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gas pip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다양한 결함에 대한 폴리에틸렌 배관의 음향방출 특성 (AE Characteristic of Polyethylene Pipe under various defects)

  • 남기우;이시윤;안석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
    • /
    • 2004
  • 최근 가스관용으로 압력손실이 큰 동관의 사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한편으로는 폴리에틸렌관이 신소재배관재료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폴리에틸렌관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아 부식에 강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좋아 설치와 유지관리가 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외부에 노출되었을 때 쉽게 열화되므로, 주로 저압가스용 매설배관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매설배관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관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결함에 대한 비파괴적 평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틸렌 배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결함을 상정하여 볼 베어링 충격시험에 따른 음향방출에 의한 신호특성을 평가하였다. 폴리에틸렌 배관의 결함 형상에 따라 파형 및 중심주파수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노치결함이 있는 경우 노치의 각도와 깊이에 따라 AE신호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

탄소섬유를 이용한 Polyethylene배관의 전기융착 기술 (Electrofusion Joining Technology for Polyethylene Pipes Using Carbon Fiber)

  • 안석환;하유성;문창권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3-98
    • /
    • 2013
  • Fuel gas is an important energy source that is being increasingly used because of the convenience and clean energy provided. Natural gas is supplied to consumers safely through an underground gas-pipe network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In electrofusion, which is one of the joining methods used, copper wire is used as the heating wire. However, it takes a long time for fusion to occur because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copper is low. In this study, therefore, electrofusion was conducted by replacing the copper heating wire with carbon fiber to reduce the fusion time and improve the production when joining large pipes. Fusion and tensile tests were performed after the electrofusion joint was made in the polyethylene pipe using carbon fib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sion time was shorter and the temperature inside the pipe was higher with an increase in the current value.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of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of virgin polyethylene pipe, except for polyethylene pipes joined using a current of 0.8 A. The best fusion current value was 0.9 or 1.0 A because of the short fusion time and lack of transformation inside the pipe. Thus, it was shown that carbon fiber can be used to replace the copper heating wire.

온도와 압력이 가스용 폴리에틸렌관의 용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Weldability of Polyethylene Pipe for the Supply of Gaseous Fuels)

  • 김영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7-103
    • /
    • 1996
  • The welding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pipe for gas varying temperature and pressure is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is very important to studying the weldability of PE pipe as well as is useful for its welding data. The specimens have the same welding conditions. Experimental data of the bead width, height and thickness for PE welding are measured with tool projector, Experimental results for PE welding Indicated that temperature more than pressure have influence on the weld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optimal PE welding within the limits of $210^{\circ}C$ and 15kg/$cm^2$ have high welding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other conditions. These results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safety and to reliable welding components of PE gas pipe.

  • PDF

외부 하중에 대한 매설 폴리에틸렌 가스배관의 유한요소 해석 (Buried Polyethylene Gas Pipes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under External Loadings)

  • 길성희;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9-55
    • /
    • 2007
  • 폴리에틸렌(PE) 배관은 시공이 편리하고 강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저압 공급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매설한 PE 배관이 다양한 외부하중을 받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배관 직경이 $50{\sim}400mm$인 PE 배관에 대하여 매설 깊이를 $0.6{\sim}1.2m$로 달리하고 그리고 공급압력을 $0.4{\sim}4bar$로 변화시켰을 때 배관에 발생하는 응력을 유한요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매설 상태에서 각 하중 조건에 따른 응력 상태 그리고 복합적인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400호 배관에 발생하는 응력을 계산한 결과 매설 깊이가 1 m일 때 최대 원주방향 응력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폴리에틸렌 코팅 가스배관의 광범위탐상을 위한 유도초음파 모드 선정 및 결함 검출 (Guided Wave Mode Selection and Flaw Detection for Long Range Inspection of Polyethylene Coated Steel Gas Pipes)

  • 송성진;박준수;신현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6-414
    • /
    • 2001
  • 폴리에틸렌 코팅 가스배관의 결함탐상을 위해 광범위 비파괴탐상기법인 유도초음파를 적용하였다. 가스배관의 내경은 190.7mm, 두께는 5.3mm, 그리고 바깥 표면은 $1.9{\pm}0.5mm$의 폴리에틸렌 층으로 코팅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코팅 배관의 외면에 0.5MHz 탐촉자와 가변각 웨지를 사용하여, 비축대칭 유도초음파를 가진 시켰다. 주파수와 위상속도 조정을 통하여 가스배관의 결함 탐상을 위한 적절한 모드를 찾아내고, 모드의 특성을 단시간 퓨리어 변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함탐상 결과를 두께 손실 및 원통형 관통결함에 대한 인위결함에 대해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스배관에 인위적으로 삽입한 두께 손실과 원통형 관통결함에 대한 검출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PE 배관의 인장시험 동안 발생한 AE 특성 (AE characteristic of PE pipe under tensile test)

  • 정정환;남기우;안석환;박인덕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0-133
    • /
    • 2002
  • Polyethylene pressure pipe has been used with a gas pipe material because of workability and stability etc.. Researches on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pressure pipe are carried out, but there are rare. In this study, the tensile test was performed on polyethylene pipe. From the tensile test, AE signals were detected and estimated in real time. Also,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AE signals was analyzed. From test results, PE pipes were displayed typical stress-strain curves oj semi-crystalline polymer. As result analyzed AE signals, could divide stress-strain curves could be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elastic region, signals were not detected. Low amplitude distributions of 30-35dB appeared after yielding, and high amplitude distributions of 30-60dB appeared with increased extension. From the time-frequency analysis of AE signals, the frequency band of 100kHz appeared mainly. Also, the frequency band of 300kHz appeared before the necking phenomenon spreads into the whole region, and the frequency band of 500kHz appeared on extension earlier.

  • PDF

Field Inspection of Phase-Array Ultrasonic for PolyEthylene Electrofusion Joints

  • Kil, Seong-Hee;Jo, Young-Do;Yoon, Kee-Bong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25
    • /
    • 2012
  • Welding and/or fusion in polyethylene(PE) system made on site is focused on the control of the welding or fusion process to follow proper procedure. The process control is important, but it is not sufficient for the long term reliability of a pipe system. To achieve the rate of failure close to zero, Non Destructive Testing(NDT) is necessary in addition to joining process control. For electrofusion joints several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are available. The ultrasonic phased array technique is possible to detect various defects including wire deviations and regions with lack of fusion. In this studies, testing was carried to detect the defect after electrofusion joining of polyethylene piping is utilized by the ultrasonic phased array technique. From testing data, ultrasonic phased array technique is recommended as a reliable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

폴리에틸렌 가스배관의 외부 하중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Polyethylene Gas Pipes under External Loadings)

  • 길성희;박교식;김지윤
    • 에너지공학
    • /
    • 제17권4호
    • /
    • pp.204-211
    • /
    • 2008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배관은 시공이 편리하고 강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저압 공급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매설한 PE배관이 다양한 외부하중을 받는 경우에 발생하는 응력 및 변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배관 직경이 $50{\sim}400mm$인 PE배관에 대하여 매설 깊이를 $0.6{\sim}1.2m$로 달리하고 그리고 공급압력을 $0.4{\sim}4bar$로 변화시켰을 때 배관에 발생하는 응력을 유한 요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매설 상태에서 각 하중 조건에 따른 응력 상태 그리고 복합적인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 400호 배관에 발생하는 음력을 계산한 결과 매설 깊이가 1m일 때 최대 원주방향응력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스퀴즈오프에 따른 PE배관의 손상평가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Evaluation of Polyethylene Pipe by Squeeze-off)

  • 서호성;이화영;이재훈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
    • /
    • 2023
  • 시공 편의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PE배관은 국내 도시가스 분야에서 지하 매설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E배관은 유지·보수 공사 중 가스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현장에서 스퀴즈오프를 활용하고 있다. 스퀴즈오프란 PE배관을 압착하여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을 말하며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배관의 변형이 일어나는 공사의 특성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퀴즈오프에 따른 PE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해 압축률에 따른 손상평가 및 기밀시험을 통해 적정한 압축의 범위와 사용 압력, 관경 등의 스퀴즈오프 작업 절차에 반영될 주요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PE배관 손상평가를 위한 압축 실험은 압축률(20%~40%)과 사용압력 (2.8kPa, 25kPa, 70kPa), 관경(63mm, 90mm, 110mm)을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압축률에 따른 손상평가 결과, 과도한 압축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압축률인 45%(110mm), 73%(63mm)인 배관에서 파손이 발생하였다. 또한, 스퀴즈오프 작업 중 기밀시험은 Ar(아르곤)을 이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험결과 70kPa의 조건과 110mm 의 배관 조건에서 누출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기밀유지를 위한 스퀴즈오프는 25kPa이하의 사용압력 및 90mm 배관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배관에서 작업을 실시해야하며 PE배관의 손상방지를 위한 적정 압축률은 30%임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내용을 도시가스용 PE배관의 스퀴즈오프 작업 절차에 반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