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ity anchor failu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전술망을 위한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Scheme for the Tactical Network)

  • 김용신;선경재;김영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11호
    • /
    • pp.1078-1087
    • /
    • 2014
  • 기존의 중앙 집중식 이동성 관리 방식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이동성 앵커에 모든 데이터 및 제어가 집중되므로 단일 오류 문제, 병목 구간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 단말의 이동성을 분산된 이동성 앵커들에 의해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들이 연구 중이다. 현재 제안된 분산 이동성 관리 방식들은 이동성 앵커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나 전술망에서는 이동성 앵커의 이동, 정비, 장애등으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앵커 장애 발생 시에도 핸드오버가 가능한 새로운 전술 분산 이동성 관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그널링 비용 및 핸드오버 지연시간의 수학적인 분석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사용자 이동 지역성을 고려한 PMIPv6 기반의 분산형 이동성 제어 기법 (A PMIPv6-based Distributed Mobility Control Scheme Considering a User's Movement Locality)

  • 공기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83-290
    • /
    • 2013
  • PMIPv6과 같은 현재의 중앙 집중형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들은 모든 제어 트래픽과 데이터 트래픽을 함께 처리하는 중앙 집중형 이동성 앵커(central mobility anchor)에 전적으로 기반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 집중형 이동성 제어 프로토콜들은 코어망으로 트래픽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거나, 이러한 중앙 집중형 이동성 앵커의 장애 발생 시 서비스 제공 불능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자 이동 지역성을 고려한 PMIPv6 기반의 분산형 이동성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성능 분석 결과, 제안 기법은 PMIPv6 및 관련된 분산형 이동성 제어 기술인 S-PMIP과 비교해 볼 때, 총 이동성 제어 비용을 대폭 감소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상당부분 해소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전술 기동망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PMIP기반 분산 이동성 관리 적용방안 (PMIP-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for Tactical Network)

  • 선경재;김영한;노홍준;박형원;한명훈;권대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54-666
    • /
    • 2019
  • The tactical network has several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commercial internet network such as hierarchical topology, dynamic topology changing and wireless link based connectivity. For considering IP mobility management in the tactical network, current mobility management using Mobile IP(MIP) is not suitable with some reasons such as non-optimal routing paths and single point of failure. Proxy Mobile IP(PMIP) which supporting network-based mobility in hierarchical manner can provide optimal routing path in the tactical network environment, but centralized anchor is still remained a threat to the stability of the tactical network which changes its topology dynamically. In this paper, we propose PMIP-based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 for the tactical network environment. From our design, routing paths are always configured in optimized way, as well as path is recovered quickly when the mobility anchor of user is failed. From numerical analysis, comparing to other mobility schem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packet transmission cost and latency in tactical network model.

PMIPv6 네트워크에서 비용효과적인 도메인 간의 분산 이동성 제어기법 (Cost-Effective Inter-LMA Domain Distributed Mobility Control Scheme in PMIPv6 Networks)

  • 장순호;정종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9C권3호
    • /
    • pp.191-208
    • /
    • 2012
  • PMIPv6(Proxy Mobile IPv6)는 MN(Mobile Node)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망 기반의 이동성관리 기술이다. PMIPv6의 구성 요소는 네트워크 기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로서 도메인을 관리하는 LMA(Local Mobility Anchor)와 MN의 이동을 감지하고 MN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MAG(Mobile Access Gateway) 그리고 MN으로 구성되어 있다. PMIPv6는 LMA와 MAG 사이의 터널을 형성하고 패킷이 LMA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설계하여, LMA 병목현상 및 종단 간 지연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로 최적화 수행 가능 감지, 경로 최적화 절차 등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증가하고 다중 LMA 환경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LMA 환경을 고려한 PMIPv6 기반의 향상된 경로 최적화 방안을 제안한다. PMIPv6 도메인의 모든 LMA는 PIG(Proxy Internetworking Gateway)에 연결되어 PMIPv6 도메인 간 분산 이동성 제어를 수행한다. PMIPv6 도메인 내 모든 LMA의 정보를 MAG가 유지하도록 하여 신속하게 경로 최적화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LMA에 경로 최적화 상태 정보를 PIG로부터 수신 받아 저장하여 추가적인 시그널링없이 경로 최적화를 지원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