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Preparation of Mulberry Leaf Extract by Adding Mugwort and Pine Needle and Effects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Park, Jeong-Hwa;Chae, Joo-Yeoung;Rhee, Soon-Ja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216-222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ing mulberry leaf extracts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An initial 30-person sensory evaluation of preparations contain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mulberry leaf extract showed that a preparation containing 9% mulberry leaf extracts was the most highly preferred. In addition, subsidiary materials of pine needle extracts and mugwort extracts were added to weaken the unpleasant smell of mulberry leaf extract A preparation containing 9% mulberry leaf extract with 3% mugwort extract and 7% pine needle extract was given highest preference scores by the 30-person panel. When comparing the functional ingredients contents of the various preparations of mulberry leaf extracts, such as GABA, DNJ and flavonoid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dding subsidiary materials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l00$\pm$10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normal diet group, and to four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containing 1% cholesterol, to elucidate the functionality of the mulberry leaf extract The four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a mulberry leaf extract diet group free of subsidiary materials (EB group); a mulberry extract diet group with pine needle extracts (EP group); a mulberry leaf extract diet group with mugwort extracts (EM group); and a control group (HC group). The mulberry leaf extracts were provided as drinking water; the diet and water were fed ad libitum.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by 279% to 475%, in the high cholesterol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diet groups, bu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three groups supplied with mulberry leaf extracts, compared with the high cholesterol control. There were no changes in functionality of the mulberry leaf extract preparations due to the addition of subsidiary materials. In conclusion, preparations of mulberry leaf extracts were shown to improv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by reducing hepatic and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Also human palatability of the mulberry leaf preparation was improved by adding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쑥과 솔잎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 박찬성;권충정;최미애;박금순;최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48-252
    • /
    • 2002
  • 쑥과 솔잎을 각각 물과 70% 에탄올로서 추출하여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쑥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300-1,000ppm 농도에서 물추출물은 50-57%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은 51-64%로서 에탄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솔잎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추출물은 100-500ppm에서 52-60%, 1,000ppm에서는 7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물은 100-500ppm에서 68-71%, 1,000ppm에서는 약 77%로서 물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 3.0, 4.2, 6.0에서 측정한 결과, pH 1.2에서 가장 높았으며 pH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쑥추출물 1,000ppm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물추출물은 37%, 에탄올추출물은 27%였다. 솔잎 추출물 1,000ppm의 경우에는 pH 1.2에서 물추출물은 65%, 에탄올추출물은53%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소거능은 솔잎추출물이 쑥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쑥과 솔잎 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은 에탄을 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우수하였으나 아질산염소거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솔잎과 쑥 추출물의 기능성 점토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 강윤한;박용곤;오상룡;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8-984
    • /
    • 1995
  • 솔잎과 쑥의 기능성 검토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열수 및 70% acetone으로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의 항변이원성,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작용, 전자 공여작용, polyphenol oxidase(PPO)에 대한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 항산화 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의 열수 및 70% acetone 추출물 모두 총 polyphenol 성분 중 flavanol형 tannin의 함량이 60% 이상이었고, 간접변이원인 Trp-P-1을 이용한 항변이원성 실험결과 70% acetone 추출물은 처리구는 82.2%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61%로 70% acetone 추출물의 50%보다 저해능이 높았다. 전자공여작용은 두가지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나리에서 분리한 PPO 조효소에 대한 70% acetone 추출물의 저해효과는43%로 나타났고 또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산성 부근(pH 3.0)에서 각 추출물 모두 $80{\sim}90%$의 높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쑥추출물의 경우 항변이원성은 70% acetone 추출물이 84.1%로 솔잎과 유사하였으나 ACE 저해작용은 열수 추출물이 75.1%로 acetone 추출물의 57.6%보다 높았고, 전자공여 작용은 두 처리구 모두 45% 정도였으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솔잎에 비해 $20{\sim}30%$ 분해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솔잎 열수 추출물을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을 대두유에 첨가하여 저장기간 중 항산화성을 조사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효과가 있었다.

  • PDF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on Shelf-life in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황보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61-467
    • /
    • 2011
  • 쑥과 솔잎 분말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한 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아질산염잔존량, 총 미생물수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물 추출물첨가구는 T1,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 물 추출물 첨가구를 T3,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과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특히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4에서 TBARS 값은 다소 낮았다(p<005).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쑥 보다는 솔잎 첨가구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과 1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CIE $a^*$ 값은 증가하였다. 처리구간 CIE $L^*$값은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 첨가구에서 낮아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솔잎 분말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적인 첨가방법이라 생각된다.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ordyceps spp.,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 박찬성;권충정;최미애;박금순;최경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2-108
    • /
    • 2002
  •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쑥 및 솔잎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충하초의 자실체와 균사체, 쑥 및 솔잎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균실험에는 3종류의 그람양성균(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과 3종류의 그람음성(Escherichia coli, Shigella sonnei, Salmonella typhimurium) 식중독 및 병원성 세균을 사용하였다. 동충하초의 추출수율은 물과 에탄올 모두 자실체의 수율(39∼58%)이 균사체(9∼24%)에 비하여 2.4∼4.4배 높았으며, 쑥과 솔잎 추출물의 수율은 9%미만이었다. 눈꽃 동충하초의 에탄올추출물(JME)은 1%농도에서 L. monow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번데기 동충하초의 에탄올추출물(MFE)은 3%농도에서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쑥의 에탄올추출물(MGE)은 1% 농도에서 L. monocy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눈꽃 동충하초, 번데기 동충하초 및 쑥의 물추출물은 시험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솔잎 물추출물은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솔잎 에탄올추출물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어 솔잎추출물들은 가장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액체배지내에서 솔잎추출물의 세균증식 억제작용은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큰 편이었다.

쑥, 솔잎 및 두릅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 Patty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Prepared with Mugwort, Pine Needle and Fatsia Leaf Extracts)

  • 정인철;남주현;송형익;박충균;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6-332
    • /
    • 200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property improvement of meat products, four kinds of pork patties were prepared with water 10% as control, mugwort extract 10%, pine needle extract 10% and fatsia leaf extract 10%, respectively. In case of control moisture content was higher, but crude fat was lower, compared to patties treated with plant extracts. Crude ash content of pine needle extract treatment showed higher level than that of other patties. pH range of patties revealed to 5.92∼5.978. In raw patties Hunter's L-and a-value of control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nt extract treatment, and a-value of raw patties showed higher level than that of cooked. Yield, water holding capacity, salt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and gel strength among pat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ol patty, fat retention was lower compared to other plant extract treatments, but water soluble protein extractability was higher compared to pine needle. Values such as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atties. In sensory scores such as aroma, juiciness and pala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among cooked patties, but texture score was higher in the order pine needle, mugwort, fatsia leaf and control.

  • PDF

식품과 한약재 에탄올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tracts of various foods and medicinal herb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ujube-omija herbal sauce)

  • 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3-439
    • /
    • 2002
  • 식품 12종과 한약재 12종의 에탄을 추출물이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녹차, 쑥, 민트, 레몬 및 부추 등의 식품 추출물과 인삼, 솔잎, 갈근, 모과 및 귤홍 등의 한약재 추출물 첨가시 시료 소스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 에탄을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이 높고. 과산화물 생성량은 적어 항산화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녹차, 쑥, 인삼 및 솔잎 추출물은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시료 소스에 첨가시 기호도는 높지않았으나 레몬과 모과 등의 추출물은 강한 단맛과 신맛에 의해 기호도도 증가시켰다. 특히 레몬즙은 대추·오미자 약선소스의 항산화 효과 및 기호도를 높이는데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