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metic desir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로드 짐』의 낭만적 편력에 대한 해체론 독법: 모방적 욕망의 사건을 중심으로 (Deconstructive Reading to Jim's Itinerary through Lord Jim: Focusing on Events of his Mimetic Desire)

  • 최수
    • 영미문화
    • /
    • 제18권3호
    • /
    • pp.115-170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Jim's itinerary journey in terms of both Girald's concept of triangular desire and Derrida's concept of event. According to the Girard's mimetic desire theory, human being's desire is not spontaneous like Romanticism thought, but mimetic to the mediat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us there is no romantic desire understood as one's own desire except mimetic desire. In this regard, mimetic desire is compatible with the conception of Derrida's thinking of an event that is resistant to its absolute singularity. Because both mimetic desire and event cannot be defined by the fact of each spatio-temporal specificity, they can not be understood by a traditional metaphysics of presence. In this paper, by using Girard's concept of mimetic desire theory, I showcase why the tragic journey of Jim's telos as a mythic quest for his romantic ego(ipse) cannot help but face his death and by using deconstructive thinking of iterability, this paper analyzes why Jim's romantic ego imitated by the mimetic desire through a mediator cannot be encountered happily with his ipseity until his end. As a victim of triangluar desire, Jim's romantic ego is nothing but a notion of an ipsiety that has been defined in terms of presence central to metaphysics. This paper also makes an attempt to re-interpret some articles contaminated with post-colonial perspectives from Derridean views with deconstructive rigorous reading to those papers to uncover an essential ground of presence.

영화 <방자전>에 나타난 욕망의 모방적 양상 연구 (Research on Mimetic Aspect of Desire in the Movie, "The Servant")

  • 손민영;정원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969-977
    • /
    • 2017
  • Through Rene Girard's theory of triangle of the desi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imetic nature of desire as shown in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The Servant. This paper analyze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desire in the character, which is revealed by the process of reinterpretation via the medium change and convergence from Chunhyangjeon, a classic oral novel in Korea, to The Servant, a movie created by director Dae-woo Kim in 2010. The Servant is a meaningful research subject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inner desire of the character is accomplished by boldly designating Bangja, who is supposed to be a minor character, as the protagonist. In particular, Rene Girard's argument on the indirectness of desire in the theory of triangle of the desire helps understand the point where the character' inner desire, which naturally occurred in the existing narrative, transforms into the mimetic desire by an intermediary. This indirectness of the mimetic desire of the main character suggests a similarity with modern men's vanity which is offered by the capitalist era. Through this, the modern meaning of the mimetic aspect of desire as revealed by the transformation from the movie The Servant to Chunhyangjeon can be understood.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방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Virtual Influencers'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s Toward Fashion Produc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metic Desire)

  • 신하람;염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4
    • /
    • 2024
  • Virtual influencers, who are emerging as new players in digital marketing, impact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ey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and mimetic consumption of specific brands or products through interactions with follow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consumers' mimetic desire. As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five factors were set: reality, attractiveness, professionalism, trustworthiness, and curiosity.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the 8th to the 15th of August 2023, and 268 data points in total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4.3.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ll positively affected mimetic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mimetic desire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Mimetic desire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professionalism, trustworthiness, and curiosity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These findings further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influencers and consumer behavior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influencers, mimetic desire, and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Consequently, leveraging virtual influencers strategically in digital marketing, the fashion industry can amplify positive brand perceptions, drive consumer engagement, and ultimately foster increased purchase intent.

영화 "액트 오브 킬링"에 나타난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ssault and Victim in the Film Act of Killing)

  • 김석원;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99-3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슈아 오펜하이머(Joshua Oppenheimer)의 액트 오브 킬링 에 나타난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가해자의 입장에서 사용한 이론적 도구는 르네 지라르($Ren{\acute{e}}$ Girard)의 '모방 폭력(mimetic desire)',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을 연구하고, 피해자의 입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의미는 영화의 재현적 서사를 활용하여 지나간 과거의 대량학살의 재현 불가능성에 도전하고, 진실을 보여주기 위한 방법으로 다큐멘터리와 픽션의 결합을 추구했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의 화해는 '중립적인 측면의 공정성'을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영화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간헐적으로 등장했지만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며, 향후 후속연구에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 게임의 치팅 프로그램에 나타난 플레이어의 욕망 - 슈팅 장르를 중심으로 (A Study on Players' Desire in Cheating Programs of Online Game - Focused on Shooter Games)

  • 안진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9-100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치팅 프로그램에 나타난 플레이어의 욕망을 르네 지라르의 모방 욕망 이론을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치팅 프로그램은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들이 갖춰야 할 유희적 태도를 부정하며 게임의 매직 서클을 교란한다. 분석 결과, 치팅 플레이어들의 욕망은 게임의 규칙이 상정한 가상의 '모델 플레이어'를 통해 매개된다. 둘은 내적 매개의 관계를 이루기에, 치팅 플레이어가 이상적 플레이를 모방하는 과정은 끊임없는 대립과 갈등을 야기한다. 기술의 도움을 통해 향상된 플레이어로서의 자신을 꿈꾸지만 게임이 지닌 실패의 미학을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치팅 플레이어들의 욕망은 트랜스휴먼을 향한 그릇된 욕망으로 정의된다.

"Daffodil Gap": Reading Jamaica Kincaid's Lucy as Intertextual Interrogation of the Postcolonial Condition

  • Cho, Sungran
    • 비교문화연구
    • /
    • 제21권
    • /
    • pp.289-306
    • /
    • 2010
  • In Jamaica Kincaid's novel Lucy, the narrator grows up with the burden of colonial legacies embedded with Englands' imperial disciplinary projects, its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discourses. Colonial education interpellates the narrator into a colonial subject through its multiple ideological discourses and systems. Teaching the literature of England is the most insidious form of the Empire's disciplinary colonial projects, more powerful than military enforcement: Its mode of operation is creating phantasy and instigating and planting desire for such phantasy. As Homi Bhabha aptly theorizes as colonial mimicry and ambivalence, the narrator as colonial subject grows up split and confused as an ambivalent subject, simultaneously mimicking and desiring for the phantasized England as real, while resisting and criticizing such up-bringing and mimetic desire. This paper explores Kincaid's rhetorical strategy of employing Wordsworth's poem, "I Wandered as a Lonely Cloud," especially her use of the flower "daffodil." Employing the concept of "daffodil gap" suggested by postcolonial critics,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wo episodes involving the flower daffodil in the novel, one in a colonial classroom and the other in a garden in a new world and suggests that Kincaid accomplishes intertextual critique of colonial education and imperial projects.

희생양 메커니즘 적용을 통한 케이팝 걸그룹의 졸업제도 연구 - <9 Muses of Star Empire>를 중심으로 - (A Study of K-Pop Girl Group's Graduation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capegoat Mechanism - Focusing on <9 Muses of Star Empire> -)

  • 이학준;김정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63-71
    • /
    • 2020
  • 케이팝의 힘은 대단하다. 변방의 대중문화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놀라운 일이다. 국내외 미디어들이 케이팝 성장의 비밀을 밝히려고 애쓰는 까닭이다. 하지만 케이팝의 괄목할 성장 이면에 감춰진, 아이돌 그룹(보이그룹, 걸그룹) 내부의 치열한 경쟁과 강제적인 멤버교체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현상 가운데 하나가'졸업제도'이다. 르네 지라르는 욕망의 모방성과 폭력성, 그리고 이를 무마하기 위한 희생양 메커니즘을 주장했다. 본고는 걸그룹 <나인뮤지스>의 데뷔과정에서 벌어진 졸업제도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온라인 인터렉티브 사이트, 단행본 등 일련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졸업제도에 희생양 메커니즘을 적용한 뒤 케이팝에서의 졸업제도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킬링 디어>에 드러난 고대 그리스 비극의 변용 (Transformation of Ancient Greek Tragedy Revealed in The Killing of a Sacred Deer)

  • 권은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93-398
    • /
    • 2022
  • 요르고스 란티모스의 <킬링 디어>는 그리스 3대 비극작가 중 한명인 에우리피데스의 『아울리스의 이피게네이아』를 원형서사로 삼고 있다. 그리하여 란티모스는 현대 미국 대도시의 영화적 디제시스 내에 '신적 존재에 의한 피의 폭력'으로 물든 신화적 세계를 도입하면서 저주와 희생양이라는 신화적 모티브를 변주한다. 본 논문은 <킬링 디어>의 현대의 시공간에 구축된 신화적 세계를 통하여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집단적 희생위기 탈출 기제인 희생양 메커니즘과 욕망과 폭력의 모방적이고 상호적인 특성을 르네 지라르를 경유하여 읽어보고자 했다. 영화 속에서 마틴은 스티븐을 아버지의 자리에 놓으려고 한 자신의 욕망이 좌절되자, 스티븐에게 저주의 신탁을 내린다. 그 순간 두 사람의 '좋은' 상호성은 급격하게 '나쁜' 상호성으로 변환된다. 영화는 스티븐의 가족을 통하여 희생양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방식을 탁월하게 묘사한다. 제비뽑기에 의한 희생양 선택은 그 신명심판적 (神命審判的) 성격에 힘입어 희생양에게 성스러운 특성을 부여하고, 희생양은 성스러운 존재가 되며 가족의 질서는 재구축 된다. <킬링 디어>는 오래된 신화적 소재를 통해 관객들에게 존재의 근원을 경험하고 그것을 성찰하게 함으로써 고뇌와 고통이 존재의 근원임을 깨닫게 한다.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 분석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igital Entrepreneurship and Digital Innovation: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Absorptive Capacity)

  • 장성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1호
    • /
    • pp.107-118
    • /
    • 2024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술 특성(디지털 기술역량), 조직 특성(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강제적 압력, 모방적 압력, 규범적 압력)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기업가정신과 디지털 혁신에 영향 관계에서 기술흡수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업가정신, 디지털 혁신, 제도적 압력, 기술흡수역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104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4.0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기술역량, 디지털 학습역량, 재무 준비성, 제도적 압력은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기업가정신은 디지털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 디지털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기술흡수역량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시대에 디지털 기업가 정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디지털 기업가정신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