정 및 유사도 분석을 통하여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물금 및 을숙도대교 정점에서 338개의 클론들을 분석하였고(170 clones, 물금; 168 clones, 을숙도대교), 그 결과 총 74개의 phylotype을 발굴하였다(49개, 물금; 25개, 을숙도대교). 발굴된 phylotype에 대한 계통 분석 결과, Stramenopiles, Cryptophyta, Viridiplantae, Alveolata, Rhizaria, Metazoa 및 Fungi 등의 분류군에 속하는 다양한 생물종이 발굴되었으며, 국내 미기록종 및 신종 후보 가능 생물종과 속(genus)이상의 새로운 분류학적 처리가 필요한 생물종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특히 Stramenopiles의 Pirsonia 및 Alveolata의 Perkinsea에 속하는 phylotypes 등 국내 미기록 생물종을 포함한 숨은 종다양성(cryptic species diversity)의 발굴은 분자모니터링 기법이 낙동강 하구역 수생태계 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유용한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부산 연안역의 진핵플랑크톤 종다양성에 대한 메타게놈 분석 연구 (Metagenomic Approach on the Eukaryotic Plankton Biodiversity in Coastal Water of Busan (Korea))

  • 윤지미;이지은;이상래;노태근;이진애;정익교;이동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59-75
    • /
    • 2012
  • 플랑크톤의 종조성에 대한 정보는 해양 생태계 내에서 물질과 에너지 순환을 이해 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수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해양환경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메타게놈 분석 기법(metagenomics)을 적용하여 낙동강 유출수, 장강 희석수, 남해 연안수, 쓰시마 난류수 등의 혼합으로 복잡한 환경특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산 연안역의 수괴 내에 존재하는 플랑크톤 종다양성을 분석하였다. 표층 해수에서 18S rDNA 클론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고 세 정점에서 분석된 370개의 클론들 중에서 94개의 phylotype들을 발굴하였다. 계통분석 결과 phylotype들은 Dinophyceae(42개), Ciliophora(15개), Bacillariophyta(7개), Chlorophyta(2개), Haptophyceae(1개), Metazoa(Arthropoda(17개), Chaetognatha(1개), Cnidaria(2개), Chordata(1개)), Rhizaria(Acantharea(2개),Polycystinea(1개)), Telonemida(1개), Fungi(2개) 등의 다양한 계통군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하게 위치한 세 정점에서 나타난 플랑크톤 종조성 차이는 이들 정점들이 여러 기원의 수괴(water mass) 혼합에 따른 다양한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메타게놈 분석 기법을 통한 플랑크톤 종조성 연구는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 연안 해양생태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도처리공법이 적용된 하수처리시설에서의 공법적용의 적정성 평가 (Validity evalu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pplying advanced treatment processes)

  • 안준수;박태술;조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4055-4068
    • /
    • 2010
  • 본 연구는 고도처리공법을 적용하여 수년간 가동 중인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운전현황을 측정 분석하여, 고도처리공법 적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단위공정별 처리효율은, BOD의 경우 1차침전지 35, 생물반응조 87, 최종방류수 48 %, T-N의 경우 1차침전지 18, 생물반응조 40, 최종방류수 25 %, T-P의 경우 1차침전지 23,, 생물반응조 38, 최종방류수25 % 등으로, 각 단위공정별로 양호한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생물반응조 내의 미생물 관측 결과, 다양한 종류의 세균과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이 관측되었고, 담체의 세균 부착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종방류수질은 BOD 5.5, COD 9.9, SS 4.6, T-N 11.8, T-P 0.99 mg/L으로 방류수 수질기준보다 낮은 양호한 수질상태를 나타내었다.

줄지렁이 중장에서 분리한 Coelomic cytolytic factor-유사 유전자의 클로닝 및 염기서열 분석에 관한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Coelomic Cytolytic Factor-like Gene from the Midgut of the Earthworm, Eisenia Andrei)

  • 백남숙;이명식;박상길;김대환;탁은식;안치현;;박순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4호
    • /
    • pp.64-73
    • /
    • 2008
  • glysosyl hydrolase의 하나인 CCF 유사 유전자를 지렁이 Eisenia anderi의 중장으로부터 분리하여 클로닝하였다. 이 유전자의 전체 염기서열 크기는 1,152bp로 나타났으며 개시코돈을 포함하여 384개의 아미노산을 인코딩한다. N-말단 지역의 17개 잔기들은 signal peptide이다. CCF 관련 유전자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분리한 CCF 유사 유전자는 glycosyl hydrolase family 16 (GHF16)에 속하며, 다른 종의 지렁이에서 밝혀진 CCF 및 CCF-유사 단백질과 79~99%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여러 지렁이 종에서 분리된 CCF 및 CCF-유사 단백질들은 가수분해활성에 중요한 polysacchride-binding motif와 glucanase motif가 100% 상동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대상종과 유사종인 E. fetida에서 분리된 CCF는 이 종의 서식지가 미생물 활성이 높은 부패 유기질층이기 때문에 다른 종의 CCF에 비해 높은 기질인식 특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본 연구에서 분리한 CCF도 넓은 기질 특이성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이는 산업적 응용 측면에서 유용한 특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BLASTX를 이용한 계통수 분석 결과 GHF16 효소는 크게 후생동물군, 녹색식물군, 진정세균군 등의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후생동물군의 GHF16은 다시 촉수담륜동물형와 탈피동물형(후생동물형 포함)으로 나뉘어졌다. 본 연구에 의해 E. andrei로부터 분리된 CCF-유사 단백질의 더 많은 생물학적 특성 연구를 통해 ${\beta}$-D-글루칸의 분해 및 생산을 조절하는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