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검색결과 4,354건 처리시간 0.04초

Intensive land-based production of red and green macroalgae for human consumption in the Pacific Northwest: an evaluation of seasonal growth, yield, nutritional composition, and contaminant levels

  • Gadberry, Bradley A.;Colt, John;Maynard, Desmond;Boratyn, Diane C.;Webb, Ken;Johnson, Ronald B.;Saunders, Gary W.;Boyer, Richard H.
    • ALGAE
    • /
    • 제33권1호
    • /
    • pp.109-125
    • /
    • 2018
  • Turkish towel (Chondracanthus exasperatus), Pacific dulse (Palmaria mollis, also known as Red ribbon seaweed), and sea lettuce (Ulva spp.) were cultivated in a land-based intensive culture system at the Manchester Research Station, USA from August 2013 to September 2014. Macroalgae were grown in tumble-aerated tanks, harvested bimonthly for seasonal growth calculations, and analyzed for protein, lipid, ash, and amino acid content. Growth rate of all three species exhibited a similar pattern, with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s occurring during the summer months (Turkish towel: 7.8%, Pacific dulse: 8.2%, and sea lettuce: 6.2%). Growth of all three species was lowest around winter solstice; with negative growth only observed in sea lettuce. On a dry weight bas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in content existed between the three species with highest values for sea lettuce ($29.5{\pm}1.4%$). Lipid content varied between species (0.95-2.78%) with significantly higher lipid observed in sea lettuce (0.58-4.8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on a seasonal basis among each species. 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3{\pm}0.9$ to $47{\pm}1.2%$ of total amino acids with Turkish towel having the highest value. Turkish towel had a significantly higher taurine level ($0.82{\pm}0.27$) than the other macroalgae. The levels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and heavy metals were low. The estimated annual product of the three species ranged from 50- to $70-mt\;dry\;weight\;ha^{-1}\;y^{-1}$,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ventional crops. Land-based culture of these species can produce year-round harvest, consistent product quality, and low contaminant levels.

'신고' 배의 비중에 따른 과실 품질 특성과 바람들이 발생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ithiness Tissue Occurrence with Fruit Gravities in 'Niitaka' Pear Fruit)

  • 조준식;김월수;이상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45-551
    • /
    • 2010
  • 본 연구는 '신고' 배 품질저하의 주요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람들이과의 확인을 위하여 과실 비중에 따른 배 과실의 품질특성과 바람들이 발생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수확된 과실들의 바람들이 증상 구분은 아르키메데스법을 이용 비중에 따라 구분하였고 과실들의 물성과 당함량을 측정되었다. 최종적인 바람들이과의 확인은 저장한 후 저장 90일째에 각각의 과실을 칼로 잘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알코올 수용성 분획(Alcohol Soluble Solid)과 알코올불용성 분획(Alcohol Insoluble Solid)에서의 칼슘함량을 조사하였다. 비중에 따라 구분한 배 과실 group간 당함량과 산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물성의 차이는 뚜렷했으며 특히 경도는 비중이 낮은 group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이 많아졌으며 이러한 현상은 만개 후 174일과 181일에 수확한 과실들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의 알코올불용성물질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비중이 낮은 과실과 정상과에서의 알코올불용성분획과 알코올수용성 분획에서의 칼슘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았으며, 알코올불용성분획에서 비중이 낮은 과실이 정상과보다 칼슘 함량이 낮았다. 결과적으로 비중이 낮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배 과실의 바람들이과 발생은 저장기간과 조건에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높아졌다.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세포벽에 결합되어 있던 칼슘의 함량이 감소되면서 세포벽의 견고성이 약화되어 바람들이 발생이 높아졌다.

Aspergillus niger에 의한 균본외 Phytase 생산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Extracellular Phytase Production, by Aspergillus niger)

  • 김경환;양호석;최용진;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3-144
    • /
    • 1982
  • 보존균 141주와 토양분리군 41주의 균체 외 phytase 생산능력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으로 곰팡이류가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은 균주를 선별하여 그 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Aspergillus sp. 로 동정되었다. 아울러 분리균주의 효소생산을 위한 배양조건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4$^{\circ}C$에서 3일간 전배양한 종균으로 28$^{\circ}C$에서 5 일간 본배양하였을 때 최고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2. Phytase생산배지의 초기 최적 pH는 2부근이였다. 3. 탄소원으로서는 일반적으로 galactose를 구성단위로 가진 당류는 비효과적인 반면 glucose를 가진 당류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특히 sucrose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4. 무기질소원으로서는 KNO$_3$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무기인산함량이 많은 인산암모늄이 가장 불량하였다. 5. 유기질소원은 0.2%의 corn steep liquor를 첨가했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6. KCl, MgSO$_4$, 및 무기인의 최적농도는 각각 0.5g/$\ell$, 0.5g/$\ell$및 40~80mg/$\ell$였다. 한편 고인산배지에서는 균체증식은 현저히 증가되나 효소합성은 현저히 감소됨을 보였다.

  • PDF

Ultrasonic Degradation of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in Seawater and Brackish Water

  • Park, So-Young;Park, Jong-Sung;Lee, Ha-Yoon;Heo, Ji-Yong;Yoon, Yeo-Min;Choi, Kyung-Ho;Her, Nam-Guk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37-148
    • /
    • 2011
  • In this study,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onducted on the relative degradation of commonly known endocrine-disrupting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BPA) and $17{\alpha}$-ethinyl estradiol (EE2) in a single-component aqueous solution using 28 and 580 kHz ultrasonic reactors.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model water: deionized water (DI), synthetic brackish water (SBW), and synthetic seawater (SSW) at pH 4, 7.5, and 11 in the presence of inert glass beads and humic acids. Significantly higher sonochemical degradation (93-97% for BPA) occurred at 580 kHz than at 28 kHz (43-61% for BPA), regardless of water type. A slightly higher degradation was observed for EE2 compared to that of BPA. The degradation rate of BPA and EE2 in DI water, SBW, and SSW after 30 min of ultrasound irradiation at 580 kHz increased slightly with the increase in pH from 4 (0.073-0.091 $min^{-1}$ for BPA and 0.081-0.094 $min^{-1}$ for EE2) to 7.5 (0.087-0.114 $min^{-1}$ for BPA and 0.092-0.124 $min^{-1}$ for EE2). In contrast, significant degradation was observed at pH 11 (0.149-0.221 $min^{-1}$ for BPA and 0.147-0.228 $min^{-1}$ for EE2). For the given frequencies of 28 and 580 kHz, the degradation rate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glass beads (0.1 mm and 25 g) for both BPA and EE2: 0.018-0.107 $min^{-1}$ without beads and 0.052-0.142 $min^{-1}$ with beads for BPA; 0.021-0.111 $min^{-1}$ without beads and 0.054-0.136 $min^{-1}$ with beads for EE2. A slight increase in degradation of both BPA and EE2 was found as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humic acids) increased in both SBW and SSW: 0.107-0.115 $min^{-1}$ in SBW and 0.087-0.101 $min^{-1}$ in SSW for BPA; 0.111-0.111 $min^{-1}$ in SWB and 0.092-0.105 $min^{-1}$ in SSW for EE2. After 30 min of sonicating the humic acid solution, DOC removal varied depending on the water type: 27% (3 mg $L^{-1}$) and 7% (10 mg $L^{-1}$) in SBW and 7% (3 mg $L^{-1}$) and 4% (10 mg $L^{-1}$) in SSW.

한약재박을 이용한 미생물제제의 개발 (Development of Microbial Inoculant Using By-produ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

  • 주길재;김영목;우철주;이오석;김정웅;소재현;곽윤영;이종진;김진호;이인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01-206
    • /
    • 2005
  • 본 연구는 한약재박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실험의 일환으로 한약재박으로부터 유용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들 미생물로부터 작물생육촉진미생물을 선발하여 한약재박에 적용한 한약재박 미생물제제를 만들어 친환경농업에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한약재박은 유기물 함량이 93.0%로 높고 조단백질 함량이 11.3%, 조지방 함량이 5.1%, NDF 함량이 49.7% 및 ADF 함량이 33.8%로 나타나 미생물제제의 원료로서도 이용 가치가 높았다. 한약재박으로부터 약 35종의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이들 중 13종이 한약재박 이용성이 높았으며, 작물생육촉진미생물 BL-333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BL-333을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및 16S rDNA 염기서열(589 bp)로 상동성을 조사한 결과 Paenibacillus marcerans로 추정되었다. P. marcerans BL-333 균주는 각종 진균에 대해 대부분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Fusarium 속과 Collectotrichum 속 등의 진균에 대해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P. marcerans BL-333 균주와 한약재박 분쇄물 등으로 제조한 미생물제제는 10종의 작물의 생육조사에서 무처리구보다 $3{\sim}24%$ 증수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추, 무, 배추 및 오이 등에서 생육촉진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한약재박 및 한약재박으로부터 얻은 미생물은 퇴비나 미생물제제를 위해 효과적인 재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다고 본다.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에 의해서 생산되는 항균성 물질의 식품 오염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Antibacterial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against Food Spoilage Bacteria)

  • Mok, Jong-Soo;Kim, Poong-Ho;Yu, Hyen-Duk;Kim, Ji-Hoe;Lee, Hee-Jung;Kim, Young-Mo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6-351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발효 식품의 제조에 유용한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 starter의 개발의 일환으로 장내 상존균으로 알려진 Lactobacillus acidophilus group유산균인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균주가 생산한 항균성 물질의 식품오염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내몽골 원산 치즈에서 분리된 L. amylovorus IMC-1 균주는 탈지유배지에서 37$^{\circ}C$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때 최대로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였으며, 더 이상의 배양은 항균성 물질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겔 여과후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오염세균인 Bacillus subtilis IFO 3025, staphylococcus aureus IAM 1011, Listeria monocytogenes VTU 206, Escherichia coli RB. 및 Pseudomonas fragi IFO 3458등과 같은 모든 피검균에 대하여 20units/ml 첨가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 물질은 B. subtilis, E. coli및 Ps. fragi에 대해서는 살균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Staphy. aureu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정균 작용을 보였다. 그 살균 작용은 용균 작용에 기인한 것임이 밝혀졌다. 또한 이 물질은 유기산, 과산화수소 및 단백질성 물질이 아님이 밝혀졌다.

  • PDF

녹변된 마늘의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 황진봉;하재호;박완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4
  • Control, 저온저장한 마늘, 녹변 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의 저장 전후 및 녹변 유발 후의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일반성분과 가용성고형분, pH, 유기산 산도 및 총당 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함량 중 pyruvic arid는 137.1-160.6mg%으로서 총 함량은 687.9-733.7mg% 수준이었다. 마늘의 유리당의 분포는 sucrose, fructose, glucose 순으로 높았으며, 1-kestose, 1-nystose 및 1-F-fructosyl nystose와 같은 fructooligosaccharide도 다소 함유되어 있었다. Control,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에 대하여 allicin는 각각 647.9, 613.8mg 및 648.0mg%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늘에 존재하는 향기성분을 GC/MSD로 조사한 결과 분리된 peak 중 control은 32개, 저온저장한 마늘은 31개, 녹변마늘 은 32개 및 conditioning한 마늘은 32개의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 동정된 향기성분을 계통별로 분류한 결과 sulfide계통의 성분이 11으로 가장 많았으며 acid가 5종, aldehyde가 3종 그리고 기타 13종이었다. Control, 저온 저장한 마늘,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간에 sulfide의 면적을 조사한 결과 disulfide(di-propenyl), 2-thiophene methanethiol, thiophene, 3,4 dihydro-3-vinyl-1,2-dithiin, 2-vinyl-4H-1,3-dithiin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entre에 비해 저온저장한 마늘에서 높게 검출되었으며, 저온저장 후 conditioning과정을 거치면 논았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온저장한 마늘을 마쇄하여 녹변을 유발시킨 마늘시료에서는 저온저장한 마늘보다는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의 물질이 적지만 control이나 conditioning한 마늘보다는 이들 함량이 매우 높음을 관찰한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의 녹변현상은 마늘을 저온저장할 때 di-propenyl disulfide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 pectin질이 축적되었다가 마늘이 마쇄로 alliinase가 이들 물질과 반응하여 녹변색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우리나라 현존 토양정화 기술의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 적용 가능성 검토: 중금속 (Feasibility of Present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in KOREA for the Control of Contaminated Marine Sediment: Heavy Metals)

  • 김경련;최기영;김석현;홍기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076-1086
    • /
    • 2010
  • 해양오염퇴적물 정화기술의 조속한 국내 정착을 위하여, 육상 토양오염 정화공법들이 해양퇴적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해양오염퇴적물 정화사업이 고려되는 울산 방어진과 진해 행암만의 퇴적물을 대상으로 해양오염퇴적물에 활용 가능한 설비를 갖춘 입자분리 및 세척의 세 공법을 사용하여 중금속 제거 가능성을 위주로 평가하였다. 모래에 비하여 중금속 농도가 높은 울산 방어진의 니질 및 점토질에서 각 공법별 중금속 제거 정도는 입자분리의 경우, 비소(As) 81.5%, 수은(Hg) 93.8%이고, 세척의 경우, 카드뮴(Cd) 72.2%, 수은(Hg) 87.1%이며, 같은 분야의 다른 세척의 경우, 카드뮴(Cd) 70.8%, 납(Pb) 65.6%로 나타났다. 실증실험 결과로부터 사용한 입자분리 및 세척 공법은 모래뿐만 아니라 니질과 점토질 크기의 미세입자에 함유된 중금속까지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자분리보다 입경별 분리, 공정수에 의한 세척, 산 또는 유기용매 등 첨가제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반응 등 처리공정으로 구성된 세척공법에 의한 중금속 제거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든 조건에서 처리한 산물의 중금속 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 중 3지역 기준에 적합하므로, 중금속 처리뿐만 아니라 처리한 산물을 육상에서 매립지용 복토재, 토목, 건설용 재생토사 등으로 재이용하기위한 처리기술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Fish Roe Concentrates의 제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Processed Waters의 식품기능성과 생리활성 (Food Functional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Processed Waters Produced during the Preparation of Fish Roe Concentrates by Cook-dried Process)

  • 윤인성;이균우;강상인;박선영;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06-519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ein recovery and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boiled and steamed process water (BPW and SPW, respectively) generated from the preparation of concentrated roe of bastard halibut (BH; Paralichthys olivaceus), skipjack tuna (ST; Katsuwonus pelamis), and yellowfin tuna (YT; Thunnus albacares) using the cook-dry process. The protein loss from the water extracts (EXT) of 100 g of roe protein was 15.05-19.71% an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BPW (5.47-10.34%) and SPW (3.88-8.18%). The foam capacity of BPW (166-203%) and SPW (15-194%) was better than that of EXT.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of the original samples was lower than those ($15.40-107.86m^2/g$) of diluted protein samples.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BPW and SPW were stronger than those of EXT.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XT (0.028-0.045mg/mL) was significantly higher those of BPW and SPW.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of SPW was the highest for BH (1.04 mg/mL), followed by YT and ST. The predominant amino acids in SPW were Glu, Ala, Leu, and Hi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rocessing water containing diluted organic components, including protein, can be consumed directly by humans as a functional reinforcing material after appropriate concentration processes.

싸이클론 재순환, 냉각공정을 이용한 공정가스 정제 연구 (Process gas purification using cyclone recirculation and cooling process)

  • 김주회;조우진;최영태;조영민;김상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5-33
    • /
    • 2018
  • 화석 연료의 고갈과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 중에서 바이오가스는 유기성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혐기성 소화과정인 가수분해(hydrolysis), 산발효(acidogenesis), 유기산발효(acetogenesis), 메탄발효(methanogenesis)의 단계를 거쳐 발생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에너지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가스는 기존의 정제설비로는 제거할 수 없는 높은 미세분진 및 수분 함량으로 인해, 직접연소, 도시가스, 자동차용 연료 등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정제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분진과 수분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정제과정의 전처리 방법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는 냉각공정을 설계하였다.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Cyclone 내 외부에 열교환기와 ID fan을 구성하여 주입되는 가스를 어는점 이하로 냉각시킴으로써 물안개를 형성시켜 분진입자를 제거하고, 일부 가스를 ID fan을 이용하여 재순환시켜 제거하는 고효율 냉각제어공정을 개발하였다. 수분제거는 유량(25~150L/min) 및 상대습도(60~95%)의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수분제거율은 상대습도 $95{\pm}5%$일 때 평균 80.8%, 입자제거율은 입자크기 $2.5{\mu}m$에서 평균 99.78%의 제거효율을 보였고, 수분과 입자의 동시제거효율은 수분 70.86%, 입자 99.67%의 평균값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