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task difficult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1초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상태불안이 유발될 때 학생이 인지한 과제난이도의 조절효과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Task Difficulty in Arousing State Anxiety When Confronting Science Questions)

  • 강지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13-522
    • /
    • 2023
  • 과학 문제를 대면했을 때 학생들이 인지하는 과제난이도에 따른 학생이 느끼는 상태불안 수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과학 문제를 대면했을 때 학생이 인지한 과제 난이도가 과학불안과 상태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5~6학년 410명(5학년 186명; 여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2개의 과학 문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 1번 모델을 활용하여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과학불안과 상태불안 유발 사이의 관계에서 학생이 인지한 과제난이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과학불안 수준과 학생이 인지한 과제난이도는 상태불안을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리고 학생이 인지한 과제난이도는 학생이 문제를 대면했을 때 유발되는 상태불안 수준을 부적으로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즉, 학생이 문제를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상태불안 유발에 대한 과학불안의 영향력이 낮아졌으며, 학생이 문제를 쉽다고 생각하면 상태불안 유발에 대한 과학불안의 영향력이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Effects of Information Volume and Distribution on Cognitive Load and Recal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Mobile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 LIM, Taehyeong;BONG, Jiyae;KANG, Ji Hei;DENNEN, Vaness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0권2호
    • /
    • pp.137-16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formation volume and distribution on learners' cognitive load and recall in a mobile augmented reality (AR) environment. Information volume refers to the degree of information users are provided in a learning task, while information distribution indicates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distributed, either in a virtual or real format. Sixtee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hich employed a 2 × 3 randomized 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Information volume and distribution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factors in learners' cognitive load (mental effort,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task difficulty) and recall test scores were the dependent variables. Information volume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task difficulty, and recall test scores, while information distribution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perceived task difficulty and test scores. A detailed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provided.

열 개념에 대한 흥미와 학생이 인식하는 과제난이도 수준이 과학상태호기심 유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est in Thermal Concepts and the Perceived Task Difficulty on Science State Curiosity)

  • 강지훈;김지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75-1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열 개념에 대한 흥미와 학생이 인식하는 과제난이도 수준이 과학상태호기심 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410명을 대상으로 열 개념 과제의 내용에 대한 흥미와 과제를 해결하면서 학생이 인식하는 과제난이도 및 과학상태호기심을 측정하였다. 과학상태호기심 유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학생의 과학호기심 수준을 공변량으로 하여 2(흥미 낮음 vs 흥미 높음)×2(난이도 쉬움 vs 난이도 어려움) ANCOVA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의 내용에 대한 흥미가 높은 학생이 과학상태호기심도 높게 유발되었다. 한편, 학생이 인식하는 과제난이도에 따라 유발되는 과학상태호기심 수준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과제의 내용에 대한 흥미가 낮은 학생은 과제를 쉽다고 인식할 경우 과학상태호기심이 높게 유발되었으나, 흥미가 높은 학생은 과제를 어렵다고 인식할 경우 과학상태호기심이 높게 유발되었다. 본 연구는 해당 과제의 내용에 대한 흥미가 과학상태호기심 유발에 영향을 주며, 과제난이도 수준에 따라 흥미가 과학상태호기심 유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과 양육곤란도 지각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support network and perceptions of parenting task difficulty)

  • 이은해;이미리
    • 아동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7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maternal social networks and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s to maternal perceptions of parenting task difficulty. One hundred and thirty-three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indicating individuals in their networks, support functions, and perceptions of task difficulty. Mothers reported an average of 6.5 persons in their networks, including primarily with her own mother, the husband, mother-in-law, and sisters. While support was provided mainly by her husband and her own family members, the kinds of support varied depending on the person in networks. It was also found that support functions were different in terms of maternal job status, sex of the child, and the child's previous experience in day care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Emotional support from network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task difficulty, especially in daily routine care. Mothers who perceived more emotional support from networks reported parenting to be less difficult.

  • PDF

예비교사들의 원격 PBL 수업에서 몰입에 대한 흥미수준과 학습동기의 매개모형에 미치는 인식된 교육과정 과제난이도의 조절효과 탐색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Recognized Curriculum Task on the Mediator Model of Interesting and Learning Motivation on Flow in Distant PBL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4-603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원격 PBL 수업에서 학습자의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흥미의 영향을 인식된 과제 난이도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하는 사범학부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원격PBL을 운영하였다. 원격PBL은 실시간 화상 회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협업 활동을 수행하였다. 원격PBL 활동이 종료된 이후에, 학습동기, 흥미, 몰입,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집단 간 비교(test of the structural model invariance across the groups) 분석을 수행하여, 측정모형 간의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여 과제난이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의 영향을 흥미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된 과제난이도 수준에 의해서 학습동기에서 흥미로 향하는 경로가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전문인력의 직무분석 (Task Analysis of Managers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 한영란;박영례;김영희;최희정;정미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8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asks of managers who were working in the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s (CVHS) and to prioritize analyzed tasks according to performance frequency,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Methods: Job analysis method by Hartley (1999) was used for task analysis and performance frequency, perceived importance, and difficulty were used for prioritize as criteria. A total of 85 managers in the CVHS of public health centers nationwide were recruited through e-mail and mail survey. Using SPSS/WIN 15.0,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distribution, means,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ea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the tasks as well as to prioritize the each task. Results: The job description of the managers revealed 12 duties, 35 tasks, and 104 task elements. Of the 85 managers, 84.8% were classified as nurses, 40.5% were home health care specialists, and 32.9% were social workers. Their coretasks were management of client cases, budget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work performance and quality assurance. Conclusion: Considering the analyzed managers' tasks and core tasks, we need to examine each manager's role precisely and provid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overall manager competence.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arner Variables Influencing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in Confronting Scientific Task Situation)

  • 강지훈;김지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3호
    • /
    • pp.343-365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학습자 변인이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유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유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학습자 변인으로 과학호기심, 흥미, 인지욕구, 과학자아개념, 과학불안, 사전지식, 학생이 인식한 과제난이도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유발되는 상태호기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 인지욕구, 과학호기심, 사전지식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유발되는 상태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과학 불안, 학생이 인식한 과제난이도, 인지욕구, 과학자아개념, 사전지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사전지식만 상태불안 유발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변인들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학습에서 학생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과학 학습에서 유발되는 상태호기심 및 상태 불안 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컴 기법을 적용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간호사 케어코디네이터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Nurse Care Coordinators for Chronic Illness Management in Primary Care Settings: Using Developing a Curriculum Process)

  • 황주희;최용준;김미숙;이성은;박용순;김지향;윤주영;신동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758-76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job analysis of nurse carecoordinators and to identify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task of their job. Methods: A committee for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was formed and members of the committee defined nurse care coordinators' jobs and enumerated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by applying the DACUM technique. Then nurse care coordinators enrolled in the pilot project evaluated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task. Results: From the job descriptions of nurse care coordinators, we identified 12 duties and 42 tasks. Each task comprised 1~5 task elements. Among tasks, 'assess the patient's general health status' was carried out most frequently. Nurse care coordinators perceived that 'check vital signs' and 'strengthen patient competence to promote health behaviors' were more important than all other tasks. The most difficult task was 'develop professionalism as a nurse care coordinator'. Conclusion: The nurse care coordinators' roles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key guidelin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care coordinators. Further, job specifications for nurse care coordinators need to be developed, which is necessary for design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 also need to integrate primary health care as an essential component in nursing education.

DACUM 기법을 이용한 노인 전문 간호사의 직무 분석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based on DACUM)

  • 김금순;박연환;임난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53-865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analyze the task of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s (GNPs) in Korea. Methods: The definition of GNP and job description was developed based on developing a curriculum (DACUM) by 7 panels who have experienced in DACUM analysis and gerontological nursing. One hundred sixty nurses who were working at long term care facilities were participated. The questionnaire included frequency,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2006,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 job description of GNPs in Korea revealed 5 duties, 23 tasks, and 86 task elements. On the all five duties, the highest duty in frequency and in importance was professional nursing care ($3.25{\pm}0.35$, $3.49{\pm}0.29$). But the highest duty in difficulty was research ($3.24{\pm}0.46$). 'Prevent health problem ($3.42{\pm}0.43$, $3.56{\pm}0.33$)', 'Teach other staffs ($2.83{\pm}0.77$, $3.39{\pm}0.43$)', 'Develop the evidence-based standards ($2.43{\pm}0.76$, $3.22{\pm}0.43$)', 'Develop the self ($2.81{\pm}0.65$, $3.26{\pm}0.42$)', and 'Participate the team activities' were the highest score in frequency and in criticality of tasks. 'Provide emotional support to older adults and families ($3.16{\pm}0.41$)', 'Counsel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3.14{\pm}0.49$)', 'Do clinical research ($3.32{\pm}0.49$)', 'Quality insurance ($3.25{\pm}0.49$)', and 'Build collaborative system ($3.18{\pm}0.47$)' were perceived the most difficult tasks. Conclusion: The political efforts for the legislation of role and task of GNPs were needed.

웹과 도서관 시스템에서 이용자 정보탐색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web Searching and Library System Searching: Perceived Difficulty, Self-Efficacy, and Effort)

  • 이수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44
    • /
    • 2007
  • 본 연구는 왜 이용자들이 정보탐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심리학분야에서 개발된 정신적 노력에 관한 개념을 웹 검색엔진과 도서관시스템 정보탐색행위에 적용하여 보았다. 실험실 환경에서 학부학생 총 15명을 대상으로 탐색실험을 실시하여, 탐색전 설문조사, 탐색후 설문조사, 탐색후 인터뷰, 생각 소리내어 말하기(think-aloud), 로그데이터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이용자들은 웹 검색엔진을 도서관시스템에 비하여 휠씬 쉽다고 인지하며 스스로 탐색에 대한 높은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이용자성향은 이용자들이 웹 탐색에 도서관 탐색때보다 더 적은 노력을 기기는 것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의 정신적 노력에 관한 개념은 결과적으로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행위와 경험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