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ered scale paramete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순서를 갖는 척도모수들의 사전정보 하에 k-모집단 와이블분포의 베이지안 모수추정 (Bayesian Estimation of k-Population Weibull Distribution Under Ordered Scale Parameters)

  • 손영숙;김성욱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2호
    • /
    • pp.273-282
    • /
    • 2003
  • 순서화된 척도모수들의 사전정보를 가지는 k-모집단 와이블분포의 모수추정을 위한 베이지안방법이 제시된다. 모수추정은 깁스샘플링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특히 깁스샘플러에서 형태모수의 조건부 사후분포는 로그-오목함수이므로 적응기각표집(Adaptive Rejection Sampling: ARS)방법에 의해 모수생성을 하였다. 논의된 모수추정법을 전기 절연유체 고장시간자료에 적용하여 척도모수의 순서화정보를 반영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다.

Families of Distributions Arising from Distributions of Ordered Data

  • Ahmadi, Mosayeb;Razmkhah, M.;Mohtashami Borzadaran, G.R.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2권2호
    • /
    • pp.105-120
    • /
    • 2015
  • A large family of distributions arising from distributions of ordered data is proposed which contains other models studied in the literature. This extension subsume many cases of weighted random variables such as order statistics, records, k-records and many others in variety. Such a distribution can be used for modeling data which are not identical in distribution. Some properties of the theoretical model such as moment, mean deviation, entropy criteria, symmetry and unimodality are derived. The proposed model also studies the problem of parameter estimation and derives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in a weighted gamma distribution. Finally, it will be shown that the proposed model is the best among the previously introduced distributions for modeling a real data set.

지형학적 수문응답특성에 의한 선형저수지 모델 해석 (Runoff Analysis of a Linear Reservoir Model by the Geomorphologic Response Characteristics)

  • 조홍제
    • 물과 미래
    • /
    • 제20권2호
    • /
    • pp.117-126
    • /
    • 1987
  • 지형인자 및 법칙을 수문응답의 직접변수로 결합시킨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UH) 이론과 이를 선형저수지 모델인 Nash 모델의 물리적 인자인 m와 k에 상관시킨 Rosso 의 성과를 개선하여, 지형인자, 지형법칙 및 호우특성과 유역동적 특성으로서 최대유속이 고려된 개념으로서 지형법칙인 $R_A,R_B,R_L$ 주하천유로연장 및 유출속도로서 표현이 가능하며, 실제유역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역내 동적특성을 나타내는 호우특성과 유출속도로서 최대유속을 이용하여 k를 산정하는 기본식을 재구성하였고, 실측자료를 이용 분석한 결과 본이론의 적용성이 입증되었다. m의 산정에 있어서 Rosso 가 제안한 (16)식의 일반성을 확인하였으며, 유역면적의 증가에 따라 m가 커지는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하천의 프랙탈 특성을 고려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개발(I) (Development of a GIUH Model Based on River Fractal Characteristics)

  • 홍일표;고재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565-577
    • /
    • 1999
  • 프랙탈 기하학은 불규칙적이고 복잡한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자기상사성을 가지고 있는 하천의 형상을 비롯한 하도망의 구성은 프랙탈 차원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현상이라 할 수 있다. GIUH란 유역의 수문학적 응답인 IUH에 하천의 지형학적인 특성을 적용한 강우-유출 모형으로,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지형학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하천 유역에서 프랙탈 차원은 길이비, 면적비, 분기비 등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산정할수 있다. 프랙탈 GIUH 모형을 제시하였다. 프랙탈 GIUH 모형은 Rosso(1984)가 제시한 GIUH-Nash 모형의 형상계수와 규모계수 등의 매개변수 산정시 유역의 자기상사성을 대변할 수 있는 프랙탈 차원을 직접 적용하였으며, 하천의 길이비와 분기비 만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