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eme HMM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1초

인식 단위로서의 한국어 음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Syllable As Recognition Unit)

  • 김유진;김회린;정재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4-7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용량 어휘 인식 시스템에 적합한 인식 단위에 대하여 연구 및 실험하였다. 특히 현재 인식 시스템의 인식 단위로 주로 사용되는 음소와 한국어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음절을 선택하고, 인식 실험을 통해 음절이 한국어 인식 시스템의 인식 단위로서 적합한가를 음소와 비교하였다. 객관적인 비교 인식 실험 결과를 제시하기 위하여 동일한 남성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작업 음소 경계 및 레이블링 과정을 거친 음성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각 인식 단위에 동일한 HMM 기반의 훈련 및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 Entropic사의 HTK (HMM Tool Kit) 2.0을 사용하였다. 각 인식 단위의 훈련을 위해 5상태 3출력, 8상태 6출력 HMM 모델의 연속 HMM (Continuous HMM)을 적용하였고, PBW 3회분, POW 1회분을 훈련에 사용하고 PBW 1회분을 각 인식 단위로서 인식하는 화자 종속 단어 인식 실험을 구성하였다. 실험 결과 8상태 6출력 모델을 사용한 경우 음소 단위는 95.65%, 음절 단위는 94.41%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인식 속도에서는 음절이 음소보다 약 25%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바타챠랴 거리 측정법을 이용한 음소 유사율 오류 보정 개선 시스템 (Phoneme Similarity Error Correction System using Bhattacharyya Distance Measurement Method)

  • 안찬식;오상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3-80
    • /
    • 2010
  • 어휘 인식 시스템은 부정확한 어휘 제공과 유사한 음소 인식으로 인식률이 저하되며 이는 유사한 음소인식 오인식과 효율적 특징 추출 처리를 위한 방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가 갖는 특징을 기반으로 바타챠랴 거리 측정법을 이용한 음소 유사율 오류 보정 개선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음소 유사율은 모노폰으로 훈련시킨 훈련 데이터의 음소에 HMM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유사한 음소는 바타챠랴 거리 측정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음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인식률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유클리디안 거리 측정법과 동적타임 워핑 시스템에 비교한 시스템 성능 평가 결과 1.2%의 향상된 97.91% 인식률을 보였다.

CTC를 적용한 CRNN 기반 한국어 음소인식 모델 연구 (CRNN-Based Korean Phoneme Recognition Model with CTC Algorithm)

  • 홍윤석;기경서;권가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3호
    • /
    • pp.115-122
    • /
    • 2019
  • 지금까지의 한국어 음소 인식에는 은닉 마르코프-가우시안 믹스쳐 모델(HMM-GMM)이나 인공신경망-HMM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성능 개선 여지가 적으며, 전문가에 의해 제작된 강제정렬(force-alignment) 코퍼스 없이는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모델의 문제로 인해 타 언어를 대상으로 한 음소 인식 연구에서는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순환 신경망(RNN) 계열 구조와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CTC) 알고리즘을 결합한 신경망 기반 음소 인식 모델이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RNN 계열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많은 음성 말뭉치가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해질 경우 학습이 까다로워, 정제된 말뭉치가 부족하고 기반 연구가 비교적 부족한 한국어의 경우 사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제정렬이 불필요한 CTC 알고리즘을 도입하되, RNN에 비해 더 학습 속도가 빠르고 더 적은 말뭉치로도 학습이 가능한 합성곱 신경망(CNN)을 기반으로 한국어 음소 인식 모델을 구축하여 보고자 시도하였다. 총 2가지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49가지의 음소를 판별하는 음소 인식기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실험 결과 최종적으로 선정된 음소 인식 모델은 CNN과 3층의 Bidirectional LSTM을 결합한 구조로, 이 모델의 최종 PER(Phoneme Error Rate)은 3.26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음소 인식 분야에서 보고된 기존 선행 연구들의 PER인 10~12와 비교하면 상당한 성능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Stereo Vision Neural Networks wi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for Phoneme Recognition

  • Kim, Sung-Ill;Chung, Hyun-Yeol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22권1E호
    • /
    • pp.3-10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two kinds of neural networks for stereoscopic vision, which have been applied to an identification of human speech. In speech recognition based on the stereoscopic vision neural networks (SVNN), the similarities are first obtained by comparing input vocal signals with standard models. They are then given to a dynamic process in which both competitive and cooperative processes are conducted among neighboring similarities. Through the dynamic processes, only one winner neuron is finally detected. In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average phoneme recognition accuracy on the two-layered SVNN was 7.7% higher than the Hidden Markov Model (HMM) recognizer with the structure of a single mixture and three states, and the three-layered was 6.6% higher. Therefore, it was noticed that SVNN outperformed the existing HMM recognizer in phoneme recognition.

화자 적응을 이용한 대용량 음성 다이얼링 (Large Scale Voice Dialling using Speaker Adaptation)

  • 김원구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35-338
    • /
    • 2010
  • A new method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large scale voice dialling system is presented using speaker adaptation. Since SI (Speaker Independent) based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phoneme HMM uses only the phoneme string of the input sentence, the storage space could be reduced greatly. 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worse than that of the speaker dependent system due to the mismatch between the input utterance and the SI models. A new method that estimates the phonetic string and adaptation vectors iteratively is presented to reduce the mismatch between the training utterances and a set of SI models using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For speaker adaptation the stochastic matching methods are used to estimate the adaptation vectors. The experiments performed over actual telephone line shows that proposed method shows better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with the SI phonetic recognizer.

자동 음소 분할 성능 개선을 위한 음소 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honeme Modeling for Improvement of Automatic Segmentation Performance)

  • 박혜영;김형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175-1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idden Markov Model(HMM)을 이용하여 corpus 기반 TTS에 사용할 DB를 자동 음소 분할 해주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HMM을 이용해서 음소 분할 할 경우 HMM을 모델링 하는 방법에 따라 많은 성능의 차이가 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MM 모델링 방법에 따른 몇 가지 실험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실험 결과 음성 인식과는 달리 HMM모델링 시 triphone 모델보다 monophone 모델의 성능이 더 우수하였으며, 에너지 기반의 후처리를 통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upport Vector Machine Based Phoneme Segmentation for Lip Synch Application

  • Lee, Kun-Young;Ko, Han-Seok
    •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193-210
    • /
    • 2004
  • In this paper, we develop a real time lip-synch system that activates 2-D avatar's lip motion in synch with an incoming speech utterance. To realize the 'real time' operation of the system, we contain the processing time by invoking merge and split procedures performing coarse-to-fine phoneme classification. At each stage of phoneme classification, we apply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to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while retraining the desired accuracy. The coarse-to-fine phoneme classification is accomplished via two stages of feature extraction: first, each speech frame is acoustically analyzed for 3 classes of lip opening using Mel Frequency Cepstral Coefficients (MFCC) as a feature; secondly, each frame is further refined in classification for detailed lip shape using formant information. We implemented the system with 2-D lip animation tha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wo-stage procedure in accomplishing a real-time lip-synch task. It was observed that the method of using phoneme merging and SVM achieved about twice faster speed in recognition than the method employing the Hidden Markov Model (HMM). A typical latency time per a single frame observed for our method was in the order of 18.22 milliseconds while an HMM method appli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resulted about 30.67 milliseconds.

  • PDF

저작권 보호를 위한 HMM기반의 음악 식별 시스템 (HMM-based Music Identification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 김희동;김도현;김지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63-67
    • /
    • 2009
  • In this paper, in order to protect music copyrights, we propose a music identification system which is scalable to the number of pieces of registered music and robust to signal-level variations of registered music. For its implementation, we define the new concepts of 'music word' and 'music phoneme' as recognition units to construct 'music acoustic models'. Then, with these concepts, we apply the HMM-based framework used in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to identify the music. Each music file is transformed to a sequence of 39-dimensional vectors. This sequence of vectors is represented as ordered states with Gaussian mixtures. These ordered states are trained using Baum-Welch re-estimation method. Music files with a suspicious copyright are also transformed to a sequence of vectors. Then, the most probable music file is identified using Viterbi algorithm through the music identification network. We implemented a music identification system for 1,000 MP3 music files and tested this system with variations in terms of MP3 bit rate and music speed rate. Our proposed music identification system demonstrates robust performance to signal variations. In addition, scalability of this system is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registered music files, since our system is based on HMM method.

  • PDF

HMM과 GA를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음소단위 인식 (Phoneme-based Recognition of Korean Speech Using HMM(Hidden Markov Model) and Genetic Algorithm)

  • 박준하;조성원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91-295
    • /
    • 1997
  • 현재에 주로 개발되어 상용화가 시작되고 있는 음성인식 시스템의 대부분은 단어인식을 기분으로 하는 시스템으로 적용 단어수를 늘려줌으로서 인식범위를 늘일 수 있으나, 그에 따라 검색해야하는 단어수가 늘어남으로서 전체적인 시스템의 속도 및 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단점의 극복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MM(Hidden Markov Model)과 GA(Genetic Algorithm)를 이용한 한국어 음성의 음소단위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음성 특징으로는 LPC Cepstrum 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인식시는 인식대상이 되는 단어에 대하여 GA(Genetic Algorithm)을 통하여 각 음소를 분리하고, 음소단위로 학습된 HMM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인식함으로써 각각의 음소별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HMM 훈련 알고리즘에 따른 음소인식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oneme recognition rate with regard to HMM training algorithms)

  • 구명완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298-301
    • /
    • 1998
  • HMM 훈련 방법에 따른 음소인식률의 변화에 대하여 기술한다. 음성모델은 이산 확률 밀도 혹은 연속 확률 밀도를 갖는 HMM을 사용하였으며, 훈련 알고리즘으로서는 forward-backward 와 segmental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연속 확률 밀도는 N개의 mixture로 구성되어 있는데 1개의 mixture로 확장할 경우에서는 이진 트리 방식과 one-by-one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의 조합을 이용하여 음소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연속 확률 분포를 사용하고 one-by-one 방식을 사용한 forward-backward 알고리즘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