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sbehaving node detec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비정상행위 노드 탐지 및 관리 기법 (An Efficient Detection and Management Technique of Misbehavior nodes in Ad-hoc Networks)

  • 이윤호;이수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1-80
    • /
    • 2009
  • 애드혹 네트워크는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가 서로간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노드들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네트워크에 일부 비정상행위 노드가 존재한다면 많은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므로 애드혹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보장하기위해 비정상행위 노드의 탐지 및 배제가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역내 각 노드의 가중치를 관리하는 노드 가중치 관리 서버를 사용한다. 노드 가중치 관리서버는 비정상행위 노드가 발견되었을 경우 해당 노드의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가중치가 임계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네트워크내에서 이를 고립시키기 위해 해당 노드의 정보를 전파한다. 이 방법은 매우 효율적이고, 다수의 비정상행위 노드를 신뢰성 있게 탐지함을 보여준다.

전술 Ad-hoc 네트워크에서의 비정상행위 노드 탐지 및 관리 (Detection and Management of Misbehaving Node in Tactical Ad-Hoc Networks)

  • 장범근;이수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3-343
    • /
    • 2009
  •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TICN) is a concept-type integrated Military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precise command control and decision making by unifying the diversified military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veying diverse range of battle field information on real-time, at right place at right time. TICN is designed to advance into high speed, large capacity, long distance wireless relay transmission. To support mobility in battlefield environments, the application of Ad-hoc networking technology to its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examined. Ad-hoc network is consist of mobile nodes and nodes in the network depends on the cooperation of other nodes for forwarding of packets. In this context, some non-cooperating nodes may delay forwarding of packets or drop the packets. This may hamper the network as a whole and disrupt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nodes. To solve this problem, we present a solution with a Node Weight Management Server(NWMS), which manages each node's weight according to its behavior in local area. When the NWMS detects misbehaving node, it increases the node's weight. If the node's weight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then the NWMS broadcasts the node's information into network to isolate the misbehaving node from the network. These mechanisms show that they are highly effective and can reliably detect a multitude of misbehaving node.

A Security Model based on Reput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Route-Request in Mobile Ad Hoc Networks

  • Anand, Anjali;Rani, Rinkle;Aggarwal, Himansh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11호
    • /
    • pp.4701-4719
    • /
    • 2015
  • A Mobile Ad hoc Network (MANET) consists of mobile nodes which co-operate to forward each other's packets without the presence of any centralized authority. Due to this lack of centralized monitoring authority, MANETs have become vulnerable to various kinds of routing misbehaviour. Sometimes, nodes exhibit non-cooperating behaviour for conserving their own resources and exploiting others' by relaying their traffic. A node may even drop packets of other nodes in the guise of forwarding them.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Reputation and Collaboration technique through route-request for handling such misbehaving nodes. It lays emphasis not only on direct observation but also considers the opinion of other nodes about misbehaving nodes in the network. Unlike existing schemes which generate separate messages for spreading second-hand information in the network, nodes purvey their opinion through route-request packet. Simulation studies reveal that the proposed sche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network performance by efficiently handling the misbehaving nodes in the network.

전술정보통신체계(TICN)에 적합한 침입탐지 기법 (An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 Suitable for TICN)

  • 이윤호;이수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097-1106
    • /
    • 2011
  •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TICN), a concept-type integrated Military Communication system that enables precise command control and decision making, is designed to advance into high speed, large capacity, long distance wireless relay transmission. To support mobility in battlefield environments, the application of Ad-hoc networking technology to its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examined. Ad-hoc network works properly only if the participating nodes cooperate in routing and packet forwarding. However, if selfish nodes not forwarding packets of other nodes and malicious nodes making the false accusation are in the network, it is faced to many threats. Therefore, detection and management of these misbehaving nodes is necessary to make confident in Ad-hoc network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efficient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 to detect and manage those two types of attacks. The simulation-based performance analysis shows that our approach is highly effective and can reliably detect a multitude of misbehaving node.

ZigBee/IEEE802.15.4 표준을 사용하는 Ad Hoc 네트워크 상의 전력 통제 (Power control in Ad Hoc network using ZigBee/IEEE802.15.4 Standard)

  • ;이재광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19-222
    • /
    • 2006
  • In this paper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technique of wireless Ad Hoc network is explained and the advantage of making them work in IEEE 802.15.4/ZigBee wireless standard is also discussed. The methodology that is mentioned here is intrusion detection architecture based on a local intrusion database [1]. An ad hoc network is a collection of nodes that is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medium forming rapidly changing topologies. Due to increased connectivity (especially on the Internet), and the vast spectrum of financial possibilities that are opening up, more and more systems are subject to attack by intruders. An ideal IDS should able to detect an anomaly caused by the intruders quickly so that the misbehaving node/nodes can be identified and appropriate actions (e.g. punish or avoid misbehaving nodes) can be taken so that further damage to the network is minimized

  • PDF

VANETs의 보안을 위한 비정상 행위 탐지 방법 (An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the Security of VANET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7-83
    • /
    • 2010
  • 차량 애드 혹 망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은 일반적으로 이동성이 높은 차량 노드들로 구성되어 매우 짧은 시간 망 위상이 지속되므로 불안정한 통신 링크를 갖는 자기 조직화 P2P 망이다. VANETs은 고정된 인프라 구조나 중앙 통제 라우팅 장비 없이 자동적으로 망구조를 구성하고, 차량 노드들은 시간에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며 망에 결합하거나 이탈하는 개방 망이므로 중앙 집중식 제어 없이 누구나 접속을 허용하기 때문에 망상에 해롭고 비정상 행위 노드들에 대한 침입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VANETs에서의 노드들의 활동에 대한 비정상 행위를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러프집합기반 비정상 행위 탐지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임계 허용 오차에 대한 비정상 행위 탐지율과 거짓 경고율로 평가하였다.

MANET에서 비정상 노드를 효율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보안 설계 (Security Design for Efficient Detection of Misbehavior Node in MANET)

  • 황윤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3B호
    • /
    • pp.408-420
    • /
    • 2010
  • MANET(Mobile Ad hoc NETwork)은 고정된 네트워크 구조의 부재로 원거리 노드들 간의 통신은 다중 홉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단 노드 사이에 존재하는 노드들의 비정상적 행위를 탐지하고 예방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MANET의 성능과 보안 유지를 위해서는 비정상적 행위를 하는 중간노드들과 그에 오염된 노드를 찾아내기 위한 기법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에 제안된 기법들은 MANET를 구성하는 노드들이 우호적이며 상호 협력적인 관계라고 가정하고 비정상적 행위를 하는 노드를 식별하는 방법들만 제시해 왔고, 큰 규모의 MANET에 적용할 경우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MANET에서 구성요소간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고 비정상 노드를 효율적으로 탐지 관리할 수 있는 Secure Cluster-based MANET(SecCBM)을 제안하였다. SecCBM은 동적인증을 통한 클러스터 기반 계층적 제어 구조를 이용하여 비정상 노드들을 MANET 구성 과정에서 식별하는 예방 단계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간 통신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정상 노드들을 FC 테이블과 MN 테이블을 이용해 탐지 관리하는 사후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MANET의 통신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평가에서 MANET에 적합한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VANETs을 위한 가중치 기반 침입탐지 방법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Weighted Intrusion Detection Method for VANETs)

  • 오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8
    • /
    • 2011
  • 무선 네트워크와 모바일 컴퓨팅 응용의 급속한 보급과 더불어, 최근 네트워크 보안의 배경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이동성이 높은 차량 노드들로 네트워크 위상을 유지하는 차량 애드 혹 네트워크(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는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통신 링크를 갖는 자기 조직화 P2P 망으로, 고정된 인프라 구조나 중앙 통제 라우팅 장비 없이 자동으로 망을 구성하고, 시간에 따라 고속으로 이동하며 망에 결합하거나 이탈하는 개방 망이므로 중앙 집중 제어 없이 누구나 접속이 허용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에 해로운 비정상 행위 노드들에 대한 침입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VANETs에서의 노드들의 활동에 대한 비정상 행위를 효율적으로 식별하여 침입을 탐지할 수 있는 러프집합을 이용한 가중치 기반 침입탐지 방법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모의실험을 통해 임계 허용 오차 ${\epsilon}$에 대한 비정상 행위로 인한 침입 탐지율과 거짓 경고율로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