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fimbriae subtype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4초

요로 감염환자에서 혈청학적 방법을 이용한 P-pili특이혈중 항체의 조사 (Serological Studies on the Specific Antibodies Against P-pili of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이원용;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1-40
    • /
    • 1996
  • 비뇨기계 병원성 대장균의 중요한 병원성 인자 중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는p-fimbriae의 subtype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요로감염증으로 확진된 환자의 혈청을 이용하여 immunoblotting 을 실시하였고, 이와 동시에 효소면역 측정법을 실시하여 p-fimbriae특이 항체 보유를 확인하였다. Immunoblotting 결과 우리나라 요로감염증환자에서 높은 빈도로 확인되는 p-fimbriae subtype의 분포는 $F7_1$34(56.7%), $F7_2$28(46.7%), F13 30(50%)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효소면역측정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P-pili를 순수분리하지 않고 whole cell을 이용한 효소면역 측정법은 교차반응 때문에 비뇨기 감염증의 혈청학적인 진단에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 나라의 요로감염 환자에서 항체 양성율이 높은 $F7_1$, $F7_2$, F13만을 혼합하여 항원으로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특이도와 민감도가 각각 92.6%, 90%로 나타나, 이와 같은 방법을 임상진단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