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crowded citi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초고층 건축물의 거주자 생활환경을 위한 평가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 point of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of a dweller's life environment at skyscraper)

  • 이건;김길중;이현철;박현구;고성석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55-360
    • /
    • 2009
  • Nowadays, the condition of overcrowded cities has raised a question which is insufficient land in cities, and has gotten worse because of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continuously. It has rapidly constructed a skyscraper increasingly that the solution to secure a living space against these overcrowded cities until 2000, but these are already positioning itself as one of the new type of residence. The necessity of skyscraper as facilities of residence inside cities has be available both a solution for overcrowded cities and a meaning for a symbol of its represented a landmark. However, constructing skyscrapers indiscreetly can not guarantee dweller's life environment, and it contains risks unless design and facilities criteria are provided. Now, a skyscraper as a new substitute constituting a living space in the future for overcrowded cities deals with a systematic correlation between a city and construc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ere to indicate a method for improvement of dweller's life environment at skyscraper through establishing a point of reference to inculcate them for a sustainable skyscraper from now on.

  • PDF

도로교통소음에 대한 고층건물의 외부 소음분포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Road Traffic Noise Distribution around the High-Rise Building)

  • 정석환;김대웅;임태섭;김병선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87-1092
    • /
    • 2006
  • Recently, traffic noise level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crowed caused by recently overcrowded and overgrown cities, and increasing traffic volume is emerging as a major factor of disrupting the living and working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citizens are increasingly complaining about the traffic noise. The noise level of in major cities in Korea is serious and affects on citizen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Many people live in residential areas around crowed roads in major cities, such as Seou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outside noise distribution of building through survey and simulation to make better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ffic noise is influenced from ground 50m and analyzed that form of building and arrangement type must be considered to the level of noise decrease.

  • PDF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Dwelling Environment Performance at Skyscraper)

  • 박현구;양승희;고성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9-89
    • /
    • 2009
  • 과밀 도심의 주거공간 확보 해결책으로 2000년 초부터 도심지내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거유형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도심 주거시설로써 초고층 건축물의 필요성은 과밀화 현상의 해결 효과와 함께 도시의 상징을 표현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가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은 거주자의 생활환경을 보장해주지 못하며, 설계, 시설기준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한 위험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제 초고층 건축물은 단순한 이미지와 상징성을 떠나 미래의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도시와 건축의 유기적인 상호관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거주환경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통해 각 영역/범주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정립하고, 향후 초고층 건축물 계획시 거주환경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Innovation and craft in a climate of technological change and diffusion

  • Hann, Michael A.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5호
    • /
    • pp.708-717
    • /
    • 2017
  • Industrial innovation in Britain, during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stimulated the introduction of the factory system and the migration of people from rural agricultural communities to urban industrial societies. The factory system brought elevated levels of economic growth to the purveyors of capitalism, but forced people to migrate into cities where working conditions in factories were, in general, harsh and brutal, and living conditions were cramped, overcrowded and unsanitary. Industrial developments, known collectively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were driven initially by the harnessing of water and steam power, and the widespread construction of rail, shipping and road networks. Parallel with these changes, came the development of purchasing 'middle class', consumers. Various technological ripples (or waves of innovative activity) continued (worldwide) up to the early-twenty-first century. Of recent note are innovations in digital technology, with associated developments, for example, i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3-D printing, materials technology, computing, energy storage, nano-technology, data storage, biotechnology, 'smart textiles' and the introduction of what has become known as 'e-commerce'. This paper identifies the more important early technological innovations, their influence on textile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the changed role of the designer and craftsperson over the course of these technological ripples. The implications of non-ethical production, globalisation and so-called 'fast fashion' and non-sustainability of manufacture are examined, and the potential benefits and opportunities offered by new and developing forms of social media are considered. The message is that hand-crafted products are ethical, sustainable and durable.

도시의 쇠퇴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도시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Urban Declin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Residents)

  • 권오규;강은택;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5권2호
    • /
    • pp.33-47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쇠퇴가 주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 도시들을 규모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도시규모별 쇠퇴정도에 따른 전반적 생활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 만족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도시쇠퇴의 진행과 삶의 만족감 변화의 동태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거주하는 도시의 규모에 따라, 부문별 삶의 만족감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대도시 주민의 경우 도시쇠퇴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감은 감소하나, 과밀 해소로 인한 사회적비용의 감소로 전반적 생활만족감은 증가하였다. 이와 달리 소도시 주민의 경우에는 도시의 쇠퇴가 전반적 삶의 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만족감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간정보를 활용한 대도시권역 비상시 에너지 수요량 예측 (Energy Demand Estimation in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Emergency using Spatial Information)

  • 남경목;이홍철;이동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05-112
    • /
    • 2019
  • 이상고온 현상으로 전력수요가 예측치를 초과하여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과밀화된 도시의 경우, 예상치 못한 에너지 수급 차질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고 도시기능을 마비시키는 중요한 위협요소이다. 기존 비상전력 수요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도시의 공간적 차원에서 현실적 수요량을 추정할 수 없어 비상시 예비전력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본 논문은 도시의 공간정보와 건축물 용도별 평상시 에너지소비 원단위, 비상시 전력수요 원단위를 활용하여 비상전력수요의 공간적 분포를 규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비상전력 수요량을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지하구조물건설 현장지원 통합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for Introducing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Underground Construction)

  • 백현기;장용구;서종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D호
    • /
    • pp.513-522
    • /
    • 2010
  • 도시인구 과밀현상, 지상도로교통망 포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 토지활용방안으로 지하도로교통망, 복합단지, 저장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지하구조물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구조물 시공 시 열악한 환경에 적합한 작업자의 3차원 위치와 통신 연락을 위한 현장지원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분석을 위해 터널 및 지하철건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작업자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현행 지하구조물 건설 현장관리 프로세스 분석, 문제점 파악 및 시스템 도입을 통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편익의 정량적 도출을 실시하였으며, 본 시스템 도입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고감소, 현장관리비 절감, 생산성 향상을 편익으로 추정하고 경제성 분석기법인 편익/비용비(B/C), 순 현재가치(NPV), 내부수익률(IRR)을 활용하여 시스템 도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편익/비용비는 1.79로 도출되었으며, 순현재가치와 내부수익률은 각 103,423,797원, 47.01%로 산출되어, 본 시스템 도입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변수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형 입면녹화의 시각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Satisfaction of a Panel-type Facade Planting)

  • 한승호;김선혜;송규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3-59
    • /
    • 2008
  • 도시가 산업화 되어가면서 도심의 토지이용이 과밀화되고 건축물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건축물 녹화가 옥상 및 벽면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입면녹화의 경우 건물이 고층화 되면서 입면적이 넓어 벽면녹화가 도심에서 효과적인 녹화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패널타입의 녹화수법은 조기 녹화와 설치 시공의 편리함으로 점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패널타입에 대 한 연구는 대부분 식생 하부 시스템이나 관수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관 중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널형 입면녹화의 경관평가를 통하여 선호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설문은 패널형 입면녹화가 설치된 장소의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직접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스럽다는 형용사에서 3.8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이는 옹벽이나 건축물 벽면이 드러나는 것보다 녹화를 하는 것이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친근한(3.70), 편안한(3.65), 아름다운(3.65), 안정감 있는(3.50)가 긍정적인 경관이미지로 나타났다. 반면 정적인, 적막한, 소박한, 무거운, 우중충한, 어두운, 지저분한의 부정적 경관 이미지가 나타났는데, 이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패널형 입면녹화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공간 회귀분석을 활용한 긴급차량 출동 지연요소의 우선순위 도출 - 서울시를 중심으로 - (Deriving the Priority of Emergency Vehicle Dispatch Delay Factor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Focusing on Seoul -)

  • 박준상;이수빈;김정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2호
    • /
    • pp.67-77
    • /
    • 2023
  • 도시가 과밀화, 집중화됨에 따라 도시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중 소방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의 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민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영향을 미쳐 중요한 공공서비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골든타임 내 환자 및 의료기관의 신속한 이동과 적절한 응급처치는 응급상황 시 필수적인 요소로 서울은 약 1천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초대형 도시로 응급의료 환자가 매우 많은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서울시의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긴급차 출동 시간은 토지이용 특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혼합도, 상업지역 밀도, 평균 환자 연령, 평균 도로길이 순으로 응급차 출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의 정확한 이해와 우선순위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