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use group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8초

파킨슨병 환자의 말 속도와 쉼 특성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고열매;김덕용;최예린;김향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4호
    • /
    • pp.173-18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ech rate characteristics (whole speech rate, articulation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percentage) and the pause characteristics (pause duration, pause frequency, and pause percentage) of Korean-speaking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referred to as IPD hereafter). The study aims fir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tient group with IPD and the other group without IPD concerning those measurements, and secondly to investigate the relevant measurements of the two groups following the sentence length changes. There were two groups of subjects in this study.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7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50 and 60 who were diagnosed as IPD with mild severity, and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13 subjects without IPD who matched the age and gender of those in the first group. Those two groups were asked to read 8 different sentences in length at habitual speed.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measured and compared each other. The followings results were observed. First, in a study of speech rate characteristics, the whole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speech rate of the patient group scored within the normal range, which is same as the group without IPD.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pause characteristics,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hown; the patient group had shorter pause duration, lower pause frequency, lower pause percentage, and higher articulation percentage. Secondly, in a study of relevant measurements following the sentence length, both groups showed a tendency for whole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to increase as the length of the sentence increased, but the result of pause characteristics showed a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ile the group without IPD showed a longer pause duration, higher pause frequency, and higher pause percentage as the length of sentences increases, no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patient group concerning the length of sentences. This study suggests a result that the patients with IPD of mild severity retained a normal speech rate and examined pause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 group which showed a different result from the group without IPD in terms of quality. Future studies on the speech rate and pause characteristics of Korean-speaking patients with IPD in various severities.

  • PDF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발화 속도와 쉼 비교 (Comparison of overall speaking rate and pause betwee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이흥임;김수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11-118
    • /
    • 2017
  • This study compares speech rate, articulatory rate, and pause between the children with mild and moderate Speech Sound Disorder (SSD) who performed Sentence Repetition Task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of the same chronological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groups are categorized in terms of speaking rate and articulatory rat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SSD children, namely between the mild and moderate group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ate of speech and the articulatory rate between the two groups, such that the two groups with SSD a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TD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and frequency of pause between the moderate group and the mild group. However,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TD group.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speech rate of the children and implies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speech rate among the children with SSD.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 연구 (Study on the realization of pause groups and breath groups)

  • 유도영;신지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9-3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화자의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의 실현 양상을 관찰하여, 이것이 인지적 차이나 사회 언어적 변수 간 차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고찰하기 위해 과제, 세대, 성별에 따른 발화 길이와 호흡 단위의 실현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장년층 남녀 화자 48명의 문단 낭독 발화와 자유 발화를 분석하였다. 과제와 성별 변수는 휴지 단위와 호흡 단위 실현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발화 길이는 낭독 발화에서, 여성의 발화에서 더 길었고, 호흡 단위의 길이는 자유 발화와 남성의 발화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 한편 세대 변수는 발화 길이 실현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는 영향을 주었다. 발화 과제에 따른 차이는 인지적 부담량을 반영한다. 발화 계획이 빈번하게 이뤄져야 하는 자유 발화는 상대적으로 더 짧은 발화 길이를 보인다. 호흡 단위의 길이가 낭독 발화에서 더 짧았던 이유는 낭독 발화의 문장 길이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발화 내 휴지 패턴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호흡 단위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긴 길이를 보였는데, 이는 남성과 여성의 폐활량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세대는 음절 수와 어절 수 실현에만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세대 간 발화속도 차이에서 기인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음절 간 쉼 간격이 인공와우 아동의 어음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Inter-syllable Pause Duration on Speech Discrimination Score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 박정인;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45-25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음절 간 쉼 간격이 인공와우 이식(cochlear implantation; CI) 아동의 어음이해도(speech discrimination score; SD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는 CI 아동 12명이 참여하였다. 어음이해도 평가는 자체 제작한 무의미 3음절을 사용하였고, 음절 간 쉼 간격은 250, 500, 1,000ms로 조절하였다. 어음 강도는 대상자들이 가장 편하기 느끼는 강도(most comfortable loudness; MCL)로 하였다. 평가는 4지 선다형 보기에서 대상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closed-set)으로 실시하였다. 어음이해도는 250, 500, 1,000 ms 순서로 62.08, 63.75, 69.58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p = .4635). 이를 통해 음절 간 쉼 간격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어음이해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슬라이드 커버 동시충전 자동심장충격기가 제세동의 신속성과 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lide-Covered of Slide-Covered Contemporary Charg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on Rapidity and Convenience of Defibrillation)

  • 박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5-3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자동심장충격기인 T-AED와 새롭게 개발된 SC-AED의 제세동 신속성 및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 편의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2017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전남지역의 D대학, C대학병원의 기본인명소생술 교육센터에서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을 위한 기본소생술과정에 참여한 156명을 T-AED (n = 77) 및 SC-AED (n = 79) 그룹에 무작위할당 하였다. 각 그룹은 제세동을 실시한 후, 총 제세동 지연시간, 제세동 지연시간, 쇼크버튼 누름 지연시간, 후속 흉부압박 재개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했다. 실험 후 조작자신감, 사용편의성, 의사결정 도움, 이상 3가지 요인에 대한 자료를 설문으로 수집하였고 각각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SC-AED는 T-AED와 비교하여 총 제세동 지연시간(11.22 초), 제세동 지연시간(11.04 초) 및 쇼크버튼 누름지연시간(2.15 초)가 현저히 단축되었습니다 (p<0.001). 주관적 편의성 측면에서 자신감(T-AED : 7.62±1.25VAS vs. SC-AED : 7.80±0.98VAS, p = .358)는 중요하지 않았지만, 편의성(T-AED : 7.05±1.36VAS vs. SC) -AED : 8.95±0.89VAS, p<0.001) 및 의사결정도움(T-AED : 6.58 ± 1.73VAS vs. SC-AED : 9.08±0.98VAS, p = 0.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T-AED에 비해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 집단 모두에서 더욱 신속한 제세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명확한 의사결정을 크게 도와주었다. SC-AED에 적용된 기술이 향후 보편적인 자동심장충격기에 상용화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PAD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이다.

Oviposi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Prolactin Concentration in Domestic Chicken (Gallus domesticus)

  • David, C.G.;Reddy, I.J.;Khub, Sing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1호
    • /
    • pp.1565-1571
    • /
    • 2003
  • Physiological mechanisms, involved in unusual ovulatory sequences in domestic hen are remaining undefined. One hundred individually caged white leghorn birds were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viz. control and treatment, and 2-bromo-$\alpha$-ergocryptine, was administered to birds in the treatment group to modulate prolactin (PRL) secretion from anterior pituitary gland. The effect of modulation of PRL concentrations on egg production, sequence length and intersequence pause length were studied by analysis of oviposition records of the birds from 24 to 72 weeks of age. The surviving 48 birds i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veraged $34.58{\pm}1.7$ and $25.67{\pm}1.15$ sequences of oviposition, with a mean sequence length of $9.92{\pm}0.63$ and ${\pm}1.12$ days respectively. Most of the birds had a single characteristically long sequence during the entire reproductive cycle, which averaged $46.04{\pm}3.09$ days in the control birds and $59.33{\pm}4.44$ days in the treated birds. 2-bromo-$\alpha$-ergocriptine treatmen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leq$0.01)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PRL compared to the birds of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p$\leq$0.01) in the number of laying days in birds of the treatment group with a concomitant decrease in the intersequence pause length. The decreased PRL levels during prime sequences in birds of the both groups, reveals the negative role of the circulating PRL levels on egg production with concomitant shorter intersequence pause length. Hence, modulation of PRL with dopamine agonist may enhance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hens later in life.

언어 수행에서의 호흡과 기억 -호흡 단위와 휴지 단위의 양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Breath and Memory in Speech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th Groups and Pause Units in Korean)

  • 신지영
    • 한국어학
    • /
    • 제79권
    • /
    • pp.91-116
    • /
    • 2018
  •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issues of breath and memory in speech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eath groups and pause units in Korean. As a human being, we have two kinds of limitations on continuing speech; breath and memory. The prosodic structure and temporal structure of spontaneous speech data from six speakers were closely examined. One of the main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the prosodic structure and temporal structure of Korean appears to reflect the breath and memory problems in speech.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Speech Rate and Pause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황지성;이숙향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3-72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베트남과 필리핀 이주여성의 발화속도와 쉼 특성에 대한 음향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주여성 대상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주여성은 한국여성에 비해 느린 발화속도, 긴 쉼 지속시간과 높은 쉼 빈도를 나타냈다. 베트남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한국 거주기간이 긴 필리핀집단은 한국집단에 보다 가까운 특성을 보였다. 이주여성의 발화속도가 느리게 나타난 것은 조음속도가 느리고 거의 어절마다 쉼을 두고 읽는 습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룹 이동 환경에서의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 라우팅 알고리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outing Protocols for Mobile Ad-hoc Network under Group Mobility Environment)

  • 양효식;여인호;이종명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6호
    • /
    • pp.52-59
    • /
    • 2008
  • 기존의 ad-hoc 라우팅 프로토콜 성능분석은 ad-hoc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이 독립 이동하는 모델을 중심으로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노드가 임의로 독립 이동을 하기보다는 단일 그룹 또는 몇 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이동하며 각 그룹에 리더가 존재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은 그룹의 리더가 존재하는 그룹 이동 환경에서의 ad-hoc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분석을 수행하여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다. 군 전술 이동 망 등에 적합한 그룹 이동 모델인 RPGM 환경에서의 테이블 기반 DSDV 프로토콜과 요구 기반 AODV와 DSR 프로토콜 성능을 비교 분석 하였다. 단일 그룰 외에 다수 그룹의 이동도 함께 연구 제시하여 그룹 이동에 따른 특성 분석을 보다 포괄적으로 수행하고자 하였다. 단일 그룹 환경에서의 일반적인 성능특성은 노드 그룹 이동의 환경에서도 노드 독립 이동과 거의 유사함을 보였다. 그러나 독립이동의 경우 pause time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전송률을 보인 반면, 그룹이동 환경에서는 변함이 거의 없었다. 또한 연결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우 기존 독립 이동시에는 전송지연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나, 다수 그룹 이동의 경우 요구 기반 프로토콜 사용 시 감소하였다.

Influence of 2-bromo-α-ergocryptine on Plasma Prolactin, Oestradiol-17β and Progesterone Levels in Domestic Hen

  • Reddy, I.J.;David, C.G.;Singh, Khub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8호
    • /
    • pp.1103-1109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2-bromo-$\alpha$-ergocryptine (anti prolactin agent) on plasma levels of prolactin, o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in domestic hen during the active period of lay. Fifty healthy female White Leghorn birds were administered with anti prolactin agent (2-bromo-$\alpha$-ergocryptine, Sigma-USA., methane sulphonate salt, $C_{32}H_{40}BrN_5O_5.CH_4SO_3$) subcutaneously @100$\mu$g/kg body weight at weekly intervals from 17th to 36th week of age. Another group of fifty birds as controls were given placebo in place of bromocriptine. The level of prolactin remained lower in treated birds than in the control birds from 19 to 36 weeks of age. Level of prolactin even in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decrease during the peak production period. O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treated birds were significantly (p<0.01) higher than the controls during the treatment. Egg produ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estradiol-$17{\beta}$ (r=0.02; r=0.67) and progesterone (r=0.49; r=0.90) in control and treated groups respectively where as prolactin level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g production in the control birds (r=0.07). Prolact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g production (r=-0.55) in treated birds; and oestradiol-$17{\beta}$ (r =-0.71; r=-0.53) and progesterone (r=-0.22; r=-0.27) respectively in control and treated groups. The total number of pause day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in the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reduction in pause days in treated group resulted in 1.76% increase in egg production over that in control group. The increase in egg laying days and the total egg produ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ower level of prolactin in circulatory blood enhances egg production in the domestic 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