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ICT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3초

기업의 국제화와 신 정보통신기술의 역할: 중국 Haier 기업을 사례로 (The Role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A Case Study of Haier)

  • Liu, Shuguang;Liu, Weido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0-412
    • /
    • 2003
  • 신 정보통신기술(ICTs)이 기업의 비즈니스 처리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내부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와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활용. 공급 연줄망을 통합하기 위한 기업-기업간 e-com의 적용. 그리고 기업-고객간 e-com과 같이 새로운 마켓팅 통로의 창출 등을 들 수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비즈니스가 기업의 생산성 증대 및 개래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고 확신한다. 그 결과. 신 ICTs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많은 소규모 기업들의 최근 성장과 국제화를 통한 공간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Haier 기업을 사례로 기업의 성장과정에 신 ICTs가 끼친 역할을 살펴본 것이다. Haier 기업은 1990년부터 2002년 시기에 초국적 기업으로 성장했는데, 그 배경으로 신 ICTs의 채택과 관련하여 기업의 국제화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결과, Haier 기업의 신 ICTs의 채택은 세계 여러 지역에 위치한 기능체의 통합에 기여했으며. 이는 기업의 국제화에 필수적인 적기생산과 배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의 공급자와 구매자를 가깝게 연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Haier 기업은 신 ICTs를 활용함으로써 10년 이내에 초국적기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인권적 관점에서 본 인터넷 거버넌스 (Internet Governance in the light of Human Rights)

  • 박성훈
    • 인터넷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57
    • /
    • 2013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s) have substantially enlarged both the opportunities to realize one's human rights but have also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new challenges. ICTs are so deeply embedded and cental to almost all aspects of human activity. And ICTs are assuming an increasingly central role in all aspects of human and societal development across the world. But this is especially true of the right to privacy, which faces challenges such as profiling and data mining for public(including national security) and private purposes. ICTs access is a fundamental right for all humans in the information age. So we have need for regulation based on human rights in the digital age. And governments have a responsibility to protect individuals against violations of human rights and data protection by public authorities, but also by private entities. In addition, internet governance and multi-stakeholder principle have to be stressed on all of the internet issues because internet governance is included in the principle of democracy which have bottom-up communication and equality. So it is very importance that Internet Governance Forum is the space for a meaningful discussion on public policy issues relating to the internet.

  • PDF

한국 대학생의 소셜 커머스 행동의 이해: 기술준비도, 기술수용모형 및 계획된 행동이론의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Korean College Students' Social Commerce Behavior through an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주지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99-107
    • /
    • 2015
  • 새로운 정보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연구자와 실무자는 이 기술을 어떻게 보급할 것인가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e-커머스 분야에서 소셜 커머스는 최근에 나타나 현상으로, 소셜 커머스 현상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가 다양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술준비도(TR), 기술수용모형(TAM), 계획된 행동 이론(TPB)를 통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PLS 경로모형분석을 통한 분석결과, TPB의 주관적 규범-의도 경로를 제외한 모든 가설적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 커머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기술의 수용을 이해하는데 통합모형이 유용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미래 연구를 위한 함의와 제안을 제시하였다.

Rationalization of Network Segregation for Continuity of Financial Services Following COVID-19

  • Choi, Manyong;Kwak, 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11호
    • /
    • pp.4163-4183
    • /
    • 2021
  • As measures for protecting users and ensuring security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such as online banking, financi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have implemented network segregation policies. However, a revision of such domain-centered standardized network segregation policies has been increasingly requested because of: 1) increased demand for remote work due to changes resulting from COVID-19 pandemic; and 2) the difficulty of applying new technologies of fintech compani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s) such as cloud ser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problems of the remote work environment arising from the network segregation policy currently applied to the financial sector in South Korea and those from the application of new ICTs such as fintech technology have been investigated. In addition, internal network protection policies of foreign financial sectors, such as those of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European Union, and Russia, and internal network protection policies of non-financial sectors, such as control systems, have been analyzed. As measures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current network segregation policy, we propose a policy change from domain-based to data-centric network segregation. Furthermore, to resolve threats of hacking at remote work, recently emerging as a global problem due to COVID-19 pandemic, a standard model for remote work system development applicable to financial companies and a reinforced terminal security model are presented, and an alternative control method applicable when network segregation is not applied is proposed.

Indonesian Diplomacy in the Digital World

  • Wuryandari, Ganewati
    • 수완나부미
    • /
    • 제9권2호
    • /
    • pp.145-164
    • /
    • 2017
  • In the 21st century, the growing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and social media platforms has influenced our way of life, including international diplomacy. With the use of new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hatsApp, Twitter, Facebook, Instagram, video sharing website, blogs, and other social media networks, digital diplomacy has become an active diplomatic mode in modern society and plays an increasing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lthough Indonesia has gradually realized the pivotal role of internet diplomacy and recently put it into practice, it is still lagging far behind. This paper will examine how Indonesia conducts its diplomacy in the new era of digital world. How far and in what ways does the Indonesian government make use of digital technology to conduct its diplomacy? What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re confronted to develop digital diplomacy? How does it navigate diplomacy in the digital age? Unless Indonesia embraces new channels and methods of diplomacy, its foreign policy implementation may not run optimally to support its aim of attaining its objectives in the international stage.

  • PDF

Cancer Control and the Communication Innovat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Cancer Disparities

  • Jung, Minso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411-3417
    • /
    • 2013
  • Over the last 10 years,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n South Korea has reached nearly one million with a survival rate of 49.4%. However, integrated supportive care for cancer survivors is lagging. One area in which the current cancer control policy needs updating is in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remarkable progress in the field of ICT over the past 10 years presents exciting new opportunities for health promotion. Recent communication innovations are conducive to the exchange of meta-information, giving rise to a new service area and transforming patients into active medical consumers. Consequently, such innovations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tual utilization and sharing of high-quality information. However, these benefits from new ICTs will almost certainly not be equally available to all, leading to so-called communication inequalities where cancer survivors from lower socioeconomic classes will likely have more limited access to the best means of making use of the health information. Therefore, most essentially, emphasis must be placed on helping cancer survivors and their caregivers utilize such advances in ICT to create a more efficient flow of health information, thereby reducing communication inequalities and expanding social support. Once we enhance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and better manage the quality of information, as a matter of fact, we can expect an alleviation of the health inequalities faced by cancer survivors.

On condition based maintenance policy

  • Shin, Jong-Ho;Jun, Hong-Bae
    •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제2권2호
    • /
    • pp.119-127
    • /
    • 2015
  • In the case of a high-valuable asset,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M) phase requires heavy charges and more efforts than the installation (construction) phase, because it has long usage life and any accident of an asset during this period causes catastrophic damage to an industry. Recently, with the advent of emerg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we can get the visibility of asset status information during its usage period. It gives us new challenging issue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sset operations. One issue is to implement the Condition-Based Maintenance (CBM) approach that makes a diagnosis of the asset status based on wire or wireless monitored data, predicts the assets abnormality, and executes suitable maintenance actions such as repair and replacement before serious problems happen. In this study, we have addressed several aspects of CBM approach: definition,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s, procedure, and techniques with the introduction of some relevant case studies that we have carried out.

국방 블록체인 기술 동향 및 국방 ICT 융합 전략 연구 (Study on Trends and Strategies for Defense Blockchain and ICT Technologies)

  • 이경휴;박혜숙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1호
    • /
    • pp.12-24
    • /
    • 2020
  • To keep pace with other powerful nations in this era of the era of digitalization and to emerge stronger in the world, the defense forces of South Korea aim to innovate and prepare themselves for digital battlefields of possible wars in the future. The resources in the defense sector, which is the core of defense intelligence, is based on an intelligent mission collaboration tactical network system via cyber,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and computer (C4), and military and non-human weapons. Defense intelligence depends on the degree of the convergenc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Considering this aspect of defense intelligence, We plan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status of defense blockchain technology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core of applied technology. Generally, a key feature of blockchain technology is its data integrity in untrusted environm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re technologies for the blockchain depending on the target areas of application in the defense sector, and it is also essential to derive new application strategies for core technologies that ar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other ICT technologies. We plan to demonstrate new defense ICT converged technologies (DNAB2: Data, Network, AI, BigData, Blockchain) and DNAB2-As-Services in the defense strategy.

특허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기술지식의 확산 경로 분석: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으로 (Patent Citation Network Analysis as a Measure of Technical Knowledge Diffusion in Korea: Focusing on ICT)

  • 최병철;백현미;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43-151
    • /
    • 2015
  • 최근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기술융합은 서로 다른 기술간 지식의 교환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발견하고 이를 기존 기술 영역에 활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지식집약적 기술인 정보통신기술의 경우 기술융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보통신기술의 지식 확산 경로를 살펴보기 위한 데이터의 부족으로 현재까지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출원된 특허 데이터와 그들의 선행특허들간의 인용관계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특허 인용 네트워크, 기술 인용 네트워크, 출원인 인용 네트워크를 도출함으로써 기술의 지식 확산 경로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간 지식 인용에 있어 정보통신기술이 주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술인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기술관계일수록, 정보통신기술간의 인용일수록 기술 인용에 소요되는 기간이 짧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부분 정보통신기술은 다른 정보통신기술 혹은 물리학과 전기분야 기술과의 인용 피인용 관계가 강한 반면, 기본적 전기소자(H01)의 경우, 정보통신기술 이외의 기술과 다양한 인용 피인용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법인과 국내자연인간의 상호 기술확산이 강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법인의 특허는 타출원인에 의해 활발히 인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의 기술지식 확산경로에 대한 고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술의 성과 측정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CT 발전과 소득불평등 간의 관계 분석 (Impacts of ICT Development on Income Inequality)

  • 조우제;정윤혁;김상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37-245
    • /
    • 2020
  •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은 기업들과 개인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 혜택이 대기업과 고소득 개인에게만 편중되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킨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하는데 사용되는 자본이 결과적으로 노동을 대체하면서 노동자의 수입이 자본가에게 돌아가게 되고, 이 영향으로 소득불평등 정도가 높아진다는 논리로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첨단 ICT 활용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경쟁력을 강화하여 기업 간 격차도 더 벌린다는 우려도 있다. 반면, 인터넷은 중소기업이나 저소득 개인이 적은 비용으로 정보, 지식, 콘텐츠 등을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소득불평등을 개선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이와 같은 논쟁에 있어 본 논문은 OECD 28개 국가들의 거시적 지표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 국가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해당 국가의 소득 불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정도가 높을수록 소득불평등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어도 최근 OECD 국가들에게서는 ICT 발전이 소득 불균형을 악화시키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완화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분석한 ICT 발전 정도가 지니계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에서도 ICT 발전 정도가 높은 나라일수록 지니계수가 줄어들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