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gas pipeline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천연가스 전국 고압 배관망 모델 수립 (Establishment of natural gas high-pressure pipeline network model in Korea)

  • 박영;이영철;이정환;조병학;임정숙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5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상용프로그램(STONER) 상에 천연가스 전국 배관망 모델이 수립되었다. 이를 위해 STONER 상에 전국 배관망도가 작성되었으며, 배관망도 상에 기존 자료를 토대로 전국 각 배관의 배관 관경, 연장 길이가 입력되었다. 그리고 배관내를 흐르는 가스를 정의하기 위해 천연가스의 비중값이 입력되었다. 마지막으로 배관의 성질과 가스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 실측치와의 비교 검증을 통하여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이에 먼저 주 배관성질 값이 가정되었고, 이에 대해 실측 수요 자료를 가지고 배관망 분석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분석 결과 계산된 공급압력과 실측된 공급 압력을 분산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배관의 성질값을 결정하였다. 이렇게 배관의 성질 결정에 있어서 기존의 배관망 모델 수립 방법과는 다르게 실측자료와의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좀더 실제에 접근한 모델을 수립할 수 있었다.

  • PDF

천연가스 수송용 API 5L-X42 강관의 용접방법에따른 용접부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Weldment with Variation of Welding Process of the API 5L-B42 Pipeline for Natural Gas Transmission)

  • 백종현;김철만;김영표;김우식
    • 한국가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스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8
    • /
    • 1997
  • Demand of the clean and convenient natural gas has continuously increased with recognizing of the environment problem since liquefied natural gas was introduced in Korea. Clean fuel natural gas was supplied to each city through high tensile strength pipeline connected by welding. Grades of pipeline were divided into the high and middle pressure according to supply pressure. Pipeline was welded mainly SMA welding process due to its easy handling, the other welding process was adop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ng condition. We were examined on the microstructure vari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eld metal for high pressure pipeline, API 5L X-42.

  • PDF

극한지 장거리 천연가스 배관의 유동 설계 (Hydraulic Design of Natural Gas Transmission Pipeline in the Artic Area)

  • 김영표;김호연;김우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8-65
    • /
    • 2016
  • 천연가스 배관의 유동설계는 예상되는 모든 유체의 조건에서 배관의 설계수명 동안 적절한 흐름이 지속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장거리 자원이송망의 유동설계는 수송되는 유체의 물리적 특성, 유량, 온도와 압력, 배관의 길이와 고도, 배관이 횡단하는 지역의 환경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지 자원이송망 건설프로젝트의 운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배관 내 가스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가스의 물리적 특성 중 동점성률과 압축계수를 살펴보았다. 배관내경은 몇몇 유동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배관두께는 안전계수와 배관재료를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배관 내 마찰과 가스온도 및 배관고도로 인한 압력강하는 AGA 유동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동설계 결과는 알래스카 배관 프로젝트 보고서와 비교하였다.

The Effects of Welding Conditions on Allowable Heat Input in Repair Weld of In-Service Pipeline

  • Kim, Y.P.;Baek, J.H.;Kim, W.S.;Bang, I.W.;Oh, K.H.
    •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Welding Society
    • /
    • 제1권2호
    • /
    • pp.30-35
    • /
    • 2001
  • Nowadays, repair welding on in-service natural gas pipeline is a matter of primary concern of gas compan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lding conditions on the allowable heat input for crack-free welds and welds without burn-through onto in-service natural gas pipeline. First of all, single pass weld bead on plates of the various thickness was deposited to evaluate the penetration of weld metal, the depth of heat affected zone and the hardness of repair weld under various welding conditions. Also,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validate experimental results of bead-on plate welds and to develop appropriate model for repair welding. The welding experiments of bead-on-plate weld confirmed the influence of plate thickness, heat input and welding process on safety. And,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demonstra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s. The agreement between the computed and measured values was shown to be generally go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safety of repair welding under various welding conditions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model.

  • PDF

천연가스 수송용 API 5L-X42 강관의 용접방법에 따른 용접부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Weldment with Variation of Welding Process of the API 5L-X42 Pipeline for Natural Gas Transmission.)

  • 백종현;김철만;김영표;김우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4-39
    • /
    • 1998
  • 국내에 액화천연가스가 도입된 이래 환경에 대한 문제를 인식함에 따라 천연가스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청정연료인 천연가스는 용접에 의해 고장력강 배관을 사용하여 각 도시로 공급되고 있다. 천연가스 공급용 배관은 공급압력에 따라 중압관과 고압관으로 구분된다. 배관은 주로 작업의 용이성으로 피복아크용접에 의해 용접되며, 현장 작업여건에 따라 다른 용접공정이 적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고압관으로 사용되는 API 5L X42 배관에 대한 용착금속부의 미세조직 변화와 기계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 PDF

Modelling and Simulation for PIG Flow Control in Natural Gas Pipeline

  • Nguyen, Tan-Tien;Yoo, Hui-Ryong;Park, Yong-Woo;Kim, Sang-B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448-448
    • /
    • 2000
  • This paper deals with dynamic behaviour analysis for pipeline inspection gauge (PIG) flow control in natural gas pipeline. The dynamic behaviour of the PIG is depending on the different Pressure between the rear and nose parts, which is generated by injected gas flow behind PIG's tail and expelled gas flow in front of its nose. To analyze the dynamic behaviour characteristics such as gas flow in pipeline, and the PIG's position and velocity, mathematical model is derived as two types of a nonlinear hyperbol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for unsteady flow analysis of the PIG driving and expelled gas, and nonhomogeneous differential equation for dynamic analysis of PIG. The nonlinear equation is solved by method of characteristics (MOC) with the regular rectangular grid under appropriat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The Runge-Kuta method is used when we solve the steady flow equations to get initial flow values and the dynamic equation of PIG. The gas upstream and downstream of PIG are divided into a number of elements of equal length. The sampling time and distance are chosen under Courant-Friedrich-Lewy (CFL) restriction. The simulation is performed with a pipeline segment in the Korea Gas Corporation (KOGAS) low pressure system, Ueijungboo-Sangye lin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us that the derived mathematical model and the proposed computational scheme are effective for estimating the position and velocity of PIG with different operational conditions of pipeline.

  • PDF

고압 매몰 천연가스 배관 누출사고 피해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equences of Underground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 이승국;신헌용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4-49
    • /
    • 2013
  • 천연가스의 사용량이 날로 증가됨에 따라 고용량의 가스를 운송하기 위해 고압배관의 설치 운영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라 고압의 매몰 천연가스배관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결함 발생 시 대규모 누출로 이어지면 높은 압력의 가스 방출에 따른 대기 중 확산 그리고 점화원에 의한 화재 폭발로 인하여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압의 매몰 천연가스배관에서 결함 발생 시 매몰된 배관에서의 가스 누출 거동 분석과 가스 확산 및 지연점화에 따른 플래시 화재의 피해 거리를 예측하여, 사고 영향을 감소할 수 있도록 대피거리의 산정 등에 의한 비상조치계획을 세워 안전관리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수소혼입 천연가스 배관망의 누출 특성 분석 및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Leakage Characteristics and the Selection of Leakage Scenarios of the Blending Hydrogen into Natural Gas Pipeline)

  • 탁송수;임기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7-32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hydrogen (H2) and natural gas (CH4) leakage from a hydrogen-blended natural gas pipeline to determine a range of leakage characteristics, including leakage type, pipe material, pipe diameter, pressure, and damage siz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five hydrogen-blended natural gas leakage scenarios were selected. The national vision for a carbon-neutral society by 2050 is a very important strategic objective and promotes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age of the climate crisis. Accordingly, zero-carbon and low-carbon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nergy production, consumption, and industrial processes. Hydrogen-blended natural gas is eco-friendly and is considered an important step towards carbon neutrality, with various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several European countries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to further investigate its potential. In Korea, a national research project commenced in April 2023 to verify and demonstrate the life cycle safety of blending hydrogen into the natural gas net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data for the analysis of the damage impacts caused by the leakage of hydrogen-blended natural gas, such as the diffusion of gas clouds, fires, and gas explosions.

도시가스 고압배관의 정량적 위험평가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

  • 이경식;조영도;류영돈;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1
    • /
    • 2008
  • 최근 들어 도시가스사업자들이 안전관리의 수준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량적 평가(Quantitative assessment)에 기초한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많이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은 천연가스 배관의 정량적 위험평가의 절차에 초점을 맞췄으며, 이를 위하여 European Gas Pipeline Incident Data Group과 BG Transco의 자료를 사용한 사고발생빈도의 계산방법, 화재에 의한 사고피해영향 분석방법, 개인적 위험(Individual Risk)과 사회적 위험(Societal Risk)의 계산 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집단 에너지공급사업용 고압배관의 시범적용을 통하여 개인적 위험과 사회적 위험 기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정량적 위험평가 절차는 고압배관 설계, 시공 및 변경 등의 위험관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하천통과 매설배관의 사고사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ccidents of Buried Pipeline Crossing River)

  • 마영화;김지윤;윤기봉;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1-56
    • /
    • 2010
  • 해외 하천통과 매설배관 사고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국내 하천통과 도시가스매설배관의 합리적인 매설심도를 결정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사고사례 조사결과 하천을 통과하는 천연가스매설배관 사고의 주요원인은 홍수로 분석되었다. 홍수에 의한 배관 노출 및 과도 유량에 의한 하중이 파손 원인인 경우가 많다. 파손발생 위치에서 부식이 발생한 것도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국내 하천통과 매설배관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매설심도 결정을 위해서는 국내 하천특성에 맞는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평가와 배관의 구조해석이 요구된다. 일반 천연가스배관의 사고사례 조사 결과도 주요 원인이 외부간섭과 부식임도 요약하였다. 이들 두 주요원인은 매설환경에 따라 전체사고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