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ne wood nematod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Fungi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and the Nematode-Infected Japanese Black Pine Wood in Korea

  • Hyun, Min-Woo;Kim, Ji-Hye;Suh, Dong-Yeon;Lee, Seung-Kyu;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9-161
    • /
    • 2007
  • Pine tree death caused by pine wood nematode(PWN) involves phoretic relationships between PWN and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beetle(JP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ungi involved in PWN life cycle, a total of 176 fungal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PWNs, adults and larvae of JPS, PWN-diseased Japanese black pine that was cut down in 2005 at Jinju, Korea. Based 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lony morphology,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TS rDNA,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at the level of genus. Three genera including Mucor,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identified from PWN. Two genera of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discovered from JPS larvae. Frpm JPS adult beetles, nine genera of Aspergillus, Gibberalla, Hypocrea, Irpex, Leptosphaeria, Ophiostoma, Penicillium, and Plectosphaerella and unknown basidio-mycetes were found. Ten genera from PWN-infected weed were confirmed as Bionectria, Botrytis, Camarops, Fusarium, Hypocrea, Nectria, Mucor, Ophiostoma, Penicillium, and Trichoderma. Penicillium and Ophiostoma were commonly distributed on PWN and its vector and host. This is first report of the fungi associated with PWN and its vector and host in Korea.

소나무재선충 감염 소나무의 목재해부학적 특성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Red Pine (Pinus densiflora) Infested by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안세희;전문장;엄영근;오세창;이미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15-20
    • /
    • 2011
  •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의 대표 수종인 소나무를 괴사시키는 주요 산림병의 하나로 재선충의 침입과 수체내에서의 이동 경로 파악은 이들의 서식 형태를 구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염목 내에서의 재선충 주요 서식 부위와 이동 경로를 명확히 구명하기 위해 재선충 피해목에 대한 현미경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피해목의 특징으로는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 모두에서 주로 방사조직이 감염을 통해 진하게 착색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수지구에서도 집중적인 피해가 관찰되었다. 또한 형성층과 가까운 변재 부위에서는 연륜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상해수지구로 보이는 특징이 관찰되었다. 재선충은 방사가도관보다는 방사유세포에서 그리고 수평수지구를 지니지 않는 단열방사조직보다는 수평수지구를 지니는 방추형방사조직에서 훨씬 더 많은 재선충이 발견되었으며 방사조직에서 가도관으로 이동하는 선충도 관찰되었다. 방사조직에서 가도관으로의 이동 시 가도관의 벽을 천공한 다음 이동하거나 크기가 작은 개구부인 측벽의 유연벽공을 통해 이동하기보다는 크기가 큰 개구부인 창상 직교분야벽공을 이동 통로로 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Study on the Damage by Pine Wood Nematode in Black Pine Trees

  • Ha, Man-Leung;Lee, Chong-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105-112
    • /
    • 2017
  • The distribution and form of pine wood nematode (PWN) were investigated in Jinju-si and Sacheon-si areas, where infested with pine wilt disease (PWD). The average PWN population per g of the tubulation part in the wilted Japanese balck pine were 381.2 and 341 in Jinju-si and Sacheon-si, respectively. The PWN population per g of affected Japanese black pine with wilt rate below 60% were 556 and 518 in Jinju-si and Sacheon-si, respectively. The ratios of PWN and other plant-parasitic nematode in the wilted Japanse black pines were 48% vs. 52% in Jinju-si and 53% vs. 47% in Sacheon-si after exposure to PWD for 1 year. The survivorship of pine wood nematode in the sampled trees after 1 year was 0-10% in the Jinju-si area and 5-20% detected in the Sacheon-si area. In the forest areas affected by PWN, the highest survival rates were 37.2% and 39.8% at 25 cm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in Jinju-si and Sacehon-si, respectively, while the highest wilt rates were 30.5% and 28.3% at 30 cm DBH in Jinju-si and Sacehon-si, respectively.

Cryopreserv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Yong;Shin, Keum-Chul;Kim, Kyung-Hee;Lee, Seung Kyu;Lee, Jong Ky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4-337
    • /
    • 2005
  • Pine wood nematode isolates from Haman, Gyoungsangnam-do were cryopreserved with three different cryoprotectants (glycerol, ethylene glycol and dimethylsulfoxide), Nematode Growth medium (NGM) and M 9 buffer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survival rate, reproduc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of stored nematodes were compared. Survival rates of juvenile was excellent in 15% glycerol solution as $72{\pm}5.3%$. The survival ability of nematodes at juvenile stage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nematodes at adult stage. Pre-incubation treatment at $4^{\circ}C$ before storing in liquid nitrogen didn't affect the survival ability of pine wood nematode. When the reproduction ability of nematodes was confirmed on Botrytis cinerea agar plates at $28^{\circ}C$ incuba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Pathogenic ability of cryopreserved nematodes was also evaluated and confirmed by artificially inoculating them on 2-year old red pine seedlings.

소나무재선충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의 선발 및 특성 규명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MH48 for the Biocontrol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정민해;양서영;이용성;안영상;박윤석;한혜림;김길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512-518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은 우리나라 소나무림에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소나무재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미생물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효과를 나타내는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해 5종 미생물의 배양액 처리를 통해 살선충 활성이 뛰어난 Bacillus licheniformis MH48을 선발하였다. B. licheniformis MH48의 살선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세포 생육과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도를 분석하였는데, 세포 생육은 배양 3일째 가장 높았고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은 7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B. licheniformis MH48의 배양액 농도에 따른 소나무재선충의 살선충 활성을 조사한 결과, 키틴-젤라틴(CG) 배지와 키틴-선충(CN) 배지 모두 20% 배양액 처리시 치사율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B. licheniformis MH48 배양액 처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나무재선충의 표피가 분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B. licheniformis MH48은 소나무재선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제로서 가능성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고사목에서 분리된 선충과 곤충의 종류 및 솔수염하늘소 부위별 소나무재선충 밀도조사 (Nematodes and Insects Associated with Dead Trees, and Pine Wood Nematode Detection from the Part of Monochamus alternatus)

  • 이상명;추호렬;박남창;문일성;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19
    • /
    • 1990
  • 부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22개 지역 19수종 238본의 고사목에서 1989년 4월부터 9월까지 선충류와 곤충류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 재선충은 부산지역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어리소나무 재선충은 진주와 진해에서 분포가 확인되었다. 고사목에서 분리.동정된 선충류는 9속 13종이었으며 6속은 미동정되었다. 동정된 선충 중 Diplogasteroides dimidius, Rhabdontolaimus adephagus, R.janae, Mikoletzkya diluta, M. ruminis, m. langcauda, Parasitorhabditis hylurgi, Panagrolaimus concolor, Panagrodontus dentatus, Prothallonema intermedium, Macrolaimus canadensis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이다. 한편, 고산목에서 채집된 곤충은 5목 9과 25속 27종이었는데 딱정벌레목이 3과 19속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그중 나무종이 10속 12종으로 빈번히 채집되었으며, Hypothenemus eruditus가 꽃싸리, 싸리, 조록싸리, 만리화, 닥나무에서 채집되어 새 기주로 추가되었다.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는 복부에서의 선충 검출수가 가장 많았으며, 성충 한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최대 127,535마리, 최소 2,616마리, 정균 42,817마리였다.

  • PDF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의 GaLectin에 대한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제작과 진단에의 활용 (Development of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Galecti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 and Their Utilization for Detection of Pine Wood Nematodes)

  • 김아영;김영하;최보혜;트랑뉴겐;윤경재;이시혁;한혜림;고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7-13
    • /
    • 2018
  •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PWN) 감염 소나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본 연구에서는 PWN특이적인 항원으로 알려진 PWN-GaLectin을 baculovirus발현체계로 발현시켜서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라이브러리를 제작 하는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중, PWN-GaLectin에 대한 높은 반응을 보이는 62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를 선별했다. 이들 중, 표준 PWN 감염소나무 PBS추출물과 PWN 단백질 추출물에 강한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 12개를 선별하여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한 limite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Mab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해서 표준 PWN 감염소나무 추출물에 대한 반응이 표준 정상 소나무 추출물 보다 높은 세포 주들을 선별했다. 그리고 추가로 PWN 단백질 추출물에 대해서 3종의 비 병원성 선충 단백질 추출물 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들도 선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b들을 우리는 현장과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의 침전·훈증처리를 통한 재선충밀도 및 압축강도성능에 관한 연구 (The Nematode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y of Pine Wilt Disease Damaged Trees by Soaking and Fumigating Treatment I)

  • 윤석락;박정환;박한민;김종갑;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00-207
    • /
    • 2009
  • 침전 및 훈증처리한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목을 목재 재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소나무재선충의 밀도 및 종압축강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전처리 후 소나무와 해송 모두 목초액 및 살선충제 처리의 경우 21일째에, 바닷물 침전의 경우에서는 30일째에 재선충의 밀도가 매우 낮아졌다. 재추출된 재선충을 피해가 없는 정상재에 인위적으로 접종한 경우 6개월경과 후까지 감염되지 않았으며,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47g/cm^3$, $0.54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04kgf/cm^2$, $363kgf/cm^2$이었다. 훈증처리 후의 소나무재선충은 수종에 관계없이 3개월까지는 검출되었으며, 그 이후에 출현하는 재선충은 유사 선충으로 판명되었다. 24개월이 지난 소나무와 해송의 평균 기건밀도는 각각 $0.54g/cm^3$, $0.52g/cm^3$, 종압축강도는 각각 $353kgf/cm^2$, $370kgf/cm^2$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피해목의 목재재료로서의 활용성은 일부 검증되었으며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하여 추후 기타 조직, 물리 및 역학적 성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대한 살선충 효과 (Nematicidal Activity of Eclipta prostrata Extract and Terthiophene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신진희;권오경;이채민;이상명;최용화;김진호;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6-65
    • /
    • 2016
  •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류에 기생하여 치명적 피해를 입히는 선충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산림해충의 하나이다. 살아있는 나무에서 소나무재선충을 대상으로 하는 방제법은 나무주사 방법이 가장 실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의 나무주사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46종의 키르기즈스탄과 88종의 베트남 식물체 및 21종의 식물유래 활성물질(${\alpha}$-terpinene, ${\alpha}$-pinene, ${\beta}$-thujaplicin, cinnamaldehyde, eugenol, emodin, geraniol, limonone, methyl palmitate, matrine, myrcene, methyl gallate, nicotine, quassin, resveratrol, rotenone, thymol, thujaplicin, terthiophene, tuberstemonine, ${\gamma}$-terpinene) 들을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검정하였다. 식물체 추출물들 중에서는 베트남에서 구입한 한련초(Eclipta prostrata) 추출물의 소나무재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이 높았으며 식물체 유래 활성물질들 중에는 terthiophene의 살선충 활성이 가장 높았다. Terthiophene의 곰솔 수간 살포는 22일차까지는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이후에는 효과가 없었다. 한련초 추출물과 terthiophene의 나무주사 효과와 다른 식물기생성선충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살선충제로의 활용성도 기대된다.

A Simple PCR-RFLP for Idenficiation of Bursaphelenchus spp. Collected from Korea

  • Han, Hye-Rim;Han, Bo-Young;Chung, Yeong-Jin;Shin, Sang-Ch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59-163
    • /
    • 2008
  • Accurate identific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prerequisite to diagnose the pine wilt disease. However, a fungivorous nematode, B. mucronatus is highly similar to B. xylophilus and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se two species by morphological features. A molecular diagnosis method, ITSRFLP was applied for the identification of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from Korea.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a single individual nematode and ITS DNA was amplified by PCR. The size of PCR product was approximately 900bp and the sequence data were obtained after cloning. Amplified ITS was digested by 5 different restriction enzymes (Rsa I, Hae III, Msp I, Hinf I, and Alu I) and provided a discriminatory profile for B. xylophilus and B. mucronatus. Besides, B. mucro- natus was determined to have 2 different genotypes, East Asian type and European type also clearly separated by Rsa I and Hae III digestion. European type of B. mucronatus is recently collected from Pinus koraiensis and has not been reported before. ITS sequnce data were analyzed by Restriction Mapper program and the result supported ITS-RFLP pattern. These data indicated that PCRRFLP method is an accurate and simple way for identification of Bursaphelenchus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