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vious toe drain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Study for Seepage Control of Levee with a Pervious Toe Drain (제내 비탈끝 배수공을 이용한 제방의 침투조절에 관한 연구)

  • Kong, Young-San;Kang, Tae-Uk;Lee, Sang-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6
    • /
    • pp.569-581
    • /
    • 2012
  • The levee is the facility which is constructed along with river for the protection of landside and for passage of water when there is a flood. When the seepage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on the landside surface of levee, it may eventually lead to levee failure. The seepage water may be removed from the landside surface by a properly designed drainage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seepage control effect of a pervious toe drain, and to compare two drainage methods of a pervious toe drain. One is the pervious toe drain suggest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and the other is that suggested by Jap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JICE). The levee model constructed has the following dimension: the base width is 2.6 m; the crest width is 0.4 m; the side slope 1 : 2. The water depth in the riverside is 0.5 m. The shape of the toe drain by USACE is triangular. The shape of the toe drain by JICE is rectangular. They were installed with the base length of 0.4 m. The levee model without the toe drain showed saturation surface on the land side in the experiment but not with the toe drain. The experiment results was applied to a numerical analysis model using SEEP/W to calibrate and verify.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for 35 cm and 30 cm drain width showed that the drain by JICE is a little bit safer than the drain by USACE. It is also easier to construct the toe drain by JICE. The results in the study would be applied to plan the seepage control for a levee with pervious toe drain.

A Study on Seepage Control of Levee with Pervious Toe Drain (본배수공을 이용한 하천제방의 침윤조절에 관한 연구)

  • Lee, Sang-Ho;Kong, Young-San;Lee, Nam-Joo;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2-166
    • /
    • 2011
  • 하천제방은 가장 치수효과가 높은 홍수방어시설로서 홍수 시 유수를 원활하게 소통시키고 제내지를 보호하기 위해 하천을 따라 축조한 시설이다. 누수에 의한 제방파괴는 제내지 제체에 드러난 포화표면이 결정적인 요인이 되므로 침윤선을 낮추어 제체하부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며 누수가 발생한 제방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강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 축조 또는 보강 시 누수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 공병단과 일본 국토기술연구센터에서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인 배수공을 두어 침윤선을 조절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공병단과 일본 국토기술연구센터에서 제시하는 배수공을 가지는 경우의 제방 실험 및 수치 모형 보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침투 수치 모의는 SEEP/W 프로그램으로 검토하였다. 실험에 적용한 제방의 규격은 제방폭 2.6 m, 둑마루폭 0.4 m, 사면경사 1:2, 제방 높이 0.55 m, 수위 0.5 m이다. 배수공이 없는 제방은 사면에서 누수가 발생하였으며, 배수공 바닥폭이 0.4 m인 공병단과 일본 국토기술연구센터에서 제시하는 배수공을 설치하였을 때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다. 같은 배수공 바닥폭을 가지는 공병단과 일본 국토기술연구센터식 배수공을 설치한 제방의 실험을 비교한 결과, 일본국토기술연구센터식 배수공을 설치한 제방의 침윤선이 공병단식 배수공을 설치한 제방보다 낮았다. 즉, 일본 국토기술연구센터식 사각형 배수공이 다소 안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