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al query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스트림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구동형 질의처리 기법 (A Data-Driven Query Processing Method for Stream Data)

  • 민미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41-546
    • /
    • 2007
  • 많은 양의 연속적인 스트림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연속적인 질의처리의 경우는 전통적 방식의 요구구동형 질의처리 방식이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자료구동형 방식을 도입하여 질의를 처리함으로써 스트림 데이터에 알맞은 질의처리 기법을 제안하고 질의계획의 구조와 질의실행 방식을 설명하였다. 제안된 질의처리 기법은 다중질의 처리가 가능하며, 질의 간에 공유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분질의의 실행결과가 저장됨으로써 실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질의처리 모델에 XML 데이터와 XQuery 질의를 적용하였다.

  • PDF

역방향 레이블 경로를 이용한 XML 문서의 선형 경로 질의 처리 (Linear Path Query Processing using Backward Label Path on XML Documents)

  • 박충희;구흥서;이상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766-772
    • /
    • 2007
  • XML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XML 저장과 질의 처리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경로 질의 처리에 대한 연구들은 한 개의 대규모 XML 문서나 동일한 구조를 가진 문서들에 대한 저장, 검색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상이한 구조를 가진 대규모 문서들에 대해서 부분 매치 질의(partial match query)를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대규모 문서들에 대해서도 부분 매치 질의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관계형 테이블을 이용한 새로운 인덱스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경로 정보를 저장할 때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순방향 레이블 경로 대신 역방향 레이블 경로를 사용하여 $B^+$-트리 인덱스를 구축함으로써 부분 매치 질의 처리시 구축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질의에 해당되는 레이블 경로들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완전 매치와 부분 매치 검색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 Exact Match and a Partial Match as an Information Retrieval Technique))

  • 김영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9-95
    • /
    • 1990
  •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고 개발된 여러 검색 기법을 검색된 문헌 집합의 특성과 사용된 표현에 의해서 완전 매치 검색과 부분 매치 검색으로 구분하였다. 완전 매치는 부울 논리가 그 대표적이며 현행 대부분의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색 기법이다. 부분 매치는 부울논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으로서 많은 연 구가 있었으나 그 본질은 부울 논리 구조안에서 검색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질수 밖에 없다 하겠다. 대표적인 예로 확률 검색, 벡터 공간 모델, 그리고 퍼지 집합을 대상으로 두 검색 기법을 비교하고 앞으로의 검색 기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Boundary Matching System Supporting Partial Denoising for Large Image Databases

  • Kim, Bum-Soo;Kim, Jin-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35-40
    • /
    • 2019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partial denoising boundary matching system using indexing techniques. Converting boundary images to time-series makes it feasible to perform a fast search using indexes even on a very large image database. Thus, using this converting method we develop a client-server system based on the previous partial denoising research in the GUI(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The client first converts a query image given by a user to a time-series and sends denoising parameters and the tolerance with this time-series to the server. The server identifies similar images from the index by evaluating a range query, which is constructed using inputs given from the client and sends the resulting images to the clie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provides many intuitive and accurate matching results.

군 USN 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및 질의 처리 방법 연구 (Efficient Data Storage & Query Processing Methods in Military Ubiquitous Sensor Networks)

  • 권영모;최현식;정연돈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75-885
    • /
    • 2010
  • Recently, the role of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has been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supporting the near future Network Centric Warfare(NCW) and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TICN). In this paper, we explore a set of data storage methods(external storage, local storage and data storage) and query processing methods in WSN. In particular, we focus on analyzing a novel dat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local storage method, named the partial ordered tree(POT). The main idea behind POT is that sensor readings are usually correlated with the physical spatial domain. With the help of POT, only a small portion of sensor nodes participate in query processing tasks, and thus network lifetime is greatly increased. Through a series of simulation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at the POT based local storage method clearly outperforms the existing data storage methods in terms of the energy-efficiency, which directly affects the network lifetime, for processing exact match queries, range queries and top-k queries.

효율적인 Pruning 기법을 이용한 부분 영상 검색 (Partial Image Retrieval Using an Efficient Pruning Method)

  • 오석진;오상욱;김정림;문영식;설상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45-152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사용자에게 유용한 디지털 영상들이 지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내용 기반 영상 검색(CBIR ; Content-based Image Retrieval)은 가장 활발한 연구 분야 중 하나가 되었다 다양한 영상 검색 방법은 입력 질의 영상이 주어졌을 때, 질의와 유사한 영상들이 칼라(color)나 질감(texture) 같은 저 수준 특징을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되도록 제안되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 검색 방법의 대부분은 부분 정합에 필요한 복잡도(complexity)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내 전체 영상의 부분 영상을 입력 질의 영상으로 했을 경우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두 영상 사이의 칼라 히스토그램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부분 영상 정합에 대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접근 방법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검색 공간을 pruning시키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부분 영상 정합을 통해 후보 영상들의 순위를 정하는 블록 기반 검색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는 pruning없이 부분 영상 정합만 사용하여 검색했을 때 시스템의 응답 시간이 높다고 가정을 하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준다.

Spatial Query Processing Based on Minimum Bound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Yang, Sun-Ok;Kim, Sung-Suk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5권4호
    • /
    • pp.229-236
    • /
    • 2009
  • Sensors are deployed to gather physical, environmental data in sensor networks. Depending on scenarios, it is often assumed that it is difficult for batteries to be recharged or exchanged in sensors. Thus, sensors should be able to process users' queries in an energy-efficient manner. This paper proposes a spatial query processing scheme- Minimum Bounding Area Based Scheme. This scheme has a purpose to decrease the number of outgoing messages during query processing. To do that, each sensor has to maintain some partial information locally about the locations of descendent nodes. In the initial setup phase, the routing path is established. Each child node delivers to its parent nod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tself and all of its descendent nodes. A parent node has to maintain several minimum bounding boxes per child node. This scheme can reduce unnecessary message propagations for query processing. Final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부분 속성값을 활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질의처리 (Energy-efficient query processing based on partial attribute valu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김성석;김형순;양순옥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3호
    • /
    • pp.137-145
    • /
    • 2010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센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응용에 따라 단순히 주변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보다는 그 자체가 계산 기능을 가지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센서를 활용한 과제에서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에너지의 효율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속성 질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센서들은 모든 자식 노드들의 속성값에 대한 부분 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정보의 양이 너무 커지면, 정보 유지 비용이 커지게 된다. 또한 정보의 갱신 비용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각 노드가 수집한 속성값 자체를 전달하는 대신 그 값의 범위를 표현한 비트값 즉, AVB(Attribute-Value Bits),을 보내도록 한다. 이는 적은 공간으로 모든 자손노드들의 속성값에 대한 영역 범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질의 처리 과정동안 필요한 메시지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다양한 속성을 살펴보았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중 질의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질의 처리 기법 (Energy Efficient Query Processing based on Multiple Query Optim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유원;정은호;함덕민;이충호;이용준;이기용;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1호
    • /
    • pp.8-21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작은 크기의 센서 노드들과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센서 노드들은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받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한된 에너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얻을 때는 질의를 작성하는데, 여러 개의 질의가 센서 네트워크에 요청되었을 때 이들의 실행을 최적화시키면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 여러 개의 질의가 요청될 때, 질의 간의 포함관계를 활용하여 질의 실행을 최적화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질의가 새로 요청될 때, 센서 네트워크에서 실행 중인 질의들 중 새로 요청된 질의의 결과를 조합해낼 수 있는 질의들의 집합을 찾아낸다. 이 집합은 질의들의 샘플 주기, 프로젝션되는 어트리뷰트들, 그리고 조건절을 기준으로 구성된다. 이 집합에 속한 질의들의 결과로부터 새 질의를 센서 네트워크에서 실행시켰을 때와 동일한 결과를 유도해낼 수 있으면, 새 질의를 센서 네트워크에 전달하지 않고, 이 집합에 속한 질의들의 결과를 재활용하여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결과를 조합해낸다.

스트리밍 XML 데이타에서 영역 윈도우를 사용한 조인 질의의 범위 최소화 기법 (Scope Minimization of Join Queries using a Range Window on Streaming XML Data)

  • 박석;김미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2호
    • /
    • pp.224-238
    • /
    • 2006
  • XML이 인터넷 상에서 데이타 교환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스트리밍 환경의 XML 데이타에 대한 효과적인 조인 질의 처리도 증가하고 있다. 튜플 단위로 처리하는 기존의 데이타베이스 기법을 스트리밍 XML 데이타에 적용했을 때 제한된 메모리 사용에 따른 메모리 한계를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는 XML 데이타에 대한 질의 경로 탐색 및 특정 부분 데이타에 대한 접근에 소모되는 처리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근본적으로 전체 데이타가 아닌 부분 데이타를 저장하고 질의 처리해야 하는 스트리밍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따라서 스트리밍 XML 데이타에 맞는 저장 기법으로 적은 메모리의 사용을 통해 빠르게 조인 프레디킷을 만족하는 부분 스트리밍 데이타를 검색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메모리 사용을 위한 저장 기법을 위해 PCDATA와 CDATA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빠른 조인 프레디킷(Predicate) 비교를 위해 DTD의 구조정보 중 지시자(Cardinality) "*" 와 "+"를 기초하여 영역 윈도우(Range Window)를 설정하여 질의에 만족하는 윈도우만을 선택적으로 조인하는 기법을 제안하여 문제를 해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