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lticlass loss system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멀티클래스 손실시스템의 마코프 모델링 (Markov Modeling of Multiclass Loss Systems)

  • 나성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4호
    • /
    • pp.747-75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고객을 서비스하는 멀티클래스 손실시스템의 상태를 마코프 확률과정으로 표현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특히 손실시스템에 대한 유니트 개념을 설명하고 등확률 유니트 배정을 운용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극한확률을 구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손실확률 등의 성능척도를 산출한다. 간단한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일반적인 시스템의 특성을 알아본다.

여러 서버배정방식의 멀티클래스 손실시스템 연구 (Multiclass loss systems with several server allocation methods)

  • 나성룡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4호
    • /
    • pp.679-688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서버배정방식을 가지는 멀티클래스 손실시스템을 연구한다. 마코프 성질을 유지하도록 상태를 정의하고 상태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시스템 성능척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마코프 성질에 기초한 극한확률 유도를 연구한다. 해석해 혹은 수치해를 구하여 배정방식이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다.

Ensemble of Classifiers Constructed on Class-Oriented Attribute Reduction

  • Li, Min;Deng, Shaobo;Wang, Le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360-376
    • /
    • 2020
  • Many heuristic attribute reduction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find a single reduct that functions as the entire set of original attributes without loss of classification capability; however, the proposed reducts are not always perfect for these multiclass datasets. In this study, based on a probabilistic rough set model, we propose the class-oriented attribute reduction (COAR) algorithm, which separately finds a reduct for each target class. Thus, there is a strong dependence between a reduct and its target class. Consequently, we propose a type of ensemble constructed on a group of classifiers based on class-oriented reducts with a customized weighted majority voting strateg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algorithm based on five real multiclass dataset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erms of four general evaluation metrics.

AdaBoost 알고리즘기반 SVM을 이용한 부실 확률분포 기반의 기업신용평가 (Corporate Credit Rating based on Bankruptcy Probability Using AdaBoost Algorithm-based Support Vector Machine)

  • 신택수;홍태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25-41
    • /
    • 2011
  • 최근 몇 년간 SVM(support vector machines)기법은 패턴인식 또는 분류의사결정문제를 위한 분석기법으로서 기존의 데이터마이닝 기법과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성과를 갖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더 나아나 많은 연구자들은 SVM기법이 1980년대 이후 대표적인 예측 및 분류모형으로 인정받은 인공신경망기법(ANNs : Artificial Neural Networks)에 비해 더 성과가 좋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해 왔다(Amendolia et al., 2003; Huang et al., 2004, Huang et al., 2005; Tay and Cao, 2001; Min and Lee, 2005; Shin et al., 2005; Kim, 2003).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의해 분석되는 이진분류 또는 다분류 의사결정문제들은 특히 금융분야 등에 있어서 오분류비용에 민감하며, 이로 인한 오분류의 경제적 손실도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부도예측모형과 같은 이진분류모형의 결과값을, 부도확률에 기초하여 정교하게 계산된 사후확률의 개념으로서 다분류의 신용등급평가의 문제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SVM 모형의 결과값은 기본적으로 그와 같은 부도확률분포를 보여주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확률분포를 정교하게 보여줄 방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Platt, 1999; Drish, 2001). 본 연구는 AdaBoost 알고리즘기반의 SVM 모형을 이용하여, 이진분류모형으로서 IT 기업의 부실예측모형에 적용한 후, 이 SVM 모형의 예측결과를 SVM의 손실함수에 적용하여 계산된 값을 사후부도확률의 정규분포 특성에 따라 이를 구간화하여 IT기업에 대한 다분류 신용등급 평가의 문제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이러한 AdaBoost 알고리즘기반 SVM 모형이 각 기업이 고유한 신용위험(부도확률)을 갖고 있다는 조건하에서, 신용등급부여를 위한 부도확률분포 구간을 정교하게 조정함으로써 오분류 문제를 좀 더 줄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