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st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여름 남해 서부 해역에 출현하는 수표성 동물플랑크톤에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neustonic zo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in summer)

  • 최장한;김대진;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461-475
    • /
    • 2020
  • 여수와 제주도 사이 해역에 출현한 수표성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분포와 환경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7년 9월 총 14개 정점에서 뉴스톤 네트를 이용하여 선박 측면에서 예인 및 채집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총 81개 분류군으로 요각류가 최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 출현 개체수를 기반으로 연안수의 영향을 받는 해역, 연안수와 외해수가 만나는 해역, 외해수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해역별 우점 요각류, 식성에 따른 요각류를 2개 그룹으로 구분하고 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온과 염분, 식물플랑크톤, 부유플라스틱과 유의미하였다(p<0.05). 추가로 연구 해역에 출현한 치어 및 화살벌레류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미세플라스틱 섭식을 확인하였다. 낮은 영양단계에서 섭취한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가 높은 영양단계로 전달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남해 서부 해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 특성을 볼 때 여름철 확장 범위를 달리하는 섬진강 수, 제주난류, 쓰시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군집 분포가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antel/apsis Species (Copepoda, Pontellidae) in the Korean Waters, with Notes on the Female Genital Structures and Their Zoogeography

  • Jeong, Hyeon-Gyeong;Suh, Hae-Lip;Soh, Ho-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2호
    • /
    • pp.187-203
    • /
    • 2009
  • Neustonic calanoid copepods were collected at the South Sea of Korea using a David-Hempel neuston net. Four Pantel/apsis species (P. armata Giesbrecht, P. rega/is Dana, P. vil/asa Brady and P. yamadae Mori) were identified and the former three species were first recorded in the Korea. We present redescription of the four species with SEM micrographs of female genitalia. Female genital structure is species-specific and can be very useful for species classification in the genus Pantel/apsis. Also we discuss zoogeography of Pantel/apsis species and provide with a key to the species hitherto known in the Korean waters.

중금속이 해양의 표층세균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Effect of Copper and Cadmium on Natural Populations of Bacteria from Surface Microlayers)

  • 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43-247
    • /
    • 1984
  • 중금속(구리와 카드뮴)이 해양의 표층수와 1m 깊이에서 채취된 미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되었다. colony 형 성균수와 $^{14}C-glucose$ uptake rate가 배양시간에 따라 각각 측정되었다. 해양에서 채취된 두개의 미생물군집은 서로 상이한 생리적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서 해양생대체에 토착적인 bacterioneuston population의 존재 가능함을 추정할 수 있다.

  • PDF

Redescription of Pontella Species (Calanoida, Pontellidae) from Korean Waters, with Notes on Their Spatio-temporal Distribution

  • Jeong, Hyeon-Gyeong;Suh, Hae-Lip;Yoon, Yang-Ho;Soh, Ho-You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4호
    • /
    • pp.209-222
    • /
    • 2008
  • To understand physical structures in the Korean waters, we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ontella species known as indicator species of water mass using a David-Hempel neuston net from April 2002 to March 2003. Five Pontella species (P. chierchiae Giesbrecht, P. fera Dana, P. latifurca Chen and Zhang, P. securifer Brady and P. sinica Chen and Zhang) were found. Their abundance increased from May to October with increasing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Pontella chierchiae predominantly appeared in the whole areas while P. latifurca scarcely occurred in coastal waters. The other three species (P. fera, P. securifer and P. sinica) were rarely found in the South Sea of Korea on August to September. We suggest that P. securifer and P. fera as oceanic species can play a role in an indicator species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while P. sinica as Chinese coastal species is affected by the diluted waters of the Yantze River. We also provide re-description of the three species (P. chierchiae, P. fera and P. latifurca) insufficiently described and discuss their zoogeography.

여수 연안 표층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 (Zooplankton and Neustonic Microplastics in the Surface Layer of Yeosu Coastal Areas)

  • 강희승;서민호;양윤석;박은옥;윤양호;김대진;정현경;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11-20
    • /
    • 2018
  •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5월 12일부터 14일까지 여수근해 (여자만, 가막만, 여수해만, 봇돌바다) 총 10개의 정점에서 수표성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을 채집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13종을 포함해 총 26개의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그 중 요각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출현 개체수는 $61{\sim}763indiv.m^{-3}$, 미세플라스틱은 $0.0047{\sim}0.3471particle\;m^{-2}$의 범위였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스트로폼, 페인트 조각, 섬유 조각 등이 발견되었다. Acartia omorii, Paracalanus parvus s. l., Labidocera euchaeta, A. hongi, 십각류 유생, 따개비 유생이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을 먹이식성에 따라 입자식성 동물플랑크톤과 육식성 동물플랑크톤으로 구분하였고, 동물플랑크톤 건조중량도 측정하였으며, 동물플랑크톤 유생은 따로 구분하였다. 이밖에 측정한 환경요인으로는 수온, 염분, 탁도, Chl-${\alpha}$ 농도, 식물플랑크톤 (규조류, 와편모조류) 밀도를 조사하였다. 동물플랑크톤과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RDA를 실시한 결과 동물플랑크톤은 미세플라스틱보다 다른 환경요인인 수온, 염분, 탁도, Chl-${\alpha}$ 농도와 밀접한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는 연안해역과 같이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동물플랑크톤 주요 먹이로서 과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