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h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31초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Larvae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Matsumura) in Korea

  • Lee, Seung-Yeol;Choi, Kwang-Shik;Choi, Kyung-Hee;Yoon, Tae-Myung;Jung, Hee-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3권1호
    • /
    • pp.21-26
    • /
    • 2013
  •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the peach fruit moth (Carposina sasakii Matsumura) are the most severe insect pests affecting apple orchards in Korea. To prevent an outbreak of these two species and to control these agricultural insect pest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m accurately. However, it is hard to classify them when they were in the larval stage since they tunnel into the apple fruit. In this study, surface structures of the two species of larvae were observed using stereo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ecies of larvae were found. The prothorax spiracles of oriental fruit moth larvae were approximately twice as large as those of peach fruit moth larvae. The arrangements of subventral setae, located around the proleg, were different between oriental fruit moth and peach fruit moth larvae. Furthermore, subdorsal setae of oriental fruit moth were located next to the spiracle on the 8th abdominal segment, while that of peach fruit moth was located above the spiracle.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species of larvae observ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ethod. Surface structural differences are intrinsic characteristics for each species of larvae and can easily be identified using stereo microscope. These specificities will be helpful where a large number of field-collected larvae need to be identified routinely in pest control research.

Mating Behaviour in Mulberry Silkworm, Bombyx mori (L.)

  • Saheb N. M. Biram;Singh Tribhuwan;Kalappa H. K.;Saratchandra B.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87-94
    • /
    • 2005
  • Mating is an essential behavioural social event in the life cycle of silkworm, Bombyx mori (L.) for the perpetuation of population. A number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ctors and events of significant importance are involved in successful mating and egg deposition by an adult silk moth which besides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lso includes attraction of reproductively competent male and female moth for mating, duration and frequency of mating, age of moth at the time of mating, reuse of male moth in the production of eggs etc.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is review article to elucidate briefly the behaviour of male towards female moth after eclosion, impact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mating on egg deposition and oviposition, reuse of mated male moth in the production of quality and quantity eggs etc. in the silk-worm, B. mori and its significance in silkworm seed production.

Sol-gel법 및 Direct Patterning을 통해 Moth-eye 구조가 패터닝된 AZO 박막의 제작

  • 김진승;변경재;박형원;조중연;이헌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1
    • /
    • 2011
  • 현재 상용화된 LED 또는 태양전지 등의 투명전극(TCO, transparent couducting oxide)재료로 높은 전기전도도와 광투과도를 갖는 ITO (Indium Tin Oxide)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사용되는 Indium의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한 물질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Aluminum을 doping한 ZnO (AZO)는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 등으로 인해 ITO를 대체할 차세대 TCO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l-gel법을 및 direct patterning법을 이용하여 moth-eye 패턴을 포함하는 AZO 박막을 제작하였다. AZO sol을 제작하기 위하여 2-methoxyethanol, zinc acetate dihydrate 및 doping source로 aluminum nitrate nonahydrate를 사용하였다. 또한 광추출 향상 효과를 갖는 moth-eye 구조의 master stamp를 Polydimethyl siloxane(PDMS)를 이용하여 역상 moth-eye 구조의 mold를 복제하였으며, 이 복제된 mold와 제작된 AZO sol을 이용한 direct patterning법을 통해 나노급 moth-eye 구조를 갖는 AZO 투명전극층을 형성하였다. 제작된 moth-eye 구조를 갖는 AZO 투명전극층의 전기적 특성 평가를 위해, 4-point probe 측정 및 Hall measurement를 시행하였으며, 광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UV-Visable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상용화된 광전자 소자에 사용되고 있는 ITO 투명전극을 대체할 차세대 투명전극으로써 AZO 박막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객체 분할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해충 개체 수 추정 (Estimation of Populations of Moth Using Object Segmentation and an SVM Classifier)

  • 홍영기;김태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05-71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해충 영상에서 객체 분할과 SVM 분류기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수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과수원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 수집된 복숭아순나방 영상에 대해 객체 분할과 개체 분류를 수행하였다. 객체 분할은 전처리, 문턱치 처리, 형태학적 필터링, 객체 레이블링 과정으로 구성된다. 해충 영상에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분류는 SVM 분류기의 학습과 개체 분류, 개체 수 추정 단계로 구성된다. 객체 분할은 SVM 분류기에 입력하기 전에 객체들을 분할함으로써 개체 분류 단계에서 처리 과정을 단순하게 해 준다. 분할된 객체들에 대해 중심점과 주축을 중심으로 영상 블록을 추출하여 SVM 분류기에 입력한다. 실험에서 10개의 해충 영상에 대해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수 추정 결과 97%의 평균 추정 정확도를 보임으로써 과수원에서 복숭아순나방의 개체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효과적임을 보였다. 또한 제안한 방법의 처리 시간은 평균 2.4초,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은 5.7초로 본 논문의 방법이 약 2.4배 정도 처리 시간이 빠름을 보였다.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와 유연 PVA 템플릿을 이용한 렌즈 표면 moth-eye 패턴 형성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of Moth-Eye Pattern on a Lens Using Nano Imprint Lithography and PVA Template)

  • 배병주;홍성훈;곽신웅;이헌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59-62
    • /
    • 2009
  • Antireflection pattern, moth-eye structure, was fabricated on lens using Ultra Violet nanoimprint lithography and flexible template. Ni template with conical shaped structure was used as a master template to molding. The flexible poly vinyl alcohol template was fabricated by molding. This poly vinyl alcohol template was used as an imprint template of imprint at lens. Using Ultra Violet nanoimprint lithography and poly vinyl alcohol template, polymer based moth-eye structure was formed on lens and its transmittance was increased up to 94% from 92% at 550 nm wavelength.

Differences in Moth Diversity in Two Types of Forest Patche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in Southern Korea - Effects of Habitat Heterogeneity -

  • Choi, Sei-Woong;Park, Marana;Kim, H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3호
    • /
    • pp.183-189
    • /
    • 2009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moth diversity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by comparing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between hillocks and young secondary forests. We examined five sites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South Korea: three sites from hillock forest and two from secondary forest. We collected moths bi-weekly from April to October for a 2-year period (2006-2007) with a UV light trap that usually attracts moths within 30 meters. Tree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in $20m{\times}20m$ plots at each moth sampling site showed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ree diversity between the two types of forest habitats. The total abundance and richness of moth species were higher in secondary forests (541 species with 4,998 individuals) than in hillock forests (423 species with 3,913 individuals),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among the sites. An ordination analysis with NMDS showed that habit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grouping sites. The food preferences of the dominant moth species i,n each habit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abitat type.

약제에 의한 가잠교미아의 할애효과에 대하여 (Selection of Chemicals for Separation of Copulated Moth of Silkworm, Bombyx mori L.)

  • 박광의;마영일;황석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5
    • /
    • 1984
  • 잠종제조시 많은 잠종제조 노력을 성력화하기 위하여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를 선발하고져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몇 가지 약제를 서로 잘 배합하여 이의 할애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 처리별 경시적 할애비율에 있어서 TCTFE 처리구는 10분만에 완전히 할애되었고 그 다음은 TCT FE+acetone (87.5 : 12.5 v/v) 배합구와 TCTFE+acetic acid (50 : 50v/v) 배합구가 약제 처리후 25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그 외 acetic acid 원액처리는 1시간 40분 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2. 약제 처리별 산란 조사에 있어서는 TCTPE+acetone (87.5 : 12.5 v/v) 구가 아구별 평균 산란수 및 아구별 평균 수정란수를 보아도 약제 처리중에서 가장 성적이 좋았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TCTFE와 acetic acid 단일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산란수 및 수정란수 모두 대조구보다 적었으며 불산란아도 acetic acid구는 39아로서 가장 많아 acetic acid 단일처리시는 약해로 인하여 산란태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약제 처리에 의한 다음 세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고자 약제 처리를 한 후 산란한 다음 세대잠란을 사육한 결과 전처리구가 경과일수 21일 23시간으로 대조구와 같았으며 화용비율, 수견양, 단견중, 견층중 및 견층비율 등의 실용형질은 대조구와 같은 수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처리구중 TCTFE구는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로서 효과는 인정되나 누에의 생이와 관련하여 볼 때 단용처리보다는 TCTFE와 acetone 등 적당한 다른 유기용제를 선발하여 이들을 적당량배합하므로서 할애효과를 더 높힐 수 있다고 생각된다25%, 45.5%, 8%, 2.7%, 5% 및 29.3%를 배출하고 있었다. 4. 배출된 충체는 모두 암놈이 었다. 충체의 길이는 일자별로 20일에서 40일째까지 일정한 양상으로 발육하고 있었고, 각 일자별, 증례별로 충체 길이는 정규분포 형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이상의 소견에서 요충 암놈의 인체내 발육기간은 40일 이상이고 감염후 16일째까지의 어린 충체는"메벤다졸"이 나 "피란텔"에 대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료에 저항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 PDF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Object Segmentation for Detection of Moths in the Pheromone Trap Images)

  • 김태우;조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57-163
    • /
    • 2017
  • 객체 분할 방식은 객체를 먼저 분할한 후, 검출된 객체에 대해 해충 검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므로 해충 개체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처리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페로몬 트랩 영상에서 해충 검출을 위한 객체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전처리, 문턱치 처리, 형태학적 필터링, 레이블링 처리로 구성된다. 이들 과정 중 문턱치 처리는 객체 분할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처리 과정이다. 제안한 방법은 문턱치 처리 과정에서 해충 영상의 국소적 특성을 반영하므로 매우 정교한 문턱치 처리를 할 수 있다. 과수원에 설치된 페로몬 트랩에서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Otsu의 방법의 전역적 방식과 국소적 방식, 그리고 제안한 방법으로 처리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조명과 배경의 특성을 잘 반영함을 알 수 있었다. 페로몬 트랩에 수집된 복숭아심식나방 영상에 대해 객체 분할과 개체 분류를 수행하였다. 개체 분류는 SVM 분류기로 학습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10개의 해충 영상에 대해 복숭아심식나방 검출 결과 95%의 평균 검출율을 보임으로써 과수원의 복숭아심식나방의 개체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효과적임을 보였다.

Root Rot of Moth Orchid Caused by Fusarium spp.

  • Kim, Wan-Gyu;Lee, Byung-Dae;Kim, Woo-Sik;Cho, Weon-D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25-227
    • /
    • 2002
  • Moth orchid plants with yellowing blight and root rot symptom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54 isolates of Fusarium spp. was obtained from roots and leaf bases of the diseased plant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ut of the 54 isolates of Fusarium spp., 42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 solani, 5 isolates as F. oxysporum, and 7 as F. proliferatum. Isolates of the three Fusarium spp.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to moth orchid plants by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Fusarium spp. induced root rot of the host plants. The symptoms progressed up to the basal part of the leaves, which later caused yellowing blight. The symptoms induced on the plants by artificial inoculation with the Fusarium spp. isolate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greenhouse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F. oxysporum, F. proliferatum, and F. solani cause root rot of moth orchid, and that F. solani is the main pathogen of the disease.

Diversity of Moths (Insecta: Lepidoptera) on Bogildo Island, Wando-gun, Jeonnam, Korea

  • Park, Marana;An, Jeong-Seop;Lee, Jin;Lim, Jin-Taek;Choi, Sei-Wo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2호
    • /
    • pp.129-135
    • /
    • 2009
  • We investigated the moth diversity on an island of southern sea of Korea. We collected moths at three sites on the island of Bogildo, Wando-gun, Jeonnam using a 22-watt ultraviolet light trap from May to October, 2008, and identified a total of 272 species and 948 individuals in 13 families. Species of Noctuidae was the most abundant, with 107 species and 318 individuals, followed by Geometridae (62 species and 147 individuals) and Pyralidae (53 species and 269 individuals). The graph of the estimated species richness in Chao 1 (432.25$\pm$37.39) did not reach an asymptote, which suggests that more moth species could be identified on the island through further sampling. An arctiid moth, Miltochrista striata, was the most abundant species captured in this study. Monthly changes in moth species richness and abundance formed M-shaped curves, with peaks in early summer (June) and late summer (August). Cluster analysis of seven sites on three islands (Aphaedo Island, Sinan-gun, Oenarodo Island, Goheung-gun and Bogildo Island) divided the sites into two groups. Distances among sites and habitat typ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imilarities of moth faunas among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