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c oxide radical %28NO%29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생강나무 잎 및 가지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and Twig Extract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 홍주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3-580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and twig (LLW: water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LLE: 50% ethanol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leaf, LTW: water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twig, LTE: 50% ethanol extract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twig).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LTE were 445.38 mg/g and 302.09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95.38%) of L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LE (93.76%), LTW (88.09%), and LLW (82.06%).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f extracts were improved with 50% ethanol condition, rather than hot water.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of the extracts were improved with an increase of treatment concentration. All the extracts($1,000{\mu}g/mL$) stimulated a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in macrophage RAW264.7 cells. In particular, the NO stimulating activity of LTE was superior to that of LLE, LTW, and LLW. The antitumor activity of LTE ($500{\mu}g/mL$) in A549, HeLa and SNU719 was 55.63%, 83.87% and 68.11%, respectively. The UVB-induced MMP-1 production in HS68 cells was suppressed by the treatment of LTE (88.28%), LLE (83.96%), LTW (80.59%) and LLW (76.08%).

참갈파래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Ulva lactuca Linnaeus Extract)

  • 민경철;김근대;남현규;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40-347
    • /
    • 2022
  • 참갈파래(Ulva lactuca Linnaeus)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참갈파래 추출물의 MTT assay의 결과로 500 ㎍/ml 이하의 모든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며, 일정 농도에서는 100%를 능가하는 세포생장 촉진율까지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이후 모든 실험에서는 가장 높은 농도를 500 ㎍/ml으로 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염증 실험 중 하나인 nitric oxide(NO)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은 5, 50,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6%, 19%, 62%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경우,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은 5, 50, 5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6%, 17%, 27%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Interleukin-6 (IL-6)의 경우, LPS만 처리한 군을 100%로 정하여 비교 하였을 때, 참갈파래 추출물의 경우, 500 ㎍/ml의 농도에서 29%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참갈파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는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0.3, 3, 3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02, 9.90, 23.8 mg GAE/g의 총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0.3, 3, 3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약 2.6, 12.6, 77.3%의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증가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참갈파래 추출물은 향후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소재로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Oenothera Biennis Seed Extracts)

  • 조현동;김두현;김민근;이용석;서권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1048-105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꽃 종자 물, 에탄올, 메탄올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신경세포 손상 억제, 항암, 대식세포 면역조절 활성 및 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 중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1.90 mg GAE/g 및 20.66 mg QE/g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추출물과 비교하여 가장 활성이 높았다.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 활성은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물,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을 $25-100{\mu}g/ml$의 농도로 전처리 하였을 때 글루탐산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손상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세포의 경우 메탄올 추출물이 간암, 폐암, 유방암 및 흑색종 피부암의 세포 생존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낮은 $IC_{50}$ 값을 보였으며 대장암과 전립선암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낮은 $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달맞이꽃 종자 70%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마우스 대식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통해 대식세포의 면역활성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은 풍부한 폴리페놀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달맞이꽃 종자 추출물을 기능성 식품 원료 및 천연물 의약품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적인 발효 방법으로 제조된 참외식초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Muskmelon Vinegar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s)

  • 정경임;하나연;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5-35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한 참외식초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작용,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RAW 264.7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조한 참외식초의 총 산도는 MV-1은 4.00%, MV-2는 4.32%, MV-3은 4.35%로 나타났다. 유기산 측정결과 MV-1은 malic acid (58.37 mg/ml), MV-2 (46.95 mg/ml)와 MV-3 (66.70 mg/ml)는 acet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외식초의 총 페놀 함량은 MV-3에서 $129.74{\mu}g$ TAE/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참외식초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MV-3 40% 농도에서 89.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60% 농도에서의 MV-1와 MV-2 및 MV-3는 각각 40.84%, 52.17%, 72.55%로 나타났다(p<0.05). 참외식초의 ADH 및 ALDH 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0% 농도에서의 ADH 활성은 MV-1에서 13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LDH 활성은 MV-2에서 100.25%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pH 1.2에서 MV-1, MV-2, MV-3 각각 81.58%와 94.72% 및 87.75%로 나타났다. 참외식초의 항염증 활성 측정을 위하여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의 NO 합성을 측정한 결과, 1%에서 농도에서 MV-1, MV-2, MV-3의 NO 합성은 각각 25.93%와 10.01% 및 79.75%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와 같이 참외 꼭지를 포함하여 0.5 cm두께로 슬라이스한 참외와 찹쌀고두밥 및 누룩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MV-3는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건강음료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모링가 잎 추출물의 항당뇨, 알코올 대사 및 간 보호 활성 (Anti-Diabetic, Alcohol-Metabolizing, and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Moringa (Moringa oleifera Lam.) Leaf Extracts)

  • 최영주;정경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19-8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제거 및 간 손상 방지와 염증, 심장병 등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링가 잎 추출물의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항염증 및 알코올분해능을 탐색하였다.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5.49와 63.06 mg TAE/g으로 나타났다.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은 1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60.81%와 71.29%로 에탄올 추출물의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superoxide dismutase 유사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82%와 7.40%로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링가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효과는 5 mg/mL 농도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45.19%와 88.14%로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효소 모두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28.50%와 7.90%로 LPS 처리군(41.96%)보다 각각 32.1%와 81.2%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모링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tacrine으로 유도된 Hep3B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적인 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모링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항당뇨, 항염증, 숙취 해소 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