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r quotien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복합악취와 악취농도지수 분석을 통한 국내 하수처리시설 바이오필터의 악취제거 특성 (Odor Removal Characteristics of Biofilters in Domest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alyzing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 고병철;박영호;김동일;이민규;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7
    • /
    • 2013
  •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odor and malodorous substances using 33 biofilters i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The geometry mean values of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were reduced by 52.7% and 59.2% at the outlet of the biofilters, respectively.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he biofiltes for the composite odor and odor quotie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00<0.05). The median value of odor quotient of sulfur compounds was reduced by 69.1% at the outlet of the biofilter and the odor quotient of the sulfur compound at the inlet and outlet of the biofilter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p=0.000<0.05); on the other hand, those of the $NH_3$ and trimethylamine, aldehydes, VOCs and alcohols, organic acids do not.

대구시 산업단지 환경기초시설의 악취발생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Fundamental Environmental Facilities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 이찬형;전현숙;신명철;김은덕;장윤재;권병윤;송희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46-254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fundamental environmental facilities at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The od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2015 to January 2016 and were analyzed for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The odor quotient and the odor contribution was calculated. Results: Ammonia was detected in all samples monitoring specified odor compounds, followed by hydrogen sulfide and acetaldehyde. According to contribution analysis, hydrogen sulfide shows the highest contribution in all facilities.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 and B and sewage treatment plant F, it was followed by acetaldehyde. At wastewater treatment plant C, it was followed by imethyl sulfide. Conclusion: The major component of odor can be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odor intensity rat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individual odor compon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dor reduction, policies focused on materials with a high odor contribution are needed rather than focusing on high-concentration odor compounds.

대구시 산업단지 염색폐수처리장의 악취발생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a Dyei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 이찬형;전현숙;권병윤;김은덕;장윤재;이명숙;금종록;송희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4-323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Od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6 to December 2016 and were analyzed for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The odor quotient and the odor contribution was calculated. Results: Ammonia,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and toluene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for monitoring specified odor compounds. The result of contribution analysis is that hydrogen sulfide had the highest contribution in all processes, followed by acetaldehyde. Conclusion: The major components of odor can be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odor intensit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individual odor componen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dor reduction, rather than addressing high-concentration odor compounds, policies focused on materials with a high odor contribution are necessary.

대구시 산업단지 인근 하수처리장의 악취발생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Near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 이명숙;강동훈;금종록;권병윤;조항욱;이찬형;김은덕;임호진;송희봉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8-187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near an industrial complex area in Daegu City. Methods: Od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rch 2017 to December 2017 and analyzed for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The odor quotient and the odor contribution were calculated. Results: Ammonia, methyl mercaptane,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acetaldehyde, propionylaldehyde, toluene, xylene, and methylethylketone were detected in all samples for monitoring the specified odor compounds. The result of contribution analysis is that hydrogen sulfide made the highest contribution in all processes, followed by acetaldehyde. Conclusion: The major components of odor can be determined by evaluating their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odor intensity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individual odor component.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dor reduction, rather than addressing high-concentration odor compounds, policies focused on materials with a high odor contribution are necessary.

GC/FPD를 이용한 환경기초시설 폐기물의 대기중 황계열 악취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Major Reduced Sulfur Gases Emitted from Wastes Stored in Environmental Facility Using GC/FPD)

  • 이태윤;이제근;이준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37-43
    • /
    • 2009
  •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더불어 하수종말처리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해왔다. 이들 시설들은 상수원 수질보전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과 같은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악취문제를 유발해 인근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해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환경기초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탈수슬러지케잌 및 음식물쓰레기샘플을 채취, 황화수소 발생 가능량을 예측함과 동시에 발생 가능량이 많을 것으로 나타난 1개 시료를 선정하여 실험실 규모의 Flux Chamber 실험을 통해 대기 시료를 포집하여 GC/FPD분석을 실시, 혐기성 상태일 때 이들 처리장폐기물에서 대기 중으로 배출하는 황계열 악취물질에 대한 배출농도 측정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황화수소발생량이 가장 많은 시료는 녹산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샘플로 농도가 156.18mg/kg이었고, GC/FPD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악취농도지수(Odor Quotient)를 산정해 본 결과 개별 악취물질중 $CH_3SH$(methylmercaptan)이 총악취농도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47.3%로 가장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나타났다.

  • PDF

부산수영하수처리장 하수와 음식물쓰레기 병합처리 시 공정별 악취특성 및 후처리시설 효율평가 (Removal Efficiency of the Deodorization Equi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alodor during the Process in Co-treatment of Sewage and Food Waste of Su-young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Busan)

  • 이형돈;강대종;이민호;강동효;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18권4호
    • /
    • pp.379-389
    • /
    • 2012
  • 우리나라는 소득증가, 도시집중화, 인구증가로 인해 환경적인 문제에 대해 점점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문제 중 악취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다. 부산시 수영하수처리장 내 음식물처리장은 음식물과 하수를 병합처리하는 시설로 주거지역 인근에 위치해 있어 많은 민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악취물질분석과 기여도를 악취지수(odor quotient, OQ)와 총악취지수(sum of odor quotient, SOQ)를 평가하여 분석하였으며, 또한 후처리시설인 바이오필터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복합악취 측정결과, 7월과 8월에 분쇄기, 투입호퍼, 침출수 순으로 복합악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메틸메르캅탄의 경우, 최소감지농도를 3,571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악취기여도평가에서 메틸메르캅탄(49.95~59.08%), 황화수소(20.43~29.27%), 트리메틸아민(8.82~13.42%), 아세트알데히드(9.17~11.35%)순으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시설과의 기여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황화합물(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의 OQ가 가장 높았으며, 분쇄기에서 SOQ가 7,06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황화합물과 아세트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의 악취기여도가 분쇄공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시설의 후처리시설에 대한 처리효율을 평가한 결과, 암모니아, 아민류는 90.00% 이상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나, 황화합물류의 처리효율은 평균 53.51%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시설은 기타 처리시설에 비해 아세트알데히드와 트리메틸아민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처리장의 후처리시설은 복합적인 악취성분 처리 시 분해효율이 감소할 수 있어 적절한 용량 및 운전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 Compounds from Pneumatic Waste Collection Plants)

  • 윤용경;김대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41-5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서의 악취물질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2개소(A시설, B시설)의 시설을 선정하여 공기관로 내의 이송가스와 최종배출가스를 대상으로 복합악취와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을 조사하였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서 배출되는 주된 악취물질은 암모니아, 황 화합물, 아세트알데하이드이었으며, 악취처리공정의 종류에 따라 최종배출구의 악취 배출특성이 상이하였다. 이송가스를 대상으로 한 악취기여도 평가에서는 A시설의 경우, 디메틸설파이드 26%, 아세트알데하이드 18%, 메틸머캅탄 14%의 악취기여도를 보였으며, B시설의 경우에는 메틸머캅탄 56%, 황화수소와 디메틸설파이드가 각각 15%이었다.

공기희석관능법과 기기분석법에 기초한 악취감지기술의 연계성 비교: 산단지역 및 음식물 부패시료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Odors between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Instrumental Detection Method Using Industrial and Food Waste Samples)

  • 박신영;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0-429
    • /
    • 2007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dilution sensory test and instrumental detection method for individual odorous compound. For the purpose of our comparative study, we conducted the analysis of malodor on total of 46 samples collected from both industrial and food waste sectors using the two independent approaches.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es were explained after modification to several parameters such as: the sum of odor concentration (SOC), sum of odor quotient (SOQ) and sum of odor intensity (SOI). When we compared dilution ratio values (DRV) of threshold limit (TL) with the modified instrumental data sets, pearson coefficient of SOC, SOQ, and SOI were 0.556 (p=5.83E-05), 0.911 (p=9.64E-19) and 0.847 (p=8.93E-1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thus suggest that the DRV of TL sensitively reflects odor strength measured intuitive.

제주지역 양돈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의 계절별 농도 및 배출 특성 (Seasonal concentrations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dorous compounds produced from swine facilities in Jeju Island)

  • 송정민;양효선;고한종;김영주;김기연;강창희
    • 분석과학
    • /
    • 제26권6호
    • /
    • pp.364-374
    • /
    • 2013
  • 주요 악취물질 10 종을 분석하여 환기방식과 분뇨수거방식이 다른 제주지역 4 개 돈사의 악취물질 배출특성과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질소계열($NH_3$, TMA)은 겨울철에 농도가 높았고, 무창형 스크레퍼방식이 다른 돈사에 비해 농도가 높았다. 황화합물($H_2S$, $CH_3SH$, DMS, DMDS)과 휘발성 지방산(PA, n-BA, n-VA, iso-VA) 역시 겨울철에 높고, 무창형 스크레퍼와 무창형 슬러리방식 돈사에서 다소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환기방식별로는 무창형 돈사가 개방형돈사에서 비해 농도가 더 높고, 분뇨수거 방식별로는 슬러리방식에서 질소와 황 계열의 농도가 높고 스크레퍼방식에서는 휘발성 지방산 계열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악취지수는 4 개의 돈사에서 모두 n-BA 성분이 높게 나타나 휘발성 지방산이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총악취지수(SOQ)는 무창형 스크레퍼방식 돈사에서 더 높고, 악취기여도는 휘발성 지방산이 모든 돈사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