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tex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 (The Present Status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nd Utilization of Picture Book Peritex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남아름;김상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7-17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아교사 총 276명 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그림책 읽기활동 현황과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의 목적을 '상상력과 창의력 발달을 위해'라고 응답하였다. 그와 더불어, 유아교사는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12가지 구성요소인 제목과 표지, 속표지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헌사지, 면지, 덧싸개, 띠지, 재질, 판형 및 제본, 수상표시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으로,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유아교사의 그림책 주변 텍스트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그림책 읽기 시 주변 텍스트의 몇몇 요소에 대해서는 대부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 활동 현황 및 그림책 주변텍스트에 대한 인식과 활용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능동적인 그림책 읽기를 도모하고, 그림책 주변텍스트 활용을 통해 다차원적인 읽기교수 방법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림책 『팥빙수의 전설』 페리텍스트의 서사적 의미 분석 (Analysis on Peritext of the Picture-book 『The Legend of Pat-bing-su』)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185-19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팥빙수의 전설』 페리텍스트의 서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림책의 서사를 인물, 배경, 플롯, 서술방법에 따라 분석 후, 남아름과 김상림이 제안한 그림책 페리텍스트 분석틀을 활용하여 서사적 의미를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팥빙수의 전설』은 기본적 정보로서 제목, 작가명, 출판 정보를 표지 등을 제시하며, 물리적 요소로는 서사와 부합되는 흰색 무광의 장방형 종이를 양장 제본하여, 서사에 대한 선행 이해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표지와 면지 및 표제지와 간기면에 담긴 그림텍스트와 글텍스트는 서사 구성요소를 함축적으로 제시하여 서사를 예측, 확장 또는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며, 플롯이나 장르에 대한 이해를 위한 추가 정보를 제시한다.

그림책 페리텍스트 분석을 위한 구성 요소 (Components for Picturebook Peritext Analysis)

  • 남아름;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181-188
    • /
    • 2023
  • 그림책의 교육적 활용 가치와 페리텍스트의 서사적 중요성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그림책 분석 시 사용되는 페리텍스트 구성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페리텍스트를 분석한 11편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페리텍스트 구성 요소를 고찰한 후, 네 가지('기본적 정보', '물리적 요소', '위치적 요소', '콘텐츠 요소')로 범주화하여 분석틀을 제안했다. 첫 번째 범주는 '기본적 정보'로 '제목', '작가명', '출판 정보', '수상 정보', '헌사/감사의 말', '추천사' 등이 포함되며, 두 번째 범주는 '물리적 요소'로 '판형', '제본', '재질' 등이 포함된다. 세 번째 범주는 '위치적 요소'로 '표지(앞표지, 뒤표지, 책등)', '면지', '표제지', '간기면', '덧싸개 및 띠지' 등이 포함되며, 네 번째 범주는 '콘텐츠 요소'로 '글', '그림',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페이지 형태'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그림책의 페리텍스트 분석 및 활용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