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utdoor wayfinding performance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Wayfinding Performance in an Outpatient Clinic -Focused on Outdoor Space from Driveway to Entrance- (외래 클리닉에서의 길찾기 행위 -진입로에서 출입구까지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 Kim, Duk-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7 no.2
    • /
    • pp.53-59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텍사스 주의 소도시에 있는 스캇 앤 화이트 클리닉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하여 외래환자와 방문객들이 직면하는 길찾기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클리닉의 외부공간으로 한정하여 진입도로에서 진입하여 주차한 후 출입구에 도달하는 경로에서 관찰되는 행태적 특성을 분석한다. 분석의 초점은 진입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경로선택의 결정과 그것이 클리닉에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 결정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둔다. 분석은 외부공간에서의 길찾기에 관한 기존 연구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한 연구모형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보면, 이용자들이 보이는 날씨, 성별, 그리고 나이에 따른 길찾기 행태의 차이를 클리닉의 남동측 출입구와 남서측 출입구에서 발생하는 이용자들의 하차 빈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차의 위치를 행태 지도에 기록하여 연구모델에 나타나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길찾기 행태분석 결과를 통해 파악된 외부주차장에 주차한 후 클리닉에 접근하는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의 문제점과 클리닉의 입구 공간에서 하차한 이용자들의 입구선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하여 외부공간에서 발생하는 길찾기 행위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디자인 추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기 위해 남서쪽 출입구의 형태와 색채 차별화; (2) 도로에서 클리닉 진입공간에 위치한 안내판의 글자 크기 확대; (3) 학습된 길찾기 행태를 보조하기 위해 동쪽에 랜드마크 시설물 설치 및 목적 지점의 최종경관 개선; (4) 과도한 클리닉의 정보에 의해 감소되는 가독성을 고려하여 안내판의 정보 간략화; (5) 색채의 대조를 고려(출입구 벽에 설치된 클리닉의 이름이 갈색에 푸른색으로 설치되어 있어 색채의 대비가 낮아 가독성 떨어짐); (6) 클리닉 중앙 출입구의 하차 공간 상부에 설치된 캐노피 기둥의 과도한 크기에 의해 발생하는 가시공간의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하차 공간 사용의 혼잡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기둥규모 축소; (7) 하차점 6까지 캐노피를 확장하여 우천시에 발생하는 공간 사용의 문제점 제거; 그리고 (8) 올바른 하차공간 사용을 위해 진입 접근도로에 차선 설치.

Path Selection Strateg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 Navigation Task (어디에 표지판을 세울 것인가? 길 안내 과제를 통한 개인의 공간인식 및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

  • Lee, Jong-Won;Harm, Kyung-Rim;Yoon, Sae-Ra;Baek,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1
    • /
    • pp.144-164
    • /
    • 2010
  • This study aims to reveal path selection strategi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a navigation task. Two experiments were presented that studied human route plann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cognitive strategies and processes involved. For the outdoor task,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select a route based on the instruction, i.e. to find the best route from the campus main gate to the Education Building for conference visitors by locating eight signposts. Results indicate (1) that locations of signposts were selected preferably at decision points where the traveler needs to make a choice and starting/ending points of the navigation task and (2) a variety of route planning strategies considering efficiency goal (e.g., the shortest pa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g., fewest turns), and aesthetic purpose (e.g., most scenic) were used. It is notable that some participants took into account more than one path by locating one or two signposts on an alternative route while others preferred a linear route connecting signposts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destination. Prior to the main experiment, the sam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ame task inside the classroom to investigate changes in strategies between two tasks. Participants often tend to place signposts at more regular intervals for the indoor navigation task than the same task conducted out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