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 car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uPetCare : 웹2.0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펫 케어 시스템 (uPetCare : Ubiquitous Pet-Care System using Web2.0)

  • 박준성;이귀로;조진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4호
    • /
    • pp.260-264
    • /
    • 2009
  •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을 응용한 u-Healthcare 시스템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사람이 아닌 동물에 적용시켜 애완동물의 상태를 웹을 통하여 관리할 수 있는 uPetCare(Ubiquitous Pet-Care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uPetCare System의 주된 기능으로는 1) 센서를 통한 데이터의 수집, 2) 멀티-홉 통신 3) 싱크 노드에서의 데이터 압축(compression) 및 정리(aggregation), 4) 웹 서버에서의 데이터 저장, 5) AJAX 기술을 통한 실시간 정보 확인 6) 상황 인지 시스템을 통한 펫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반려동물 돌봄과 인터넷 소비 (Pet Care and Internet Consumption)

  • 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388-400
    • /
    • 2022
  •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돌보는 반려인 11인의 질적 인터뷰를 통해 반려동물 돌봄과 관련한 인터넷 소비 현상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전혀 다루지 않았던 길고양이 돌보미를 인터뷰 대상인, 반려동물 소비자로 포함했다. 인터넷 소비는 개와 고양이의 종 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개의 반려인들은 고양이에게는 필요하지 않은, 목욕제품, 미용기구, 옷, 하네스, 유모차 등을 많이 구입했다. 그동안 펫 푸어(pet-poor) 현상은 자신에게 소비할 돈을 절약하여 반려동물을 위해 소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젊은 소비자들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펫 푸어 현상은 중장년, 노년층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들은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아도 반려견을 위해 값비싼 옷, 하네스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장년 여성의 길고양이 돌봄이도 펫 푸어로의 전락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려동물용품의 인터넷 소비는 젠더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없었다. 대체로 가족을 위해 생필품 구매를 주로 해 오던 여성이 반려동물용품도 온라인으로 구매했고, 부인이 인터넷 사용에 서툰 경우에는 남편이 대신 온라인으로 반려동물용품을 구매했다.

화학발광 반응을 이용한 세탁조건별 반려동물 오구 제거효과 연구 (A Study on the Pet Soil Removal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Using a Chemiluminescence Reaction)

  • 박정은;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40-851
    • /
    • 2021
  • In this study, we used a chemiluminescence reaction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ect of pet soil, such as dog blood, urine and feces. The soiled fabrics were washed with a standard laundry course of 30℃ and a washing time of 30 min and a pet care laundry course of 40-60℃ and a washing time of 100 min. The detergency was evaluated by the surface reflectance and chemiluminescence reaction (bloodstain detection by luminol test and urine-stain and feces-stain detection by UV blacklight test) before and after washing. The surface reflectance resul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detergency for both courses, whereas the chemiluminescence reaction did. The detergency of the pet care course compared to the standard course was 101% according to the surface reflectance and 120% according to the chemiluminescence reaction. Therefore, residual stains not detected by surface reflectance can be evaluated through chemiluminescence reac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pet stains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by washing for a long time at a high temperature.

비소세포폐암의 림프절 병기 결정에서 Coincidence PET의 역할 (The Role of Camera-Based Coincidenc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Nodal Stag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 이선민;최영화;정성철;오윤정;박광주;황성철;이이형;박찬희;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42-649
    • /
    • 1999
  • 연구배경: 비소세포폐암의 림프절의 병기 결정은 치료 및 예후 결정에 매우 중요하나 정확한 병기 결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야에 저자들은 최근에 개발된 CoDe PET의 림프절 병기 결정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2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원발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되어 치료를 시행하였던 환자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적 술전 폐암의 병기 결정을 위하여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복부 초음파검사, 전신 골주사 촬영, CoDe PET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수술후 병리학적 병기를 기준으로 하여서 CoDe PET로 결정된 림프절 병기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21예의 비소세포폐암중 20예에서 원발 종괴에 $^{18}FDG$가 섭취되었으며 위음성이 1예가 있었다. 림프절 병기에 있어 전체 21예중 13예에서는 병리학적 병기와 일치하였다. 병리학적 N0는 14예이었으며 CoDe PET의 N0에 대한 특이도는 64.3%이었다. N1 림프절에 대한 민감도는 83.3%, 특이도는 73.3%, 양성 예측도는 55.6%, 음성 예측도는 91.7%, 정확도는 76.2%이였다. N2 림프절에 대한 민감도는 60.0%, 특이도는 87.5%, 양성 예측도는 60.0%, 음성 예측도는 87.5%, 정확도는 90.0%이었다. 병리학적으로 그 크기가 측정된 림프절 29개중 암세포의 침윤이 있었던 림프절은 6개이었으며 이중 3개의 림프절은 CoDe PET에 국소 섭취로 나타났다. 위음성으로 나타난 3개의 림프절은 그 크기가 모두 1cm 이하였으며, 양성으로 나타난 림프절의 크기는 각각 1.1cm, 1.0cm, 0.5cm이었다. 크기가 1cm 이상이나 암세포의 침윤이 없었던 12개의 림프절중 1예에서만 위양성으로 나타났다. 5예에서는 위양성 소견을 보였는데 이중 1예는 폐결핵에 의한 육이종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1예는 pneumoconiosis, 1예는 anthracosis이었다. 결 론: CoDe PET는 크기가 1.5cm 이상의 림프절에 대한 음성 예측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N3 림프절의 확대가 있는 비소세포폐암에서 CoDe PET를 시행하여 국소 섭취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CoDe PET는 아직 개발 단계에 있어서 향후 보다 더 발전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을 이용한 반려견 케어 로봇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Dog Care Robot Using Obstacle Protection Algorithm)

  • 정용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40-149
    • /
    • 2018
  • 최근 국민소득 증가와 더불어 인구감소로 인한 고령화,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사회 현상이 관찰된다. 고령화 가구 및 1인 가구증가에 비례해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가구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의 경우 대부분 외로움 극복과 가정 내 활력을 위해 반려동물을 활용한다. 반려 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반려동물 시장의 규모도 동반 성장하고 있다. 고령화 가구 및 1인가구의 반려동물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문제는 홀로 남겨진 반려동물의 먹이급식, 운동관리 등과 같은 케어(Care)가 제대로 수행 되지 못하고 있다. 외부에서 원격으로 반려동물을 관찰하고 일정량의 먹이를 주기적으로 공급하며 운동유발을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로봇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반려동물 중 반려견의 선택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동 방식에 대한 로봇연구와 기존의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의 사례를 파악하고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을 이용한 반려견 케어 로봇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3륜 중 2개의 바퀴에 모터를 장착하고 반려견의 간식 급여동작과 장애물 회피 알고리즘을 이용하기 위해 전면에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였다. 후면에는 적외선 센서 4개를 장착하여 이동시 바닥과 물체의 감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성 하였다. 그 결과 반려견이 로봇바퀴에 수납된 간식의 냄새를 탐지하여 로봇을 따라다니고 접근을 감지한 로봇이 회피구동 하며 반려견의 운동능력 향상시켰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반려견 케어로봇에 관한 연구로 다른 반려동물들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고, 지속적인 관찰 및 테스트를 통한 실증이 필요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웹캠과 스마트폰 기반의 반려 동물 돌봄 로봇의 구현 및 전원 관리 (Implementation of a Pet Care Robot Based on Webcam and Smartphone and its Power Management)

  • 이윤호;전주현;이나은;장제문;유신;주문갑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9-34
    • /
    • 2021
  • We developed a pet care robot that can be controlled outdoors.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e pet owners can watch the situation in the house and manipulate the robot to make their pet happy. The video data in the house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webcam installed at the house. The robot can not only perform user's command but also do six basic macro action. The obstacle avoidance function using the current sensor can be activated if the user want to use. When the robot hits to something, it moves back and rotates by arbitrary angle, and then moves forward.

mPetCare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설계 및 구현 (mPetCare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t Care System based on PublicData)

  • 조현성;박석천;박준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64-567
    • /
    • 2013
  • 최근 핵가족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1인 가구의 증가로, 외로움을 타는 현대인이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는 이들이 많아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려동물의 소유주들이 직면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을 원할히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PET/CT로 폐에서 기원한 것을 확인한 원발성 단상성 섬유성 활막육종 1예 (A Case of Monophasic Fibrous Synovial Sarcoma Confirmed Primary Pulmonary Origin by 18F-FDG PET/CT)

  • 이은아;이도영;곽현주;김민경;오태윤;임시영;임성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73-677
    • /
    • 2006
  • 저자들은 60세 여자환자에서 18F-FDG PET/CT를 사용하여 폐에서 원발한 것을 확인하고 조직학적 및 면역 조직 화학 염색상 단상성 섬유성 형태를 가진 원발성 폐활막 육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호하는 바이다.

뇌종양에서 PET의 임상이용 (Application of PET in Brain Tumor)

  • 정준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27
    • /
    • 2002
  • The annual incidence of primary brain tumors is 7-19 cases per 100,000 people. The unique capacity of visualizing biochemical processes allows PET to determine functional metabolic activities of the brain tumors. Like other malignant tumors, F-18 FDG has been used commonly in the imaging of brain tumors. FDG PET is valuable in grading malignancy, predicting prognosis, monitoring treatment, differentiating tumor recurrence from radiation necrosis, and detecting primary lesion in metastatric brain tumors. Among amino acids labeled with positron emitters, C-11 methionine is used clinically. Tumor delineation is much better with methionine PET than with FDG PET. Low grade gliomas, in particular, are better evaluated with methionine than with FDG. PET opens another dimension in brain tumor imaging. PET imaging has clearly entered the clinical area with a profound impact on patient care in many ind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