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ge coloring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9초

내장형 GPU 환경에서 CPU-GPU 간의 공유 캐시에서의 캐시 분할 방식의 필요성 (The Need of Cache Partitioning on Shared Cache of Integrated Graphics Processor between CPU and GPU)

  • 성한울;엄현상;염헌영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07-512
    • /
    • 2014
  • 최근 전력의 한계 때문에 많은 트랜지스터를 모두 이용할 수 없는 '다크실리콘' 문제가 발생했다.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함께 사용하여 분산처리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가 메모리와 Last Level Cache를 공유하는 내장형 GPU 프로세서(Integrated graphic processing unit processor)가 등장했다. 하지만 CPU 프로세스와 GPU 프로세스가 LLC(Last level cache)로 접근하기 위한 어떠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동시에 CPU 프로세스와 GPU 프로세스 수행될 때 LLC(Last level cache)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일어나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캐시 접근 빈도가 큰 여러 개의 프로세스들이 수행됨에 따라 캐시 오염이 발생한 상황에서 GPU 프로세스의 성능 보장을 위하여 GPU 프로세스만을 위한 고정된 Last Level Cache 공간을 주는 캐시 분할방식이 필요함을 증명하고 캐시를 분할하기 위한 페이지 컬러링 기법을 소개하고 디자인한다.

하드웨어 캐시 파티셔닝과 소프트웨어 캐시 파티셔닝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Hardware & Software Cache Partitioning Techniques)

  • 박지웅;염헌영;엄현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2호
    • /
    • pp.177-182
    • /
    • 2015
  • 오늘날에는 코어당 클락 속도 발전이 한계에 부딪히게 되면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최근에는 서버나 데스크톱 환경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프로세스간 성능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캐시 파티셔닝 기법은 소프트웨어적인 방법과 하드웨어적인 방법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동적 캐시 파티셔닝시에 소프트웨어 캐시 파티셔닝 기법은 페이지 복사 오버헤드로 인해서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 힘든데, 이에 반해서 하드웨어 캐시 파티셔닝은 이러한 페이지 복사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용 프로세서 중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캐시 파티셔닝 기능을 제공하는 AMD Opteron 프로세서에서 소프트웨어적 캐시 파티셔닝 기법인 페이지 컬러링과 하드웨어 캐시 파티셔닝의 성능을 정적 캐시 파티셔닝 환경에서 비교해봄으로써, 하드웨어 캐시 파티셔닝의 동적 캐시 파티셔닝 활용 가능성 여부를 알아본다.

머캅탄류 검출을 위한 Thiobacillus thiooxidans가 생산하는 메칠머캅탄 산화효소의 분리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Methyl Mercaptan Oxidase from Thiobacillus thiooxidans for Detection of Mercaptasn)

  • 김상준;신현재;이대실;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45-149
    • /
    • 2000
  • Thiobacillus thiooxidans KCTC2505에서 메칠머캅탄(MM) 가스를 기질로 메칠머캅탄 산화효소(MMO)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DEAE-Sephacel과 Superose 1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 효소의 비활성은 각각 19.7과 80.1 units/mg-protein이었으며 효소의 최적 온도는 $43^{\circ}C$였다. 상기 정제된 효소액은 SDS-PAGE상에서 68.1 kDa의 분자량을 가진다. 이 효소는 암모늄염의 존재하에서는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KCl 존재하에서는 감소하였으며 NaCl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에탄올, 메탄올, 글리세린의 첨가에 대해 효소활성은 부분적으로 불활성화되었으며 아세톤의 경우에는 완전히 저해되었다. Purpald 발색법을 이용한 흡광도의 변화는 구강내 존재하는 MM 가스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수 십 nmol의 범위의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해 눈으로 인지가능한 발색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Methyl Mercaptan Oxidase from Rhodococcus rhodochrous for Mercaptan Detection

  • Kim, Sang-Joon;Shin, Hyun-Jae;Kim, Yeu-Chun;Lee, Dae-Sil;Yang, Ji-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6호
    • /
    • pp.465-468
    • /
    • 2000
  • Methyl mercaptan oxidase was successfully induced from Rhodococcus rhodochrous IGTS8 using methyl mercaptan gas and purified to homogeneity for the detection of mercaptans. The purification procedure involved DEAE-Sephacel and Superose 12 column chromatography with recovery yields of 85.8 and 83.3%, and a specific activity of 92.7 and 303.4 units/mg-protein,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of purified methyl mercaptan oxidase was determined to be 64.5 kDa by SDS-PAGE. The extract from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oxidizes methyl mercaptan to produce formaldehyde, which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purpald-coloring method. Optimum temperature for activity was achieved at 60$^{\circ}C$. This enzyme was inhibited by both K$_2$SO$_4$and NaCl at concentration of less than 100mM and recovered to original activity at concentration of 200mM. In the presence of methanol, the activity decreased by 33%.

  • PDF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ethyl Mercaptan Oxidase from Thiobacillus thioparus for Mercaptan Detection

  • Lee, Hyun-Ho;Kim, Sang-Joon;Shin, Hyun-Jae;Park, Ji-Yeon;Yang, Ji-W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6호
    • /
    • pp.375-379
    • /
    • 2002
  • Methyl mercaptan oxidase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iobacillus thioparus TK-m using methyl mercaptan gas, and was purified for the detection of mercaptans. The purification procedure Involved a DEAE (diethylaminoethyl) -Sephacel, or Superose 12, column chromatography with recovery yields of 47.5 and 48.5%, and specific activities of 374 and 1240.8 units/mg-protein, respectively,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methyl mercaptan oxidase was 66.1kDa, as determined by SDS-PAGE. The extract, from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oxidizes methyl mercaptan, producing formaldehyde, which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purpald-coloring method. The optimized temperature for activity was found to be at 55$\^{C}$. This enzyme was inhibited by both NH$_4$Cl and (NH$_4$)$_2$SO$_4$, but was unaffected by either KCl or NaCl at less than 200 mM. With K$_2$SO$_4$, the activity decreased at 20 mM, but recovered at 150 mM. In the presence of methanol, full activity was maintained, but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glycerin, ethanol and acetone 43, 78 and 75%, respectively.

실행 코드 영역 프로파일링을 통한 MFU 기반 페이지 컬러링 기법 (MFU-based Page Coloring Scheme through Application Code Profiles)

  • 김정훈;김인혁;엄영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6-249
    • /
    • 2011
  • 페이징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환경에서는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가상 페이지가 임의의 물리 페이지로 매핑이 되므로 캐시 인덱스 충돌로 인한 캐시 미스율이 증가한다. 이를 하드웨어의 지원 없이 해결하기 위해 페이지 컬러링 기술은 처음 연구되기 시작하였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페이지 컬러링 기술은 컬러링 정책을 먼저 정해놓고 컬러링을 하는 정적 페이지 컬러링, 그리고 동적프로파일링을 통해 프로세스의 데이터 영역 접근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컬러링을 하는 동적 페이지 컬러링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두 가지 방법 모두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먼저 정적 페이지 컬러링은 프로세스의 동작을 프로파일링 할 수 없기 때문에 컬러링으로 인한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없고, 동적 페이지 컬러링은 동적 프로파일링을 하고 이를 통해 재컬러링(recoloring) 하는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실행 코드 영역 프로파일링을 통한 MFU(Most Frequently Used) 기반 페이지 컬러링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동적으로 프로세스 코드 영역을 프로파일링 하여 실행 점유율이 높은 영역을 알아낸 뒤, 이를 기반으로 정적 페이지 컬러링을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이 가진 단점을 해결하고, 캐시 성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중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III)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 Kyung, Yoon-In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3-143
    • /
    • 1997
  • The purposes of the study is to see as to how much of changes has occurred in the newly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required by the 6th Curriculum as compared to those by the former the 5th Curriculum, and to seek future policy directions which can be improved even better, if any, for further revision.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8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1997 geared for the 6th Curriculum for data base.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divides into two major parts. The first part falls into a category of holistic analysis of the textbooks, which gives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changes in the textbook revised. It includes those areas of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pages, cover page, illustrations, table of contents, appendices, unit cover, introductory remarks, summary and evaluation, etc. It also covers the information on authors of textbook. The latter part consists of several specific areas of major changes occurred in the textbooks for the 6th Curriculum. It covers such areas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ategory and its weight, laboratory experiences, and illustrations and tables. To conclude the study, among many findings, two major points are of great importance to mention here. First, the new textbooks have adopted more of varieties in physical appearances and contents per se as to the older ones. And yet, there still found a weakness in numbers of authors participated to a full reflection of contents variety.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authors reflected on an unrealistic idealism which lacks the on-si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hool teachers. Second, the strict regulations cre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developing textbook found restricting the authors creativity and thus contents variety of textbooks. Those restricting factors include letter type and size, coloring, paper quality, and volume size.

  • PDF

중학교 가정 교과서 분석 연구(I)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 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91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as to how much of changes has occurred in the newly revised Home Economics Textbooks required by the 6th Curriculum as compared to those by the former 5th Curriculum, and to seek future policy directions with can be improved even better, if any, for further revision.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8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1995 geared for the 6th Curriculum for data base.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divides into two major parts. The first part falls into a category of holistic analysis of the textbooks, which gives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changes in the textbook revised. It includes those areas of changes in the total number of pages, cover page, illustrations, table of contents, appendices, unit cover, introductory remarks, summary and evaluation, etc. It also covers the information on authors of textbook. The latter part consists of several specific areas of major changes occurred in the textbooks for the 6th Curriculum. It covers such areas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category and its weight, laboratory experiences, and illustrations and tables. To conclude the study, among many findings, two major points are of great importance to mention here. First, the new textbooks have adopted more of varieties in physical appearances and contents per se as to the older ones. And yet, there still found a weakness in numbers of authors participated to a full reflection on contents variety. In addition, the background of authors reflected on an unrealistic idealism which lacks the on-sit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hool teachers. Second, the strict regulations cre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developing textbook found restricting the authors creativity and thus contents variety of textbooks. Those restricting factors include letter type and size, coloring, paper quality, and volume size.

  • PDF

철제 스테이플이 박힌 책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stapled books: Rebinding using colored iron cores)

  • 하효진;최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2
    • /
    • 2014
  • 본 논문에서 보존처리 한 책은 1935년 일본사에서 발행된 "위인최후(偉人最後)の언엽집(言葉集)"이다. 1900년대 초반의 책들은 대부분이 산성지로 되어있어 책의 산도가 높고 스테이플로 인한 갈변현상이 심하다. 본 시료도 갈변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책의 pH가 3.2로 매우 낮았다. 스테이플에 의한 갈변 이외에 종이 전체의 색이 많이 변하였으며, 종이 자체의 산성도로 인하여 종이가 바스러지는 현상이 보였다. 스테이플 철심을 제거한 후 건식, 습식클리닝을 행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가볍게 프레스하여 종이를 건조시킨 후, 미농지($4g/m^2$)를 사용하여 속지와 겉 표지를 배접하여 보강처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이플 심을 대신하여 실이나 종이로 다시 묶는 기존의 보존처리 방법과 다르게 기존의 스테이플과 유사한 철심을 만들어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는 작업을 하였다. 복원 하기 위해 스테이플의 두께와 비슷한 철사를 사용하였고, 착색액 ($H_2O$, $C_2H_5OH$, $CuSO_4{\cdot}5H_2O$, $FeCl_3{\cdot}6H_2O$)에 넣어 부식된 스테이플 심과 유사한 색으로 착색하였다. 마지막으로 20%의 paraloid B-72로 방식처리를 하여 차후의 부식을 예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