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virtu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병원 조직문화 및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s)

  • 이용철;최수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
    • /
    • 2002
  • D. W. Organ(1977) published a paper about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in an organization. Since then, the studies of OCB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s recent business environment has changed with rapidity and uncertainty, OCB for the improvement performance of organiza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Role behaviors of organization are divided into two parts such as in-role behavior and extra-role behavior. In recent, although the researches about extra-role behavior have been studied, they are still not suffici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ample was 193 employee engaged in hospitals of Pusan. In this study I chose four factor(affective, conservative, task and innovative cultur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ree factors (affective, continuous and norma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ive factors(altruism, conscientiousness, courtesy, civic virtue and sportsmanship) with regard to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The major findings of the empirical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 Causal relation of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dimensions of OCB. 1) Affective culture has significant impact on courtesy, civic virtue of OCB. 2) Conservative cultur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all of OCB. 3) Task culture has significant impact on conscientiousness, civic virtue, sportsmanship of OCB. 4) Innovative culture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courtesy, civic virtue of OCB. 2. The Causal relation of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imensions of OCB. 1) Affective commitment has significant impact on all of OCB. 2) Continuous commitment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all of OCB. 3) Normative commitment has significant impact on courtesy, civic virtue of OCB. In brief, though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in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e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al culture of hospitals and organizational comitment of hospitals shows a strong relationship to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 PDF

직무만족이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종업원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Altruism and Civic Virtue: The mediating role of Chinese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 권인수;서문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36-446
    • /
    • 2015
  • 본 연구는 직무만족이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국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중국 종업원 246명으로부터 획득한 자료를 PLS 구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업원의 직무만족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직몰입 역시 이타주의와 시민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몰입은 직무만족과 이타주의 및 시민정신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 종업원들의 이타적 행위와 시민정신을 촉진하는 데 있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조직미덕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과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The impact of virtuous behavior in organization on the employee's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Collective Self Esteem)

  • 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5호
    • /
    • pp.1-34
    • /
    • 2014
  • 본 연구는 조직내부와 조직외부를 향한 조직의 미덕적 행위가 조직구성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1에서는 국내기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국내 기업의 미덕적 행위에 대해서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미덕적 행위가 결과적으로 조직 구성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1의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2에서는 국내 기업 253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1의 결과, 국내 직장인들은 조직미덕을 조직내부(조직 구성원)를 위한 미덕행위와 조직외부(사회)를 위한 미덕행위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을 불러 일으켰으며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는 집단적 자긍심을 발생시켰다. 연구2의 결과,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내부의 미덕적 행위는 정서적 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감정적 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혀냈다. 한편,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 역시 집단적 자긍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외부의 미덕적 행위는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며, 감정적 소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내적·외적 미덕적 행위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질적 연구를 통한 연구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Virtuous Behaviors on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reating research model for the virtuous behavio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 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4호
    • /
    • pp.31-6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변수로 사용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내 구성원들이 받는 미덕적 행위,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에게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로부터 받는 미덕적 행위의 핵심범주를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도출한 후 이들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계하는 것이다. 즉,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을 통해서 도출 된 핵심범주로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서로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들이 조직 동일시,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 정서적 몰입, 감정고갈, 집단적 자긍심의 변수들을 통해 업무성과와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밝혀내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은 국내 5개 소방서를 대상으로 50명의 소방대원들을 인터뷰한 후 이들에 대한 개방코딩과 축 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 후 10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해 낼 수가 있었다. 질적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10개의 핵심범주, 즉 조직 내 구성원들이 주는 미덕적 행위, 조직 내 구성원들이 받는 미덕적 행위, 조직 동일시,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 정서적 몰입, 감정 고갈, 집단적 자긍심이 인과적 영향관계를 맺으며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질적 연구 방법론에 기반 하여 최종적으로 조직 내 구성원들이 서로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들의 핵심범주를 도출해 내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소방대원들이 조직 내 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와 조직 외 사회구성원들과 주고받는 미덕적 행위에 대한 핵심범주들이 질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도출되어 최종적으로 이들이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PDF

병원간호사의 조직후원인식이 직무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spital Nurs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김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80-490
    • /
    • 2013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done to identify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in hospita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1 to Nov. 15, 2011.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24 nurses working in 6 general hospitals in S, K, and C c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O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involvement, and OCB (altruism, conscientiousness, courtesy, sportsmanship and civic virtue). Factors influencing job involvement were POS and marital status, which accounted for 15.7% of the variance, marital status influenced altruism, which accounted for 4% of the variance, POS influenced conscientiousness, which accounted for 10% of the variance, religion and marital status influenced courtesy, which accounted for 6.5% of the variance, age influenced sportsmanship, which accounted for 7.9% of the variance, and POS and clinical career influenced civic virtue, which accounted for 23.1% of the variance. Job involvement mediated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hospital administrators should explore ways of improve POS for better job involvement, conscientiousness, and civic virtue.

조직 미덕(virtue)과 상사-구성원 관계(LMX)가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실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Virtues and leader member exchange within Organization on Workplace-Incivility and Affective Commit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onscientiousness -)

  • 전혜린;고성훈;문태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49-6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 내 무례함(Workplace-incivility)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조직 미덕(Virtue), 상사 구성원 관계(Leader Member Exchange)가 조직 내 무례함에 부(-)의 영향을 미치게 될지 실증하는 것이고, 둘째 조직 내 무례함이 정서적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검증하는 것이다. 셋째, 성실성이 조직 내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Affective commitment)간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실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연구를 위해 국내 직장인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조직 미덕과 상사-구성원 관계가 조직 내 무례함에 부(-)의 영향을 미쳤고, 조직 내 무례함 역시 정서적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조직 내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에서 성격 5요인 중 성실성이 낮을수록 조직 내 무례함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부(-)의 영향이 더욱더 강화된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내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보여주었다는데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또한 조직 내 무례함과 정서적 몰입간의 관계에서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경찰관들이 경험하는 컴페션(Compassion)과 미덕(Virtue)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and Virtue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and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 조승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찰관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긍정적 감정이 종속변수인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 미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넷째,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은 전국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서에 근무하는 남 녀 경찰관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가설검증에 이들 표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찰관이 경험한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고, 긍정적 감정이 조직 동일시 현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컴페션과 미덕, 조직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엄격한 위계관계가 유지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찰 조직에 컴페션과 미덕적 행위를 확산시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조성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간호 조직문화 7S 요인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7S Factor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하나선;박효미;최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5-264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7S factor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 The data were gathered from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f 717 nurses who work for eight different general hospitals located around Seoul and Kyounggi province.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7, 2002.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ing analysis, and t-test with SPSS Program were used. Result: The nurses who highly perceived 7S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mparison with the nurses who lowly perceived 7S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nurses who highly perceived 7S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hig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comparison with the nurses who lowly perceived 7S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subdimens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truism and civic virtue were significant.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the high group with 7S factor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has strong culture, therefore nursing organization with strong culture is very implicative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PDF

중소제조기업근로자의 상사에 대한 신뢰와 조직시민행동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적 역할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Superior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in Small-Medium 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 윤두열;이상훈;오주연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31-344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upervisor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n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on OCB. Using the sample of 282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employees, this study analyzes three alternative hypotheses centered around supervisor trust, organizational trust, and OCB. The results show that supervisor trust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OCB. Second, organizational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OCB. Third, this research proves that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exist between supervisor trust(relational trust) and OCB(civic virtue, sportsmanship). Finally, this research proves that a full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exists between supervisor trust(calculative trust) and OCB(sportsmanship). This study recommends supervisor trust, organizational trust be valued in order to increase OCB vital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 productivity in small-medium 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조직시민행동의 리더십 영향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Trust on Leadership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조병하;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04-217
    • /
    • 2008
  •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리더십의 주요 하위변수가 조직시민행동의 각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차원적 신뢰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지의 여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고려 리더십이 지식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파워먼트 리더십의 영향력이 지식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식적 신뢰가 이타심, 참여적 행동,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도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검정 되었다. 둘째, 개별고려 리더십이 이타심과 참여적 행동 그리고 정당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정은 모두 유의적이지 못하여 기각되었고, 또한 영향력이 이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검정은 “영향력이 참여적 행동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가설만 채택되고, 나머지 두 개의 가설은 유의적이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따라서 검정결과 지식적 신뢰가 리더십 요인(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