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is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도롱뇽의 포식압과 서식지에 따른 polyphenism (The different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and Habitat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ieechii)

  • 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44-750
    • /
    • 2010
  • 본 연구는 서식지와 포식압에 따라 머리 크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polyphenism에 대하여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인왕산과 수락산, 경기도 광주에서 채집해 온 도롱뇽의 알(난괴)을 서식지 특성과 포식압에 따라 4가지 그룹으로 나누었다. 서식지는 계곡 형과 웅덩이 형 두 그룹으로 나누었고, 포식압은 높음과 포식압 없음,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포식압 수준은 하루에 포식자의 cue에 노출된 빈도로 나누었으며 높은 수준은 하루 세 번으로 하였다. 포식 cue는 버들치의 냄새를 추출하여 사용하였고, 알 채집일 다음날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cue에 노출시켰다. Chemical cue 노출 처리가 끝나는 부화 후 일주일이 되는 날, 각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부분과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 그리고 snout-vent length를 측정하였다.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는 머리 중 가장 넓은 부분으로 나눈 수치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를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롱뇽 유생의 머리 크기 비율은 포식압의 수준이 높음에 따라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계곡형 서식지에 사는 도롱뇽 유생의 머리는 버들치의 cue에 반응하여 포식압이 높을 때 머리 크기 비율이 의미 있게 증가하지만, 웅덩이형 서식지에 사는 도롱뇽 유생은 무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snout-vent length의 길이는 서식지와 상관없이 높은 포식압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간접적인 카니발리즘경험에 의한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henotypic Difference by the Indirect Cannibalism in Larvae of the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김은지;황지희;정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2-347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이 표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수행되었다. 우리는 유생의 생활사 초반에 개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동종의 카니발리즘(간접적인 카니발리즘 경험)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폴리페니즘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의 발생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을 경험하는 그룹과 그렇지 아니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두 그룹의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길이(HWE), 코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HWE를 LHW로 나누어 비율을 구한 후 통계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유생의 생활사초반에 간접적인 카니발리즘에 노출될 경우 그렇지 못한 그룹보다 머리크기의 비율(HWE/LHW)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주변의 다른 개체들로부터 전달되는 화학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포식압 수준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표현형의 변화 (Polyphenism by the level of predation risk in larval salamander, Hynobius leechii)

  • 황지희;김은지;김호진;정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85-491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산 도롱뇽 유생(Hynobius leechii)을 대상으로 포식압의 수준이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치의 냄새를 포식자 신호로 이용하여 (1) 높은 포식압- 하루 세 번의 포식압 (2) 중간 포식압- 하루 한 번의 포식압 (3) 포식압 없음 세 그룹으로 나누어 채집일로부터 부화 후 일주일까지 처리하였다. 먹이섭취로 인한 형태적 변화를 막기 위하여 실험은 기아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도롱뇽 유생은 경기도 광주, 인왕산, 수락산에서 채집된 난괴를 이용하였다. 포식압 처리 이후 도롱뇽 유생의 머리 중 가장 넓은 곳의 길이(LHW), 눈이 있는 부분의 머리길이(HWE). 그리고 코 끝부터 항문(SVL)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의 측정은 HWE를 LHW로 나눈 수치(HWE/LHW)를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그 결과 포식압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HWE/LHW와 SVL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포압에 따른 사망률을 조사하여 본 결과 포식압 수준에 따른 증가를 보여, 카니발리즘적 폴리페니즘은 매우 에너지 소모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롱뇽유생은 한정적 자원을 가진 환경에서 포식압에 의하여 카니발리즘을 일으키기 유리한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lecular Taxonomy of a Phantom Midge Species (Chaoborus flavicans) in Korea

  • An, Hae-In;Jung, Gil-A;Kim, Chang-B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1호
    • /
    • pp.36-41
    • /
    • 2012
  • The larvae of Chaoborus are widely distributed in lakes, ponds, and reservoirs. These omnivorous Chaoborus larvae are crucial predators and play a role in structuring zooplankton communities, especially for small-sized prey. Larvae of Chaoborus are commonly known to produce predator-induced polyphenism in Daphnia sp. Nevertheless, their taxonomy and molecular phylogeny are very poorly understood. As a fundamental study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Chaoborus in predator-prey interactions in a freshwater ecosystem,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Chaoboru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 molecular comparison based on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COI) between species in Chaoborus was carried out for the identification of Chaoborus larvae collected from 2 localit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haoborus species examined here was identified as C. flavicans, which is a lake-dwelling species. Furthermore, partial mitochondrial genome including COI, COII, ATP6, ATP8, COIII, and ND3 were also newly sequenced from the species and concatenated 5 gene sequences excluding ATP8 with another 9 dipteran species were compared to examin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 flavica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Chaoborus was more related to the Ceratopogonidae than to the Culicidae. Further analysis based on complet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ll provide a more robust validation of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haoborus within dipteran lineages.

서식지 특성에 따른 한국산 도롱뇽 유생의 body condition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 Condition by Habitat in Larvae Korea Salamander)

  • 김은지;정훈
    • 환경생물
    • /
    • 제32권1호
    • /
    • pp.68-74
    • /
    • 2014
  • 본 연구는 서식지 특성에 따른 양서류 유생의 몸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3월부터 4월까지 한국산 도롱뇽 유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는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로 나누어, 유생의 성장과 외부요인에 대한 민감도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 부화 10일 후, 각 유생의 머리에서 눈이 위치한 부분의 넓이(HWE)와 머리에서 제일 넓은 곳의 길이(LHW)와 코끝부터 항문까지의 길이(SVL)를 측정하였으며, 폴리페니즘을 알아 보기 위하여 HWE/LHW의 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의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의 유생보다 큰 SVL를 가지고 태어났으며, 이후의 성장률도 더 빨랐다. 또한 같은 포식자에게 노출되었을 때,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 유생보다 HWE/LHW가 더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물이 마를 위험이 있는 서식지 유생은 물이 마를 위험이 없는 서식지 유생보다 외부요인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