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carp thicknes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부산.경남 지역에서 수집된 재래종 찰옥수수의 과피 두께에 대한 고찰 (Pericarp Thickness of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from Busan and Gyungnam)

  • 이인섭;김순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6-119
    • /
    • 2007
  • To get abundant germplasm for developing new waxy corn varieties, pericarp thickness was measured and other factor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142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from various parts of Busan City and Gyungnam Province. The average pericarp thickness of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was $40.61{\mu}m$ and the rate of thin pericarp under $50{\mu}m$ was 70.4%. The pericarp thickness compared by the regions collected showed non significant difference, but which compared by the ear row number per e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S=597.52^*)$. Correlation between pericarp thickness and row numbers per ear was low (-0.93).

Comparisons of Pericarp Thickness And Sugar Content on New Waxy Corn Hybrids

  • Lee, Moon-Sub;Na, Wong-Hyeun;Ha, Ji-hyung;Yang, Jae-Hyeon;Lee, Hee-B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80-184
    • /
    • 2015
  • For waxy corn hybrid development, 23 waxy corn hybrids were planted and surveyed in both pericarp thickness and sugar content. Pericarp thickness showed average 50 to $49{\mu}m$ in field and greenhouse. Results like these advanced than previous other hybrids. Also, sugar content in developed waxy corn evaluated as 13.6 to 15.3 brix. Here, we concluded that edible quality of waxy corn depended on combing of two factors. Especially, CNU11H8 hybrid at field and CNU11H-38 at greenhouse were good in both factors. Accordingly, these hybrids will be planted in next time for productivity and area adaptation.

고추 과육중(果肉重) 구성형질(構成形質)의 상관(相關)과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Interrelationships and Path Coefficients of Pericarp Characters in Red Pepper(Capsicum annuum L.))

  • 김양춘;박규환;최순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9-14
    • /
    • 1984
  • 과육량(果肉量)이 많은 우량(優良) 고추품종(品種) 육종(育種)을 위한 효율적(效率的)인 선발기준(選拔基準)을 마련코자 8개(個) 품종(品種)과 이들을 이면교배(二面交配)하여 얻는 28개(個) $F_1$조합(組合)들은 공시(供試)하여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및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등(等) 과육구성형질간(果肉構成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의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밝히고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친(親)에 있어서 과경(果徑)과 생과육후(生果肉厚), 과육중간(果肉中間), 생과육후(生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유전(遺傳)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이 있었다. 2. $F_1$에 있어서 과장(果長)은 건과육후(乾果肉厚)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과육중(果肉重)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과경(果徑)과 과육후(果肉厚) 및 과육중간(果肉重間), 과육후(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과육구성형질(果肉構成形質)에 있어서 $F_1$과 양친평균간(兩親平均間)에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4.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간(種子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육중(果肉重)과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결과(結果)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가 모두 정(正)의 직접결과(直接結果)를 나타내었고 $F_1$에서 과장(果長)이 직접효과(直接效果)가 가장 컸다.

  • PDF

찰 옥수수 과피두께의 유전 (Interitance of Pericarp Thickness of Waxy Maize)

  • 이인섭;최봉호;이원구;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89-494
    • /
    • 1993
  • 6개 자식계통 옥수수에 의한 이면교배 조합들 (역교배 포함 30조합)에 대하여 찰옥수수의 식미를 좌우하는 과피두께에 관한 유전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식계통 가운데서 옥수수 과피의 두께가 가장 얇았던 것은 제원계통이었다. 2. 교잡종 중에서 과피의 두께가 가장 얇았던 것은 제원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된 교잡종들이었다. 3. 자식계통 가운데 칠보와 당진 계통도 과피가 얇은 편이었는데 이들이 교배된 조합들 역시 과피두께가 않았다. 4. 과피두께가 가장 두터웠던 자식계통은 단양계통이었는데, 이를 양친으로 이용된 교배조합들이 비교적 과피두께가 두터웠다. 5. 옥수수립의 과피두께는 옥수수립의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옥수수의 배 부위의 과피가 않았고, 옥수수립의 측면에서는 큰 차이를 찾아 볼수 없었으나 다른 부위보다는 비교적 두꺼웠다. 6. 옥수수립의 상, 하 부위에 따른 과피 두께도 교잡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입의 하위부분보다 상위부위의 두께가 좀 더 않았다. 7. 옥수수입의 두께에 미치는 유전적 효과를 보면 일반조합능력의 효과에 의한 영향이 보다 켰고, 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분산의 크기에 있어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보다 적 었다. 8. 양친 계통의 일반조합능력 효과에 있어서도 제원계통의 효과와 단양계통에 의한 효과가 대조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서 계통효과(line of fects)가 켰음을 확인하였다. 9. 과피두께에 관여하는 유전인자의 효과는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과피두께를 얇게 하는 유전인자 효과는 과피를 두껍게 하는 유전인자의 효과보다 우성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시료 준비 방법에 따른 등숙 시기별 초당 및 찰옥수수 교잡종의 과피 두께 비교 (Comparison of Kernel Sample Preparation Methods at Different Grain Filling Periods for Determining Pericarp Thickness in Super Sweet and Waxy Corn Hybrids)

  • 한성진;오태영;강민정;강종원;왕승현;박태춘;강건;정종욱;소윤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02-108
    • /
    • 2019
  • 본 연구는 식용옥수수 풋이삭의 식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피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을 규명하기 위하여 과피 시료의 준비 방법에 따른 과피 두께의 차이와 등숙 시기별 과피 두께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 찰옥수수와 초당옥수수 각 3품종의 시료를 수확 직후 생옥수수(생시료) 알곡을 바로 측정하거나 상온의 음지에서 완전(건조시료) 건조시키거나 $-4^{\circ}C$로 냉동시킨 후 과피를 측정하였다. 2. 시료 준비 방법과 등숙 시기에 따른 삼원 교호작용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어느 한 요인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보다는 각 시료 준비 방법과 특정 등숙 시기에 따른 과피 두께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3. 초당옥수수는 건조시료에서 등숙이 진행됨에 따라 비교적 안정된 과피 두께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찰옥수수는 비해 모든 시료 준비 방법에서 초당옥수수보다 안정된 값을 보였다. 특히 풋찰옥수수 수확 적기인 수정 후 24일경에는 시료 준비 방법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XVIII. 찰옥수수연구 시설하우스에서 2기작 찰옥수수 교잡종의 주요 생육특성 비교 (XVIII. Study on Waxy Corn Characteristics of corn hybrids on second cropping of using green house)

  • 나웅현;복태규;고혁수;백승우;조양희;이희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87-91
    • /
    • 2013
  •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orn hybrids were compared at each different planting time; 1st time(April 28) and 2nd time(August 20), respectively. Among traits surveyed, stem height showed highly at 1st time than 2nd, while ear height, stem diameter and ear length were similar at two times.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showed highly at 2nd planting time than 1st. Pericarp thickness was also high at 2nd planting time. Especially, among hybrids CNU99 was the highest in stem height and ear length, CNU11 and CNU56 were high in sugar content, and CNU51 and CNU124 were thiner than other hybrids in pericarp thickness. Accordingly, these hybrids will be planted and recognized in 2nd yield trial for superior corn hybrid selection.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in Second Generation (F2) Hybrid Cultivar of Minipaprika (Capsicum annuum L.)

  • Luitel, Binod Prasad;Lee, Taek Jong;Oyuntugs, Tserendendev;Kang, Won 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0-125
    • /
    • 2011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ruit quality characters in second generation ($F_2$) hybrid cultivar and to compare the fruit characters with original $F_1$ hybrid cultivar of minipaprika (yellow and orange type) at the Research Farm, Hwacheon in July, 2010. Fruit characters varied within $F_2$ population of each minipaprika type. In minipaprika yellow, fruit weight varied from 12.2 g to 50.8 g (average 28.5 g) and fruit length/width varied from 1.4 to 2.8 (average, 2.0). Pericarp thickness ranged from 1.8 mm to 4.1 mm (average, 2.9 mm). Total soluble solid (TSS) varied from $6.2^{\circ}Brix$ to $13.5^{\circ}Brix$ with an average of $8.7^{\circ}Brix$. Fruit volume varied from 10.3 cc to 46.7 cc with an average of 24.4 cc. In minipaprika orange type, fruit weight ranged from 19.7 g to 42.4 g (average, 29.0 g) and fruit length/width varied from 1.5 to 2.6 (average, 2.0). Pericarp thickness varied from 2.1 mm to 4.1 mm with an average of 3.0 mm. TSS varied from $5.0^{\circ}Brix$ to $12.2^{\circ}Brix$ (average, $7.9^{\circ}Brix$) and average fruit volume was 24.6 cc ranging from 10.7 cc to 35.0 cc. The average fruit quality characters in $F_2$ population in both yellow and orange minipaprika did not differ from their $F_1$ hybrid parent and $F_2$ seed can be an additional way to supply high yielding hybrid cultivars at lower cost to the minipaprika growers.

튀김옥수수의 파열방향 및 튀김형태 결정요인 (Popping Mechanism and Shape Moulding Factor of Popcorn)

  • 김선림;박승의;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8-102
    • /
    • 1995
  • 튀김옥수수의 popping은 거의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파열되며 튀김후의 형태도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앞서 이와 같은 원인이 과피의 선단부와 기부의 두께 차이에 있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설정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과피를 각 부위별로 제거처리를 하거나 배를 제거후 popping했을 때 나타낸 반응을 검토한 결과로 얻은 튀김옥수수의 파열방향성 및 튀김후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기부의 과피는 선단부의 과피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2. 가열로 종실 내부의 수분압력이 한계에 도달하면 과피가 상대적으로 않은 선단부에서 파열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기부의 과피는 선단부 과피를 끌어당겨주므로(bi-metal 원리) 항상 일정한 파열방향 및 튀김형태로 popping 된다. 3. 기부의 과피를 제기하면 선단부의 과피를 끌어 당겨주는 기부의 중심이 상실되기 때문에 불규칙 한 popping이 이루어 진다. 4. 배를 제거하면 무처리와 같이 일정한파열방향성 및 튀김형태는 유지되나 부피는 적었다. 따라서 배는 기부로 방출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선단부 과피 및 전과피를 제거하면 모든 수분의 방출이 허용되어 popping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6. 튀김부피의 변화는 기부과피 제거>무처리>역제거>전과피 제거>선단부 과피제거의 순이었다. 7. 따라서 popping시 일정한 파열방향성 및 튀김형태를 갖게 하는 원인은 선단부와 기부 과피의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된다.벼 보다는 IR62829A/청청벼 조합이 전당 증가율 및 전분 감소율이 월등히 켰다. 5. 치상후 현미중 a-amylase활성에 있어 1대잡종벼가 양친 및 비교품종보다 활성이 커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발아율과 a-amylase 활성과는 고도의 정의 유의상관이 있었다. 6. 파종 10일후 묘의 생육에 있어서도 1대잡종벼가 양친이나 비교품종보다 건물중, 초장 등에서 잡종강세를 나타내었으며 묘의 생육과 a-amylase 활성간에는 유의한 정의상관이 있었다./TEX>,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_x$는 $Co_3O_4$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_3O_4$의 외부표면이 $Co_2TiO_4$$CoTiO_3$ 같은 $CoTiO_x$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 PDF

찰옥수수 연구 - XIII. 다수성 찰옥수수 "대덕찰 1호"의 주요 작물학적 특성 및 경제성 분석 (Study on waxy corn - XIII. Botanical characteristics and crude incomes analysis of Daedukchal 1)

  • 이희봉;이문섭;복태규;최윤표;차희정;홍범용;김효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6
    • /
    • 2011
  • Daeduckchal 1 waxy corn hybrid including check was planted and compared with domestic leading vatiety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traits related to table gualities and crude income. Stem and ear height of Daeduckchal 1 among used hybrids were intermediate and stem diameter was also similar to other hybrids. Days to tasseling of this hybrid needed 56 days which was slightly shorter than check hybrid, Yeonnong. Ear length of CNU-H2 was longer than Yeonnongchal as 21.7 cm, while Chalok 2 was 14.1 cm. Number of tillers per plant of this hybrid were higher than Chalok 2 but lower than Yeonnong. Pericarp thickness of CNU-H2 and CNU-H3 were similar to Yeonnon. In sugar content, Daeduckchal 1 was intermediate level as 11.7 brix(%). Marketability of Daeduckchal 1 was the highest among used hybrids and crude incomes was also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