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53건 처리시간 0.032초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의 성장과 열저항성에 미치는 유기산의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s on Growth and Heat Resista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 이신호;조현순;김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3-297
    • /
    • 1994
  • The effect of organic acids on growth and heat resista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was inhibited in Tryptic Soy Broth(TSB) with 0.1 or 0.2% of acetic , tartic , propionic , citric and lactic acid at 35$^{\circ}C$, respectively.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did not occur in TSB with 0.2% of acetic acid or propionic acid during 48h of incubation. The heat resistance of L.monocytogenes was affected by kind of organic acid, ph and heating substrate. L.monocytogenes showed more heat resistant in TSB with various organic acids than in 0.1M sodium phosphate with the same organic acids. Heat resistance decreased as pH of heating substrate decreased . Surface-adherent microcolony was more heat resistant than planktonic cell of L. monocytogenes. Propionic and lactic acids more affected on heat resistance of L.monocytogenes than acetic , tartaric and citric acids.

  • PDF

유용성산화방지제에 대한 유기산의 협력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o-Operative Effect of Oil-Soluble Antioxidants and Organic Acid.)

  • 유세홍;김선덕;윤오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4
    • /
    • 197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operative effect of antioxidants (butyl hydroxy anisol, dibutyl hydroxy toluene, propyl gallate, dl-$\alpha$-tocopherol) and organ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on the stability of soybean oil by active oxygen metho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When antioxidants and organic acid were used together, the antioxidants activity was more strong than antioxidants were used only. 2. The co-operative effect of citric acid for antioxydants was the strongest whereas succinic acid was the weakest. 3. The co-operative effect of phenolic antioxydants for organic acid was more strong than dl-$\alpha$-tocopherol.

  • PDF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정량(有機酸定量)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of Kochuzang prepared from various Starch Sources)

  • 이택수;박성오;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0-125
    • /
    • 1981
  • 전분질원(澱粉質原料)의 종류를 달리하여 양조(釀造)한 3개월 숙성의 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각고추장을 시료로하여 gas chramatography에 의하여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고추장중의 유기산으로 lactic acid, glycolic acid, pyruvic acid, succinic and fum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모든 시험고추장에서 분리되었고 oxalic acid는 고구마 고추장에서만 검출 되었다. 시험고추장 모두 pyroglutamic acid, pyruvic acid, citric acid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밀가루 고추장에서는 이들 함량이 타 고추장에 비하여 다소 적게 나타났다. succinic과 fumaric acid의 함량은 고구마 고추장에서 가장 많았고 보리쌀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 PDF

해조류의 유기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rganic Acid in Some Species of Marine Alage)

  • 김영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0-33
    • /
    • 1971
  • 1.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 in Porphyra tenera, roasted Porphyra tenera and Undaria pinnatifida. 2.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mong three of them, Porphyra tenera, roasted Porphyra tenera and Ucdaria pinnatifida. Butyric, propionic, acetic, fumaric, succinic, lactic, oxalic, malic, citric and unknown two acids were identifled by silica gel colcumn chromatography. 3. All of volatile organic acid, namely butyric, propionic and acetic acid in Porphyra tenera were decreased during the raosting.

  • PDF

유기산 첨가제를 이용한 저품질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Desulfurization Performance of Low-grade Limestone Slurry Using Organic Acid Additives)

  • 정지은;조인아;이창용
    • 공업화학
    • /
    • 제32권2호
    • /
    • pp.190-196
    • /
    • 2021
  • 저품질 석회석의 탈황 성능 개선을 알아보기 위해 초산, 젖산, 개미산 등 3종의 유기산 첨가제를 사용하여 기포형 반응기에서 탈황 반응을 수행하였다. 유기산이 첨가되지 않은 석회석 슬러리는 pH 5.2 이하에서 초기 탈황 효율의 저하가 일어났다. 반면, 유기산이 첨가된 석회석 슬러리는 pH 4.2~4.5에서 안정된 초기 탈황 효율을 나타내었다. 슬러리 pH 4 이하에서 유기산이 첨가된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은 유기산의 해리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의 양과 연관될 수 있다. 슬러리 중 유기산의 음이온 양이 많으면 슬러리 pH의 완충 기능 저하가 급격히 일어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유기산의 산성도 및 해리도에 기인하였다. 3종의 유기산 첨가에 따른 저품질 석회석 슬러리의 탈황 성능 증가율은 초산(2.6%) < 젖산 (6.4%) < 개미산 (16.7%) 순으로 나타났다.

담금방법을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 및 지방산의 변화 (The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 전명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29
    • /
    • 1995
  • 담금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메주, 고오지, amylase, protease 고추장의 유기산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succin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acet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Citric acid는 $450{\sim}565$ mg%로 가장 많은 량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lactic acid, mal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 총량은 담금직후에 메주고추장이, 90일후는 고오지 고추장이 높았으나 시험구간의 함량차이는 적었다. Ole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linoleic acid, myristic acid, stear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Oleic acid는 $68.59{\sim}75.38%$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냈으나 각시험구간의 지방산 조성비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중국산 죽순대로부터 제조한 죽초액의 특성 (Properties of Bamboo Vinegar Prepared from China-grown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 문성필;구창섭;박상범;권수덕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18-25
    • /
    • 2003
  • 중국산 죽순대 (Phyllostachys pubescens)를 간이탄화로(400 - 500 ℃)에서 제탄하고 얻어진 죽초액에 대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중국산 죽순대로부터 제조한 죽초액은 보매 비중 4.5, 유기산 함량 9.9%, pH 2.8, 용해타르함량 3.1%, 굴절률 13.1%를 나타내었다. 이들 죽초액의 구조 동정 및 정량 결과, acetic acid, 1-hydroxyl-2-propanone, methanol, 1-hydroxyl-2-butanone, propionic acid 등이 주요화합물로 국내산 죽순대 죽초액과 큰 차이가 없었다. 총 유기물 함량은 14.8% 이었으며 이중 유기산류 (acet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butanoic acid)는 9.0%로 전체 유기물 중 약 61%를 차지하였다. 페놀류와 중성류는 각각 0.8%와 4.5%로 전체 유기물의 약 6%와 31%를 차지하였다. 시판되고 있는 중국 재래식 죽초액의 경우 대부분의 물성치 및 유기물 함량이 낮은 것으로 보아 본 죽초액은 탄화 초기단계에서 포집하여 숙성시켰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었다.

  • PDF

패육의 건조 및 저장중 유기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Organic Acid Contents during Drying and Storage of Shellfish Meat)

  • 주옥수;이종원;김홍출;하영래;강군중;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74-778
    • /
    • 1996
  • 건조온도(40, 50 and $60^{\circ}C),$ 저장온도(4 and $20^{\circ}C)$ 및 저장기간(0,1,2,4months)에 따른 홍합과 바지락의 유기산 함량의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두 시료 모두 8종의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홍합에서는 succinic acid의 함량이 410.9mg%로 전체 유기산의 9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malic acid가 41.2, pyroglutamic acid가 11.6, lactic acid가 11.4mg%의 순으로 많았으며, 바지락에서는 succinic acid가 96.5mg%로 가장 많았으며 lactic acid가 61.9, pyroglutamic acid가 59.8, malic acid가 21.7mg%로 많았다. 건조에 의하여 유기산의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함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저장기간이 길수록 함량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물김치 서식 미생물,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생육에 Ethanol과 유기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and/or Organic Acids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 Identified from Mul-kimchi)

  • 한영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25-4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ethanol 과 일부 유기산(adip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을 첨가하였을 때 물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 생육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thanol 및 유기산의 첨가가 물김치 서식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pH 4.3 의 buffer 용액에 ethanol 과 유기산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Kluyveromyces marxianus을 접종하여 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유기산 종류에서는 adipic acid를 첨가했을 때 성장 억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교 균주에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유기산과 에탄올에 영향을 받아 생육이 더욱 억제되었다. Ethanol에 대해서는 L. plantarum이 Leu. mesenteroides보다 숙성 72 시간째에 40.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유기산의 경우에는 종류에 따라 생육억제 정도가 달랐다. Acetic acid의 경우 L. plantarumol 약 40.0% 정도, citr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이 약 15.0% 정도 생육이 억제되었지만 adipic acid의 경우는 L. plantarum 와 Leu. mesenteroides 모두에게 억제 효과가 있어 무첨가군에 비해 50.0∼60.0% 정도 생육이 감소되었다. K. marxianus에서도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 억제에 효과적이나 유기산에 대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thanol 및 유기산이 각 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을 알기 위해 균체내 물질의 누출을 26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관찰한 결과 L. plantarum 에서는 ethanol 2.0% 첨가 에서와 adipic acid 0.1 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24 시간 후의 흡광도가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Leu. mesenteroides에서는 ethanol 첨가시 유의적인 차이가 보이지 않았고 유기산 중 adipic acid 첨가시 흡광도가 많이 증가되었다. K. marxianus 에서는 ethanol 농도가 높을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유기산 중 citric acid 에서 많이 증가되었다.

  • PDF

전통 안동식혜의 유기산 및 향기성분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Andong Sikhe)

  • 우희섭;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8-213
    • /
    • 1995
  • Andong Sikhe in Korea was prepared and fermented at 5$^{\circ}C$ and the taste and flavor compounds were evaluated.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as camphene, sabinene, 1-(1, 5-dimethyl-4-hexyl)-4-methyl-benzene, alpha-zingibirene, farnesene, 2, 6-bis(1, 1-dimethylethyl)-4-metethyl-phenol, beta-sesquiphellandrene, calalene, tetradecanoic acid, and 9, 12-octadecanoic acid. The concentr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such as lactic aci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were 18.10mg/100g, 1.04mg/100g and 1.37mg/100g, respectively, and those of other nonvolatile organic acid were a little. The pH and acidity of Andong Sikhe were 4.06 and 0.32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