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vigating devic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초

Z-Clutching: Interaction Technique for Navigating 3D Virtual Environment Using a Generic Haptic Device

  • Song, Deok-Jae;Kim, Seokyeol;Park, Jinah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10권1호
    • /
    • pp.32-38
    • /
    • 2016
  • Navigating a large 3D virtual environment using a generic haptic device can be challenging since the haptic device is usually bounded by its own physical workspace. On the other hand, mouse interaction easily handles the situation with a clutching mechanism-simply lifting the mouse and repositioning its location in the physical space. Since the haptic device is used for both input and output at the same time, in many cases, its freedom needs to be limited in order to accommodate such a situ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chanism called Z-Clutching for 3D navigation of a virtual environment by using only the haptic device without any interruption or sacrifice in the given degrees of freedom of the device's handle. We define the clutching state which is set by pulling the haptic handle back into space. It acts similarly to lifting the mouse off the desk. In this way, the user naturally feels the haptic feedback based on the depth (z-direction), while manipulating the haptic device and moving the view as desired. We conducted a user study to evaluate the proposed interaction technique, and the results are promising in terms of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chanism.

상하지가 연동된 보행재활 로봇의 제어 및 VR 네비게이션 (Control and VR Navigation of a Gait Rehabilitation Robot with Upper and Lower Limbs Connections)

  • 본단 노반디;윤정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15-322
    • /
    • 2009
  • This paper explains a control and navigation algorithm of a 6-DOF gait rehabilitation robot, which can allow a patient to navigate in virtual reality (VR) by upper and lower limbs interactions. In gait rehabilitation robots, one of the important concerns is not only to follow the robot motions passively, but also to allow the patient to walk by his/her intention. Thus, this robot allows automatic walking velocity update by estimating interaction torques between the human and the upper limb device, and synchronizing the upper limb device to the lower limb device. In addition, the upper limb device acts as a user-friendly input device for navigating in virtual reality. By pushing the switches located at the right and left handles of the upper limb device, a patient is able to do turning motions during navigation in virtual reality.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of a healthy subject, we showed that rehabilitation training can be more effectively combined to virtual environments with upper and lower limb connections. The suggested navigation scheme for gait rehabilitation robot will allow various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training modes.

차원 변환이 회전하는 목표 자극의 위치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atial Dimension Shifts in Rotated Target Position Search)

  • 박운주;정일영;박정호;배상원;정상철
    • 인지과학
    • /
    • 제22권2호
    • /
    • pp.103-121
    • /
    • 2011
  • 본 연구는 초기 화면의 차원 정보와 초기-검사 화면의 차원 일치 여부가 목표 대상이 $0^{\circ}$, $90^{\circ}$, $180^{\circ}$, $270^{\circ}$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참가자들의 위치 탐색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했다. 실험 결과, 초기 화면이 2차원으로 제시되었을 때 참가자들의 수행 정확도가 높았고, 특히 3차원 초기 화면의 경우 검사 화면과 차원이 일치할 때 위치 정보의 심적 회전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위치 탐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운전 상황과 같이 보조 자료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동시에 운전자의 위치와 방향이 변하는 경우, 실제와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설계된 3차원 자료보다는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2차원의 자료가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컴퓨터접근을 위한 매크로 인터페이스 및 자이로센서기술을 사용한 헤드마우스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HeadZmouse for Computer Access Using Gyroscopic Technology and Macro-Interface for Computer Access)

  • 이근민;우정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6
    • /
    • 2007
  • 자이로센서기술을 적용하여, 헤드마우스는 웹에 접근하기위한 마우스의 좌 클릭, 우 클릭, 더블 클릭, 드래그와 드롭, 휠 기능까지 시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이 기기는 USB케이블을 사용하여 PC와 매킨토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장비를 처음 사용할 때,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이 장비가 얼마나 큰 자유를 줄 수 있는지 알게 될 것이다. 컴퓨터에 얽매이는 것 대신, 음파센서에 공기를 부는 것 같은 간단한 조작은 휠 기능까지 포함한 일반 마우스의 모든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크로인터페이스(macro-interface) 도 개발되었다. 반복적 작업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버튼 한번 클릭하는 것만으로 반복되는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 PDF

IOT 환경의 주변 디바이스 탐색 알고리즘 설계 (A Study on the Peripheral Devices Search Algorithm Design of IoT Environment)

  • 황종선;김웅준;정인용;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06-608
    • /
    • 2015
  • IoT 환경에서 디바이스간의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주변의 디바이스를 탐색하기 위해 새로운 디바이스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신호의 세기를 판별하여 송신한 디바이스와의 거리 정보를 파악한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M2M(Machine to Machine) 방식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주변의 모든 디바이스에게 탐색 신호를 보내고, 주변의 디바이스들이 증가할수록 탐색 시간이 길어지고, 원거리의 디바이스일수록 정보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바이스 탐색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할 방법으로 새로운 디바이스가 주변의 디바이스를 탐색할 때의 탐색 시간을 단축하고, 근거리의 디바이스와의 탐색 신호를 주고받을 때의 정보 손실을 줄이기 위해 SNR(Signal to Noise Ratio)의 세기를 높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ECU와 내비게이션 정보를 융합한 IoT Head Up Display(HUD)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an Integrated ECU and Navigation Information based IoT Head-Up Display System for Vehicles)

  • 국중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2-177
    • /
    • 2021
  • The HUD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s has gradually been advanced in connection with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 for the safety and the convenience of driving. In this paper, the major features (e.g. speed, RPM, etc.) of vehicles is received through the ECU and the rout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navigating API, configurating the integrated GUI. And, the optical system is configured based on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to evaluate the visibilit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change of the GUI. The IoT HUD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has the scalability to flexibly add not only the ECU but also various cloud-based driving-related information.

유비쿼터스 지능형 공간에서의 로봇 에이전트 설계 및 응용 (Robotic Agent Design and Application in the Ubiquitous Intelligent Space)

  • 윤한얼;황세희;김대욱;이동훈;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039-1044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robotic agent design and application in the ubiquitous intelligent space. We set up an experimental environment with Bluetooth host, Bluetooth client, furniture and home appliance, and robotic agents. First, the agents basically performed patrol guard to detect unexpected penetration, and to keep home safely from gas-leakage, electric leakage, and so on. They were out to patrol fur a robbery while navigating in a living room and a private room. In this task, we used an area-based action making and a hexagon-based Q-learning to control the agents. Second, the agents communicate with Bluetooth host device to access and control a home appliance. The Bluetooth host offers a manual control to person by inquiring a client robot when one would like to check some place especially. In this exercise, we organize asynchronous connection less (ACL) between the host and the client robots and control the robot maneuver by Bluetooth host controller interface (HCI).

증강현실을 이용한 선택적 가이드 시스템 -관람자의 관심에 따라 박물관 관람을 안내 하는 가이드 시스템 (Augmented Reality based Museum Guidance System Selective Viewing)

  • 박준석;이동현;박준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5-48
    • /
    • 2008
  • 박물관이나 전시관에서 많은 관람객들은 전시물에 대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얻기를 원할 뿐만 아니라 특정한 스타일, 작가, 주제별로 관람하고 싶어 한다. 박물관이나 전시관에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선택적 가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글이나 그림, 다국어 음성, 비디오와 같은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관람객에게 제공하며 관람자들의 흥미에 따른 관람 경로를 관람자에게 제공 해준다. 다음 전시물까지 가는 경로의 정보는 증강현실을 이용하거나,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해서 관람자들에게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외관적으로는, UMPC(Ultra Mobile PC)와 카메라, 그리고 관성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이 시스템을 시작하면, 관람자는 자신의 흥미에 맞는 전시물을 메뉴를 선택한다. 그 후, 시스템은 선택된 전시물과 연관된 관람 경로를 설정하고 다음 전시물에 대한 방향과 거리 그리고 어디로 가는지, 어느 방향에 있는지, 얼마나 멀리 있는지 그리고 전시물에 대한 시각적 실마리의 정보가 주어진다.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전시물을 찾고 화면에 표시된 시각적 실마리와 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전시물의 영상을 일치시키면 전시물에 대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형태로 보여준다. 사용자들의 간단한 실험을 통해서 이 시스템은 큰 전시실에도 관람자로 하여금 유익하게 관람할 수 있다.

  • PDF

디지털 기기 기반 직무 수행 시 인적오류위험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 (An Experimental Evaluation on Human Error Hazards of Task using Digital Device)

  • 오연주;장통일;이용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3
    • /
    • 2014
  • The application of advanced Main Control Room(MCR) is accompanied with lots of changes and different forms and features through the virtue of new digital technolog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gital technologies and devices give many opportunities to the interface management, and can be integrated into a compact single workstation in advanced MCR so that workers can operate the plant with minimum physical burden under any operation conditions. However, these devices may introduce new types of human errors and thus a means to evaluate and prevent such errors is needed, especially those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digital devices. This paper reviewed the new type of human error hazards of tasks based on digital devices and surveyed researches on physiological assessment related to human error.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verify human error hazards by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EEG which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cognitive workload of operators. And also, the performances of four tasks which are representative in human error hazard tasks based on digital devices were compared. Response time, ${\beta}$ power spectrum rate of each task by EEG, and mental workload by NASA-TLX were evaluated. I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ate of the ${\beta}$ power was increased in the task 1 and task 4 which are searching and navigating task and memory task of hierarchical information, respectively. In case of the mental workload, in most of evaluation items, task 1 and 4 were highly rated comparatively. In this paper, human error hazards might be identified by highly cognitive workload. Conclusively,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dictive method which is utilized in this paper and an experimental verification can be used to ensure the safety when applying the digital devices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블루투스 스마트 기반의 내비게이팅 시스템 (Application of Navigat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Smart)

  • 이영두;잔 사나 울라;구인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9-76
    • /
    • 2017
  • 블루투스 스마트로 알려진 Bluetooth Low Energy(BLE)는 초저전력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BLE 기반 디바이스들은 그 구성에 따라 하나의 코인셀(coin cell)로 몇 년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BLE는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두 BLE 디바이스 사이의 근사적 거리를 추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근거리 영역에서 GPS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밀도의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BLE를 이용한 실제 내비게이션 테스트 베드를 구성하고 실외 근거리 영역에서의 동작을 검증한다. 검증 실험에서 BLE 기반의 비콘들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UUID) 전송하며,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는 이를 수신하여 거리값을 추출하고 UUID를 셀룰러 또는 와이파이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UUID에 바인딩된(binding) 관련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에 피드백하고, 이를 수신한 사용자 디바이스는 추출된 거리값과 함께 주변 정보 및 지도상에서 사용자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BLE 기반의 내비게이팅 응용이 실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시스템이 실내 내비게이션으로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